12 Months Follow-Up Study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공황장애 집단인지행동치료의 12개월 추적 연구

  • Choi, Young-He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
  • Park, Kee-Hwa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
  • Woo, Young-Ja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
  • Yoon, Haye-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 최영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박기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우영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윤혜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15

Abstract

Objectives: The authors intended to evaluate long-term outcome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GCBT) for panic disorder and examined the variables to predict high end-state functioning in 12 months follow-up. Methods: 236 patients meeting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ere assessed by STAI, ASI, BDI, BSQ, PBQ, ACQ at pre & post treatment, and were asked about the frequency of panic attacks during recent one month. We execute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on the clinical variables at pre treatment assessment to find the variables for discriminating between high end-state function(HES) and low end-state function(LES). Results: After GCBT, 82.6% of panic patients maintained high end-state functioning at 12 months follow-up.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BDI and BSQ at pre treatment assessment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end-state functioning at 12 months follow-up. The hit ratio of discriminant analysis was 69.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effect of GCBT can be maintained through 12 months. Especially, it is likely that patients who were less depressed and who had less experienced the fear of physical symptoms at pre-treatment can maintain HES.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집단인지행동치료의 장기적 치료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으며, 12개월 추적 연구에서 환자들의 상위 최종상태기능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치료적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공황장애로 진단받고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은 3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12개월 추적 연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환자들은 236명이었다. 12개월 추적 연구에서 환자들의 최종상태기능을 확인하였으며, 상위 최종상태기능 집단(HES)과 하위 최종상태기능 집단(LES)을 판별해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치료 전의 임상적 변인을 대상으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후, 12개월 추적 연구 시 75%의 환자들이 상위 최종상태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추적 연구 시 상위 최종상태기능 집단과 하위 최종상태기능 집단을 판별해 주는 변수로 치료 전에 실시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와 BSQ(Body Sensation Questionnaire)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 판별율은 69.2%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공황장애의 집단인지행동치료 이후에 12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치료적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전, 후 변인을 대상으로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감이 적고 신체적 증상을 덜 예민하게 경험하는 사람들일수록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잘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