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status and gifted students'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Busan Science Academy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인식 분석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gifted students' perception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gifted education at Busan Science Academy. For the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document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urriculum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about the curriculum courses, 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 was answered by 143 students at Busan Science Academy. The curriculum courses are composed of general courses and specialized courses: general courses comprise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foreign language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pecialized courses consist of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information science. Elective courses are divided into basic elective courses and in-depth courses. Each in-depth course deals with more specialized content.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perception, the credits of specialized courses and in-depth elective courses need to be increased and the credits of general courses need to be reduced. Second, teachers at this school mainly use teaching strategies such as lecture, group activities and discussion, but the students prefer diverse teaching strategies such as lecture, discussion, experiment, individual research, problem solving and field studies. Third, students prefer a paper-and-pencil testing assesment rather than a written report assesment and lab experiment assesmen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on curriculum at Busan Science Academy were too intensive. Thu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enrichm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mand of gifted students in this schoo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vise the curriculum courses of Busan Science Academy and develop contents and strategies f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문서 및 학사 운영과정의 통계 자료를 통해 실태를 밝히고, 과학영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에 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학교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으로 강의나 설명, 조별수업, 토론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토론 외에도 실험, 개인연구, 문제해결학습, 현장견학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지필평가와 보고서평가, 실험 실습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영재학생 을 위한 심화중심 교육에 적합한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영재학교(2003). 과학영재학교운영계획서. 부산: 과학기술부.부산광역시 교육청.소광섭, 김명환, 조석희, 이재호(2003). 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 안내서. 과학영재학교
  2. 윤소정, 윤경미, 유순화(200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차이 및 교사 특성별 사고양식. 영재교육연구, 13(3), 19-44
  3. 이길성(2001).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4. 이해명(2003).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교육학연구, 41(2), 197-224
  5. 이상천(2002). 과학영재고등학교 설립 및 학사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 2001-08
  6. 최호성(2003). 영재교육에서의 학습 평가와 학교 평가. 과학영재학교 Academic Advisor Work-shop 보고서, 한국영재학회.과학영재학교
  7.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한국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21-34
  8. 서보억(1997). 한국, 미국, 러시아의 수학영재교육과정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Davis, G. A., & Rimm, S. B.(1989).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10. VanTassel- Baska, J. (1997).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pp.126-135). Needham Heights, MA:A11yn & Bacon
  11. Fogarty, R. (1997). Problem-based learning and other curriculum models for themultiple intelligences. Arlington Heights, IL: IRI/SkyLight Training andPublishing
  12. Gallagher, J. J.,& Courtright, R. D.(1986). The educational definition of giftedness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Eds.),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Kaplan, S. N. (1986). The grid: A model to construct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the gifted. In J. S. Renzulli(Eds.),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programs or the gifted and talented(pp.180-193). Mansfield Center, CT:Creative Learning Press
  14. Maker, C. J.(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London: AspenSystems Corporation
  15. Sternberg, R. J.(1994). Thinking Styles: Theory and assessment at interfacebetween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R. J. Sternberg, & P.Ruzgis(Eds.), Personality and intelligence(pp.169-187). NY: CambridgeUniversity Press
  16. Torp, L., & Sage, S.(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