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 of student's selection process in Hansung science highschool

한성과학고등학교 학생 선발과정의 현황 분석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ents' selection process in order to renovate the system of picking up the students. As a first step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ctors of the single-out system such as qualification and the process for the application and the standards and proceeding of the selection. Then we analysed the resul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ansung Science Highschool in 2002. The analysis wa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achievement in the school and the decision of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o know on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records of regular tests and asked the teachers' opinion in math and science classes. As a result, we gain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resent single-out system has a danger of excluding students who are much talented in science and math field because it is based on students'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s; Second, the new selection system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 and attitude of the applicants in addition to their knowledge; Third,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middle school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of the picking up system; Fourth, more questions requiring divergent thinking ability and inquiry skill should be developed as selective examination question. Also examination questions should cover the various contents from mathematics to science, and do not affect pre-learning; Finally, the system of present letting all students stand in one line should be changed into that of letting students in various lines. We can consider using multi-step selection system.

본 연구는 과학 고등학교 선발 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행 과학 고등학교 선발과정을 분석하여 선발 현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발 전형의 응시자격, 응시절차, 선발절차, 선발준거 등의 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한성과학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형종류와 입학 성적, 학교에서의 성취도 및 진로 선택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수학·과학 과목의 내신 성적 및 학생 개인에 대한 담당 교사들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선발 도구로 사용한 선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선발 절차에 대한 분석 결과, 성적 중심의 응시자격으로 인해 수학·과학의 성장 가능성이 큰 학생들의 응시기 회가 박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과학고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진로 선택 상황을 볼 때, 인지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이나 태도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 결과가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선발고사 문항은 발산적 사고와 다양한 탐구 기능을 요구하는 문항이 더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교과 내용에서 출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개선점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능하면 선수학습의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문항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관심과 능력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전형 요소를 합산하기보다는 다단계 전형을 위한 여러 줄 세우기의 방식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창의력과 성장 잠재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선발체제를 새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AM-1의 발현은 신 손상 특히 사구체 손상의 정도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예후 인자로서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으로는 1-2년 이내에 17% 정도가 혈뇨의 소실을 보였으며, 추적관찰 기간 중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결론: 무증상성 혈뇨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도 등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견 당시 혈청 $C_3$치의 감소는 모두 11명(61.1%)에서 관찰되었는데, 증상군에서는 7명(87.5%),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40%)으로 증상군에서 혈청 $C_3$치의 감소가 보다 현저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군에서는 7명 중 4명,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 중 1명에서 혈청 $C_3$치는 정상범위로 증가하여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6명 (33.3%)에서만 혈청 $C_3$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혈청 $C_3$치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다시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세분하여보면 발병당시에는 I형 8명(61.5%), II형에 1명(100%), III형 2명(50%)에서 관찰되었는데, 최종 시점에서는 I형 4명(30.8%), II형 1명(100%), III형 1명(33.3%)이었다. 또한 증상군에서 세포성 반월체형성과 세뇨관위축의 빈도가 높았으며, 사구체 혈관벽 비후와 사구체 간질의 증가의 정도가 집단뇨검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김명환, 이상천 (2002). 과학영재교육체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2(1), 61-76
  2. 교육부 (1997). 과학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4. 김양분, 김미숙 (2002). 입시 학원의 교육 실태분석. RR 2002-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언주 (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1), 1-17
  6. 김영민, 박승재 (2001). 비유론과 과학교육. 서울 : 원미사
  7.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정휘 (1997). Sternberg의 성공지능(SI)에 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7(1), 145-164
  9.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 (I). CR 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흥, 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1. 박승재 (1991). 과학적 탐구 사고력 평가. 대학수학능력 시험 연구 자료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물리학습 연구실, 1991
  12. 박인호 (2002) 과학영재학교 교육.학사 운영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과학영재학교 설립 정책 연구팀
  13. 박종원과 박종석 (2003). 과학적 창의성 평가를 위한 3차원 틀.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43차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14.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 학문사
  15. 오영주 (1997). 수행평가를 활용한 영재 판별. 영재교육연구, 7(1), 77-115
  16. 우종옥 (2003). 과학영재의 평가틀. 제 43차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과학교육학회
  17. 우종옥, 이항로 (1995). 고등학생의 지구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개발. 한국교육학회지, 15(1), 92-103
  18. 이군현 (1989). 영재교육학. 서울 : 박영사
  19. 전경원 (2000).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 학문사
  20. 최경희, 이영애, 류수경 (2003).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과학교육학회지, 23(2)
  21. Davis, J. E., & Rimm, S. (1985).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J:Prentice-Hall
  22.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model for creativity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Sanborn, M. P. (1977). A statewide program in the discovery and guidance ofgifted students, In J. C. Stanley (Ed.),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llectualprodigies. Batimore, Maryland: The John Hopkins Univ. Press
  24. Feldhusen, J. F. & Jarwan, F/ A. (1993).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youth for educational programs. In K. A. Heller, F. J. Monks & A. H.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development of giftednessand talent. Oxford: Pergamon
  25. Platow, S. A. (1984). A bandbook for identifying the G/T. Ventura CountySuperintendent of Schools Office
  26. Dewey, J. (1910). How we think. Boston: D. C. Heath
  27. Getzels, J., & Jackson, P. (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New York : Wiely
  28. Guilford, J. P.(1970).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SanDiego, CA : R.R. Knapp
  29. Isaksen S. G., & Treffinger, D. J. (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 The basiccourse. Buffalo, NY: Bearly
  30.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gftedness? Reexamming a Definition. PhiDelta Kappan, 60(3), 180-184, 261
  31. Torrance. E. P.(1977). Creativity in th class room : What research says to theteacher, Washington D.C. :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32. Treffi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1994)., Creative Problem Solving: An Overview. In M. A. Runco. (Eds). (pp. 223-237). Norwood, NJ : Ablex
  33. Urban, K. K. (1995). Creativity-A Component approach model. A paper presentedat the llth world conference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Hong Kong : July 31-August 4
  34.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35. Weisberg, R. (1986). Creativity : Genius and other myths. NY : W. H. Freemanand Company
  36. Woolfo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London: Allyn andBacon
  37. Miller, A. I. (1996). Metaphors in creative scientific thought, Creativity ResearchJournal, 9, 113-130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902&3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