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학생들의 Mentorship교육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entorship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 발행 : 2003.09.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교육에 있어서 Mentorship 교육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학교 부설 영재 교육원에서 수학중인 학생 중 심화 단계에서 Mentorship의 신청을 받아 실시하고 수행과정의 특성관찰과 설문지를 통한 학생들의 의견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Mentorship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고, 실험설계를 직접 수행함으로서 과학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신장되었으며. 논문을 직접 발표함으로써 실제 과학 활동을 통한 과학자의 자긍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설문 결과 학생들이 느끼는 Mentorship의 결과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Mentorship은 영재학생들에게 체험과 사고의 폭을 넓히고 과학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usefulness of the Mentorship program for gifted science students. The usability has been proved by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a group of mentorship education students. Among those surveyed some are the students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in university. Students have improved their own study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planning on their own, and presented their papers through Mentorship program, and it is possibly observed that they have their own dignity as scientist by performing the actual science activities. Also,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ship program is very positive onto the students. Mentorship program i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 to widen the students' experience chances, and the depth of thought, and improve the scientific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2년 경남대학교 영재교육원 영재 선발기준
  2.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울산광역시교육청(2002)년도 영재교육연수 교재
  3. 김영민, 이성이, 정성오(2002). 델파이 조사 방법을 이용한 물리 영재 교육 과정 구성. 영재교육연구, 12(4), 46-71
  4. 김흥원(2002).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자질 및 양성, 임용. 영재교육연구, 12(2), 93-125
  5. 박성익(1996.)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방법 및 교수전략. 영재교육연구, 5(1), 81-112
  6.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흥,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7.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 22(1), 158-175
  8.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 2. 한국과학교육, 21(1), 135-148
  9. 이길성,(2001).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0. 임선하 옮김(1990). 과학 재능의 교육. 서울: 현대과학신서
  11. 홍숙희, 김성원(2000). ERIC 검색을 통한 미국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과학교육, 20(1), 112-136
  12. 정영란, 배재희,(2002).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 22(4), 872-881
  13. 조석희, 강숙희, 장영숙, 정태희, 이혜주(2002).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영재심화 교수-학습모형과 그 적용. 영재교육연구, 12(2), 31-56
  14. 조희형, 박승재(2001). 과학론과 과학교육(2판). 서울: 교육과학사
  15. Kurt A. Heller, Franz J, Mornks, Tobert J. Sternberg & Rena F. Subontnik (2000). Giftedness and Talent. Elsevier Science Ltd. U.S.A
  16. Colangelo, N., & Davis, G. A.(1997).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 Bacon, U.S.A
  17.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https://doi.org/10.3102/0013189X023007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