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Feeding Multiple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혼합 미생물제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류경선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 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과학과) ;
  • 신원집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 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과학과) ;
  • 박재홍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 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과학과) ;
  • 류명선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 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과학과) ;
  • 김종설 (전북대학교 생체안전성 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과학과) ;
  • 김상호 (축산기술연구소 가금과) ;
  • 리홍룡 (연변대학교 농학원 동물과학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Feeding probiotics in broiler chicks still critical in several aspect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eeding multiple probiotics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blood cholesterol and ND antibody vaccine titer in broiler chicks. Three hundred twenty one day old male broiler chicks(cobb ${\times}$ cobb) were divided into four levels of multiple probiotics(0, 0.1, 0.2, 0.3%) with five replicates for 35 days. Basal diets contained 21.5, 19.0% CP and 3,100 kcal/kg ME for starting and 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measured weekly. The number of Salmonella, E. coli, Lactobacillus, and yeast were examined from ileum and cecum at the end of experiment. ND vaccine titer, cholesterol were detected from sera. Weight gain of birds fed probiotics were 669.33, 679.75 at the level of 0.1 and 0.2% supplemental groups for starting period. It was also improved in those treatments for finishing period and higher than control for total period. Feed conversion tended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y the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for the first three weeks and seemed to show the similar tendency for the rest of two weeks. It was 1.611, 1.621 for the entire feeding period and improved compared with control. Total salmonella, was not decreased in ileal digesta of birds fed the probiotics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the number of yeast increased in 0.1% treatment. However, the number of Lactobacillus and yeast in cecum was higher than control. Even though the blood cholesterol seem to high in 0.1% probiotics treatment,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showed higher than control. ND vaccine titer of birds fed probiot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P<0.05). These results 0.1% multiple probiotics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and ND vaccine titer.

육계에서 생균제의 급여에 대한 효과는 의견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육계 사료에 혼합 미생물제의 첨가가 성장능력, 장내 미생물, 혈중 콜레스테롤, 백신 항체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1일령 코우브 육계 수컷 320수를 혼합 생균제 0, 0.1, 0.2, 0.3%수준의 사료에 5반복으로 평사에서 35일간 사양실험을 하였다. 기초사료의 영양소는 사육전기와 후기에 각각 CP 21.5, 19%와 대사에너지는 3,100 kcal/kg으로 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장내 살모넬라, 대장균, 유산균, 효모균 수는 실험 종료시에 회장과 맹장에서 측정하였다. ND 백신 항체가와 콜레스테롤도 실험 종료시에 처리구별로 채혈한 후에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미생물제 0.1과 0.2% 급여구에서 사육전기에 증체량은 669.33, 679.75g으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사육후기에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사육 전기 3주간에 사료요구율은 미생물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 사육기간에 1.611, 1.621로서 대조구의 1.660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미생물 급여구에서 ND백신 항체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증대되었으며, 회장 소화물의 살모넬라수는 감소되지 않았지만 효모균 수는 0.1% 급여구에서 증가하였다. 맹장에서는 유산균과 효모균 수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중전체 콜레스테롤은 0.1%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을지라도 HDL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육계사료에 혼합 미생물제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능력과 간접적으로 면역능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대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회장에서는 살모넬라 및 대장균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O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장내미생물총 및 사육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have a headache (2.10±0.79)', 'poor memory (2.09±0.83)', 'no appetite (1.99±0.85)',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iron parameter and clinical symptoms related to anemia, the hematocrit rat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et a cold easily', 'pale face', 'feeling blue', 'difficult digestion' (p<0.05). The level of ir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red out easily', 'get a cold easily' (p<0.05) and TS (%)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red out easily (p<0.05)', 'get a cold easily (p<0.01). Our study resulted that the prevalence of a iron deficiency of a middle school girl is very high, therefore the guidelines for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al education to improve their

Keywords

References

  1. Br. Poult. Sci. v.37 The influe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acitracin on layer performance of chickens and cholesterol content of plasma and egg yolk Abdulrahim,S.M.;Hddadin,M.S.Y.;Hashlamoun,E.A.R.;Robinson,R.K. https://doi.org/10.1080/00071669608417865
  2. Avian. Dis. v.19 Preparation of newcastle disease virus hemagglutination-inhibition test atnigen Beard,C.W.;Hopkins,S.R.;Hammond,J. https://doi.org/10.2307/1589182
  3. Poultry Sci. v.70 The role of intestinal microflora on the prevention of Salmenella colonization in chickens Baba,E.;Nagaishi,S.;Fukuta,T.;Arakawa,A. https://doi.org/10.3382/ps.0701902
  4. Poultry Sci. v.77 Effect of yeast supplemented feed on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population in broilers Line,J.E.;Bailey,J.S.;Nelson,A.C.;Norman,J.S.;Tohmas,T. https://doi.org/10.1093/ps/77.3.405
  5. Res. Vet. Sci. v.71 no.3 Biological suppression of aflatoxicosis in Japanese quail(Coturnix coturnix japonica) by dietary addition of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Parlat,S.;Ozcan,S.M.;Oguz,S.M. https://doi.org/10.1053/rvsc.2001.0512
  6. Br. J. Nutr. v.10 no.74 Effect of dried Bacillus subtilis culture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hepatic lipogenic enzyme activity in female broiler chicks Santoso,U.;Tanaka,K.;Ohtani,S.
  7. SAS/STAT Guide(Version 6.12) SAS Institute
  8. Anim. Feed Technol. v.53 Effects of inclusion of microbial cultures in baley-based diets fed to laying hens Tortuero,F.;Femandez,E. https://doi.org/10.1016/0377-8401(94)00747-W
  9. Poultry Sci. v.76 Effect of feeding diets containing an antibiotic, a probiotic, or Yucca extract on growth and intestinal urease activity in broiler chicks Yeo,J.M.;Kim,K.I. https://doi.org/10.1093/ps/76.2.381
  10. Br. Poult. Sci. v.43 no.4 Effect of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crispatus, Clostridum lactatifermentans and dietary lactose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mal microflora and volatile fatty acids in the caeca of broiler chicks Van der Wielen,P.W.;Van Knapen,F.;Biesterveld,S. https://doi.org/10.1080/0007166022000004453
  11. Br. Poult. Sci. v.12 no.41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response of two commercial broiler strains fed diets containing Lactobacillus cultures and oxytetracycline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Zulkifli,I.;Abdullah,N.;Azrin,N.M.;Ho,Y.W.
  12. 한국가금학회지 v.27 no.1 육계 생산성 및 맹장 내 미생물에 대한 유산균의 첨가효과 김상호;박수영;유동조;나재천;최철환;박용윤;이상진;류경선
  13. 한국가금학회지 v.28 no.1 유산균과 버지니아마이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류경선
  14. 한국가금학회지 v.13 no.1 생균제와 항생제가 병아리의 성장과 장내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 남궁환;손익환;정진성;백인기
  15. 한국가금학회지 v.25 no.1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류경선;박홍석
  16. 한국가금학회지 v.28 no.1 단일 및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류경선;여영수;류명선;박홍석;김상호
  17. 한국가금학회지 v.28 no.1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수영;김상호;유동조;이상진;류경선
  18. 한국가금학회지 v.45 no.1 효모배양물의 첨가사료가 계사내 유해가스 발생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류명선;김상호;나종삼;김종승;류경선
  19. 전북대학교 논문집 목초액과 생균제의 급여가 가금의 생산성 및 생리작용인자에 미치는 영향 이홍룡
  20. 농업논문집 v.35 항생제 및 생균제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인규;이상철;이진희;이금기;이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