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Pipe Deterioration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의 개발 (II) - 적용 및 분석 -

  • 김응석 (고려대학교 부설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is study(II) apply to the A city by using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based on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proposed the study(I).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divides factors into 14 factors with digging and experiment and 9 factor without digging and experiment and calculate the deterioration degree.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show that a difference of the deterioration degree according to factor numbers is within 1~2%. Also, the model can predict the deterioration degree of each pipe without digging and experiment.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is divided into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of each deterioration factor and budget constraint or not. The application result is as follow: the rehabilitation time and cost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When compared the model with budget constraint and model without budget constraint, the former model increase the cost of total contents. In case of budget constraint, the increasing tendency is concluded that the pipe rehabilitation is executed in same budget every year in condition that every rehabilitation cost do not exceed the every year budget within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본 연구(II)는 연구(I)에서 제안한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을 A시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노후도 예측 모형은 굴착 및 실험이 필요한 14개 항목과 굴착 및 실험이 필요하지 않은 9개 항목을 구분하여 각각 관의 노후도 등급을 산정하였다. 노후도 예측 모형 적용 결과 항목개수에 따른 등급의 차는 l~2% 이내로 굴착 및 실험을 하지 않고도 노후도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개량 모형은 노후도 항목별 최대 잔존수명과 제약조건 유무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항목별 최대 잔존수명의 증가에 따라 개량 시기 및 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예산제약을 제외한 모형과 비교해서 예산제약을 고려한 모형이 모든 항목에서 비용이 증가되었다. 이는 예산제약을 고려할 경우 실제 주어진 최대 잔존수명 기간이내 매년 발생하는 예산의 최대 금액을 넘지 않은 대신에 매년 비슷한 비용으로 개량을 실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응석, 김중훈, 이현동, 정원식, 곽필재 (2002). '상수관로의 노후도 평가 : (I) 조사 방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371-376
  2. 김응석, 김중훈, 이현동, 정원식, 곽필재 (2002). '상수관로의 노후도 평가 : (II) 영향 인자 및 가중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419-424
  3. 곽필재, 이현동, 정원식, 이희수, 김중훈, 김응석 (2000). '상수도 관로내 부식성 수질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상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223-236
  4. 안윤주, 이현동 (1996). '국내 중.소도시 수도관의 파손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제 10권, 제1호, pp. 96-111
  5. 이창용, 김응석, 신현석, 김중훈(2000). '확률적 신경망을 이용한 상수도 노후관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2-B호, pp. 197-210
  6. 정원식 (2001). 상수도 배수관의 노후도 평가 및 최적 개량시기 결정모델.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7. 정해룡, 서규태, 이택순, 김운지, 이현동, 정원식 (1997). '상수도관 부식에 미치는 수질인자의 복합적 상호작용', 대한환경공학회 1997년 추계학술발표회, 대한환경공학회, pp.271-274
  8. 환경부 (2001). 유수율 제고 연구
  9. 환경부 (2002). 관망의 진단, 개량 및 부식방지 기술개발
  10. 황규대 (1996). 수도관의 부식과 방식대책,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소
  11. 한국수자원공사 (1995). 수도관 개량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12. Clark, R. M.,S tafford, C. L. and Goodrich, J. A. (1982). 'Water distribution systems: a spatial and cost evaluati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 ASCE Vol. 108, pp. 243-257
  13. O'Day, D. Kelly. (1986). 'Guidance Manual : Water Main Evaluation for Rehabilitation/Replacement.' AWWA Research Foundation, No. CR810988. pp. 55-86
  14. D. Kelly, O' Day. (1982). 'Organizing and Analyzing Leak and Break Data for Making Main Replacement Decision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Work Association, Vol.74, No.11, pp.589-597
  15. Shamir, U. and Howard, C. D. (1979). 'An Analytic Approach to Scheduling Pipe Replac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 71, No. 5, pp.248-258 https://doi.org/10.1002/j.1551-8833.1979.tb0434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