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후도 예측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the Maintenance System for Gate Bridge (배수갑문 노후도 감시시스템 구축연구)

  • Kim, Kwan-Ho;Cho, Young-Kweon;Kim, My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25-1028
    • /
    • 2008
  • Using of maintenance system for gate bridge algorism, We made out algorism and engine for prediction of life cycle by neutralization, freezing-thawing and damage from sea wind. To objective of this system, user can use easily with maintenance system for gate bridge. Also, to improve of maintenance efficiency, web-program made out by superannuated evaluation and analysis of field exposure data. To develope web-program, we framing structure design of database, which is adapted to method of maintenance, repair, and reinforcing

  • PDF

Development of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Pipe Deterioration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의 개발 (II) - 적용 및 분석 -)

  • Kim, Eung-Seok;Park, Moo-Jong;Kim, Joo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1
    • /
    • pp.61-74
    • /
    • 2003
  • This study(II) apply to the A city by using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based on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proposed the study(I).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divides factors into 14 factors with digging and experiment and 9 factor without digging and experiment and calculate the deterioration degree.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show that a difference of the deterioration degree according to factor numbers is within 1~2%. Also, the model can predict the deterioration degree of each pipe without digging and experiment.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is divided into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of each deterioration factor and budget constraint or not. The application result is as follow: the rehabilitation time and cost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When compared the model with budget constraint and model without budget constraint, the former model increase the cost of total contents. In case of budget constraint, the increasing tendency is concluded that the pipe rehabilitation is executed in same budget every year in condition that every rehabilitation cost do not exceed the every year budget within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An Analysis on the Predictor Keyword of Successful Aging: Focused on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성공적 노후 예측 키워드 분석)

  • Hong, Seo-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223-234
    • /
    • 2020
  • This research is the association rule analysis using Apriori algorithm of data mining focusing on 32 predictive key words extracted from Hong (2019) affecting successful aging in Korea. And, to examine rules and patterns of those key words or predictive variables, this research used support, confidence, and lift.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R version 3. 5. 1 program, and visualized using arulesViz package and visNetwork.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high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in Korea were 'hobby', 'volunteer service', 'preparation', and 'exercis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variable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of all for successful aging in Korea is 'hobby', followed by 'volunteer service', 'preparation', and 'exercise'.

Development of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Pipe Deterioration (I) - Theory and Development of Model -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의 개발 (I) - 이론 및 모형개발 -)

  • Kim, Eu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1
    • /
    • pp.45-59
    • /
    • 2003
  • The method in this study, which is more efficiency than the existing method, propose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based on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of the laying pipe by using the deterioration survey method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divides the deterioration degree of each pipe into 5 degree by using the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Also, the optimal residual durability is estimated by the calculated deterioration degree in each pipe and pipe diameter.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by integer programming base on the shortest path can calculate a time and cost of maintenance, rehabilitation, and replacement. Also, the model is divided into budget constraint and no budget constraint. Consequently, the model proposed by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quantitative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Study on the Decision Priority of Rehabilitation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Pipe Deterioration (상수관로 노후도 평가를 통한 개량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 Park, In-Chan;Kwon, Ki-Won;Cho, Won-Cheol;Cho, K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91-1394
    • /
    • 2006
  • 노후 상수도관의 개량사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노후관 개량사업은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는 노후관 평가 및 대안의 선정,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적 차원의 개량 사업을 실시함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은 물론 시스템의 유기적 기능향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 중에서 아연도 강관, 도복장 강관, 닥타일 주철관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접 채취된 관체 시편을 대상으로 육안분석, 관체분석, 그리고 토양부식성 등을 평가하여 채취한 관의 노후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기본적으로 노후도 평가를 점수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후 수도관 개량사업 추진 내용에서 개대체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상수관로 노후도 영향 인자 및 가중치 추정은 현재 매설된 상수관로의 노후진척도를 평가하기 위한 노후도 예측모형의 기본 요소이며,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관로 노후진척도 분석의 정확도는 장기간의 자료 수집을 통하여 이루어져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대상관로를 이용하여 개발된 제안식은 향후 지속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보완이 필요하겠지만, 노후수도관의 개량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Improving the water network management using the GIS (GIS를 이용한 상수도 배수관망 최적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전철민;구자용;고준환;김병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75-279
    • /
    • 2003
  • 2002년 현재 서울시는 99.99%에 이르는 높은 상수도 보급율에 비하여 유수율은 선진국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연결되는 송수관과 배수지에서 각 가정으로 보낼 때 사용되는 배급수관에서의 누수 발생이 주 원인이며, 이는 곧 체계적인 관망 설계 및 운영이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수관로의 누수현상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 노후관로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노후관망 교체 등 유사시에 안정적인 상수의 공급을 위해 배수지간을 연결하는 대안 관로를 둘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관망의 경로를 적절하게 설계해야 하는 것도 주요한 상수 공급 문제 중의 하나이다. 2000년 서울시 수도 정비 기본 계획의 관망 정비계획에 따르면 배수관리를 원활하게 하고 누수를 효율적으로 탐지·방지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관망구성은 배수지 중심의 블록 시스템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노후관망을 관리하고, 대안 관망경로를 구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지를 중심으로 한 블록 단위기반의 관망 노후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과 함께, 유사시를 대비한 최단/최적의 대안 경로를 산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를 서울 일부지역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점검하였다. 상수도 관망의 설치 계획은 상수도 시설의 규모의 확장과 시설계량에 있어 대규모의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설투자에 있어 정확한 예측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측과 분석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상수도 배수 블록 노후도 관리 시스템과 최단/최적 연결 경로 산출 시스템을 구현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수도의 관망 노후도의 분석을 화면상에서 다양한 요소별로 하게 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의 관망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2. 또한 이와 함께 대안 관망들을 사용자가 직접 대화식으로 빠르게 설계하고 이들의 경로와 공사비용 등을 산출해 봄으로써, 후보 최적 경로들을 공간적,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다.

  • PDF

Residual life and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according to pipe corrosion (상수도관의 부식에 따른 잔존수명 및 파괴확률)

  • Lee, Jae Hyeon;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0-420
    • /
    • 2021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관의 두께 및 강도가 감소하여 점차 상수도관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노후 상수도관은 누수, 적수 등 수자원에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고 사람들에게 많은 불편을 끼친다. 현재 우리나라도 전체 상수도관 중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교체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상수도관의 노후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관망의 최적 교체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교체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도 분석에 중요한 관의 부식깊이와 잔존수명을 예측하고 신뢰성해석을 통해 파괴확률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Romanoff(1957)와 환경부(2002)에서 실측한 상수관의 관종에 따른 관두께 변화를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실측 자료를 통해 부식깊이, 잔존수명 예측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관의 파괴확률을 산정하였다. Romanoff(1957)의 혼합강관과 주철관에 대한 실측 자료를 사용하여 상수관의 사용연수가 10년, 20년, 30년 경과됨에 따른 부식깊이와 관파괴확률을 산정하였다. 혼합강관의 경우 사용연수에 따른 부식깊이는 0.57mm, 0.92mm, 1.21mm으로 산정되었으며, 주철관의 경우 0.16mm, 0.24mm, 0.31mm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신뢰성모형을 직경 300mm관에 적용한 결과 최대 상수도압 15kg/cm2에서 혼합강관의 사용연수에 따른 파괴확률은 3.36%, 4.65%, 6.18%로 나타났으며 주철관은 1.36%, 2.50%, 2.68%로 나타났다. 환경부(2002)의 주철관에 대한 부식 실측 자료를 통해 상수관의 사용연수 10년, 20년, 30년 경과에 따른 부식깊이와 관파괴확률을 산정하였으며 초기 관두께 측정 자료를 통해 잔존수명도 예측하였다. 부식깊이는 1.02mm, 1.25mm, 1.41mm으로 산정되었으며, 파괴확률은 5.15%, 6.30%, 7.35%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잔존수명의 경우 부식률이 20%일 때, 잔존수명은 약 30년으로 산정되었다.

  • PDF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research of Philippines Baby Boomer overseas Korean (필리핀 베이비부머 교민의 성공적 노후준비)

  • Park, Hyun-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0
    • /
    • pp.302-312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fluences and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life after retirement of Koreans living in Philippine. The subject of survey is the generation of baby-booming(born from 1955-1963) and it was done from June 1 to August 15 in 2011. 150 survey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and 126 answered sheets returned. Among them 105 that are to be recognize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 survey is to provide basic sources and information for setting up policies and programs of aged life of the generat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answers are in comparatively good financial level including average level of physical readiness and mental stability. Relative impacts are also strong in mental attitude and emotional preparation.

항만인프라 노후화 예측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최우근;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0-232
    • /
    • 2023
  • 항만인프라 노후화 예측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는 스마트 유지보수 기술이 반영된 디지털 트윈 및 빅데이터 기반 관제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해 발생에 의한 항만 인프라 피해 및 미래 노후를 예측하기 위한 항만인프라 노후화 예측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방법에 대한 연구 내용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