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An Intensification Plan of Technical Competitive strength in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y

  • 발행 : 2002.09.01

초록

엔지니어링의 비용은 공사비의 $3{\~}5{\%}$ 차지하나, 최종 사업목적물의 성능이 결정되는 단계인 만큼 사업초기단계에서 엔지니어링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설계기술력을 선진국과 비교할 때, 계획단계 및 기본 실시설계, 시공단계는 각각 $63\%$, $66\%$, $73\%$로써, 사업초기단계로 갈수록 선진국의 기술수준보다 낙후되어 있다. 특히, 국내 설계기술력은 정부 및 업체의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부족과 불확실한 결과 등의 이유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엔지니어링 분야의 해외진출 실적은 매우 미미하며, 국내 대형국책건설사업에 선진외국의 유사기술을 반복적으로 도입하고서도 고유기술화 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초기단계에 필요한 기획 및 설계기술을 향상시킴으로 국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고품질의 생활기반을 제공하고, 나아가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우리나라의 특화된 엔지니어링 기술을 수출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시장개방 및 세계의 통합화 추세 등 급속한 경제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설계분야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st of Engineering is composed of the $3{\~}5{\%}$ of total cost of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he role of engineering in the first stage of the business. But, it was not more the technical level of domestic design stage than advanced state. Expecially, it was because of the cognition lack and unreliable results about technical development. The result of that, it was lacking to the draw results of foreign countries. And it was to waste national budget through overlapped adopting of similar technologies from abroad that few projects are performed as their original plan. Therefore, the research is proposed to the intensification plan of technical competitive strength in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y to cope with the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박환표외 5 인, '건설엔지니어링 발전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1998. 6
  2. 박환표외 3 인, '설계기술력 중 . 장기 정책개발 연구', 건설교통부, 2001. 11
  3. 김수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건설엔지니어링 진흥방안',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2000. 7
  4.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엔지니어링제도개선 공청회', 엔지니어링 2001, 신년호
  5. 김예상, '국내건설사업관리 사업추진을 위한 벤치마킹',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7. 12
  6. 이교선, '건설기술 수준지표 개발 및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9 . 3
  7. http://www.enr.com/new/cover120400.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