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인력의 수급효율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of Technical Manpower in Construction

  • 발행 : 2002.09.01

초록

국내외 건설규모가 축소됨에 따라 건설기술인력의 신규 인력채용기피 및 수급상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대학졸업자의 취업이 극히 어려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대학졸업자의 취업률이 $35\%$미만으로 나타나는 등 건설기술인력의 실업대책이 중요한 사안으로 부상하였으나, 건설기술인력의 과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미흡하였다. 또한 대학졸업자의 교육성과에 있어서도 다양화, 첨단화되고 있는 건설산업 현장에서의 수요에도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03{\~}2008$년간의 건설기술인력의 수급예측을 하였고, 과잉공급된 건설기술인력의 수급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SOC 투자확대, 미취업 건설기술인력의 IT분야 유도, 해외진출 확대 등 건설기술인력의 고용창출방안과 더불어, 건설관련 학과의 탄력적 운영, 기업수요에 대응한 대학교육 등 양적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건설기술 과잉인력의 수급대책을 마련하였다.

University graduates from construction-related departments are undergoing serious difficulties in getting a job as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uctant to employ new personnel due to the depress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s been downscaled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In the situation is like this, statistic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among the university graduates is less than $25\%$, the unemployment problem in the construction sector has started to demand urgent countermeasures. This report anticipated demand and supply for technical man power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 between 2002-2008. For preparation of an effectiveness of supply and demand plan on over-supplied in construction technical man power, this suggested expansion of SOC investment, induced into IT field of unemployed construction manpower, enlargement of overseas construction manpower And this considered an elastic opera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rranged an excess supply and demand of construction technical manpower,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education that will meet with demand of enterprise, etc. on both side of quantity and quality simultaneously.

키워드

참고문헌

  1. 2001년 종합실업대책, 노동부, 2001
  2. 건설기술자 현황, 한국건설기술인협회, 2000
  3. 박환표 외 7 인, 지식기반사회의 건설기술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4. 이교선 외 4인, 설계기술력 중장기 정책개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5. 이교선 외 6 인, ‘건설기술인력 수급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6. 이교선 외 5 인, ‘건설기술인력 관리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7. 김수삼외 16인, ‘건설기술력 제고를 위한 합리적인 인력관리와 협회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인협회, 2000
  8. 이준환 외 10인,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와 수요전망’, 한국건설산업 연구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