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 품질관리비 신출기준 개선방안

Improved Estimating Guideline for Quality Management Cost

  • 발행 : 2002.09.01

초록

1997년 건설교통부는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을 통해 국내 품질관리체계를 정립하였다. 개정된 법제도하에서는 발주자가 건설공사비에 품질관리비용을 계상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법제도 및 관련규정들 간에 품질관리원의 역할 책임 등에 다소 차이가 있어 비용계상의 대상업무 범위가 불분명한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규정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비용 계상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품질관리원의 역할을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품질관리비 산출기준(안)을 제시하였다.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a domestic quality management system under the Law for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which was revised in 1997. This Law prescribes that the owner has to assign quality management cost into the construction project budget However, there are some conflicts among internal regulations and prescriptions on the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was not specific.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research identifies proper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and suggests an approach for an improved estimating guideline for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c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래, '건설공사 품질관리비 산정과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6.,8
  2. 김균태 외, '건설공사 품질관리비용 산출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1권 제2호,2001.10
  3. 대한건설협회,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 보고서', 1999.12
  4. 대한건설협회, '건설업 통계연보', 1998-1999, 2000
  5. 이종일, '건설공사 품질향상을 위한 조직 및 관리의 체계회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1994
  6. 조미란 외, '품질관리비 사용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8. 12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국립건설시험소, 1998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품짐관리체계 정립방안’, 건설교통부, 1997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품질 . 안전관리 통합시스템 구축' 건설교통부, 2000
  10.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99년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 조사보고서', 1999. 12
  11.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A Guide to Quality Assurance', 1991
  12. Feigenbaum. A., 'Tot al Quality Control' , Havard Business Review. Vol. 34. 1956
  13. Oliver, G. B. M., 'Quality Managementin Construction', CIRIA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