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Season and Salinity Gradients

계절과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 Park, 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Pyung-G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ang, Sung-Ryull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gju University)
  • 박철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 이평강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 양성렬 (광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was studi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is estuary, marine taxa predominated in all seasons and very limited number of freshwater species appeared. The total abundances showed a seasonal fluctuation. The highest total abundance appeared in spring with over 3,000 individuals/m$^3$. In summer, the high abundance was sustained although it decreased a little. The abundance was minimal in fall with about 500 individuals/m$^3$. When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alinity regimes, oligohaline (salinity less than 5 psu), mesohaline (5${\sim}$18 psu), and polyhaline zone (over 18 psu), the zone of high abundance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each salinity regime changed seasonally. In fall, marine copepods predominated in oligohaline zone while marine species other than crustaceans dominated in polyhaline zone. However, in winter copepods predominated in all area. In spring and summer, holozoic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dominated in higher salinity regimes. We listed major copepod species of each salinity regime for each season with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s (T) and salinities (S) of their occurrence. T, S's of maximum abundances of those major copepod species were also reported. The observed very wide tolerance ranges of major copepod species for salinit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indicator species' should be used in quantitative context rather than qualitative.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 경사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양적 분포를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하구역이라 하나 전 계절 연안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전 계절 담수 유래종은 매우 미약하였다. 평균 총량으로 봄에 3,000 개체/m$^3 $이상의 많은 개체수가분포하며 여름에 다소 감소하나 여전히 많은 개체수 분포를보이고 가을에 약 500 개체/m$^3$수준으로 감소하였다가 겨울부터 증가하는 계절적 변동을 보였다. 염분 범위에 따라 저염분역(염분 5 psu이하), 중염분역(5~18 psu), 고염분역(18 psu 이상)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계절의 진행에 따라 가장 많은 양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는 염분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종 조성에서도 계절별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가을철에는 요각류가 저염분역에서 우세하나 고염분역으로 가면서 갑각류 이외의 종들이 우세하였고, 겨울철에는 전 지역에서 요각류가 우세하였다. 봄철에는 대상 해역이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으로만 구분되었는데, 중염분역에서는 요각류,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우점하였다. 여름철에는 저염분역에서는 요각류가,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더 많았다. 요각류 군집만을 대상으로 염분 구역별 주요 우점 종을 열거하였고, 이들의 출현수온, 염분 범위와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인 지역의 수온 염분을 제시하였다. 이들 요각류의 염분 내성 범위는 매우광범위하게 나타나 지시종의 개념이 요각류에 있어서는 출현 유무라는 정성적인 개념보다는 양의 많고 적음이라는 정량적인 개념에서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이 맞닿는 지역으로 Sternaspis scutata가 가장 우점하였다. 과거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저서다모류군집은 출현종수, 서식밀도와 우점종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과거의 조사결과에서는 우점종이 Sternaspis scutata와 Eteone longa이었으나, 본 조사에서는 이 종들의 서식밀도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와 Heteromastus filiformis가 서식밀도는 낮지만 새롭게 우점종으로 대두하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볼 때, 득량만은 한국의 다른 만들과는 달리 아직까지 오염이 덜한 해역인 것으로 사료되나, 환경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분포는 다양한 무기 환경 요소들 가운데 일차적으로 저층수의 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 결과, $CH_4$ 농도의 증가율이 무안과 태안 지역에서 각각 연간 16.5, 14.8 ppb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관측점 주변에 복잡한 배출원의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안지역의 $CH_4$ 농도변화와 풍향과의 연계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에 의하면, 동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고농도의 값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는 남서풍의 풍계시에는 비교적 낮은 $CH_4$ 농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CH_4$의 장주기적 분포특성은 연구대상지역의 복잡한 배출${\cdot}$소별작용과 연계되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산학회지 v.23 no.5 한국 연안의 요각류 중 Acartia clausi로 분류되어지고 있는 종에 대한 재검정 및 분포에 대한 연구 강영실;이삼석
  2. 한국수산학회지 '바다' v.6 no.2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 경사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현종량과 종 조성 권기영;이평강;박철;문창호;박미옥
  3. 한국육수학회지 v.33 no.2 섬진강 하류계의 요각류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김광수;이종빈;이관식;강장원;유형빈
  4. 한국해양학회지 v.26 no.3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염분 서해립;서호영;차성식
  5. 한국수산학회지 v.24 no.4 한국연안에 분포하는 Acartia속 요각류의 분류학적인 재검토 유광일;허회권;이원철
  6. Supplemento (Simposio sulla Classificationedella Acque Salmastre. Venizia 8-14th Aprile, 1958) Symposium on the classification of brackish waters. Venice 8-14th April 1958. Archivio di oceanografia Limnologia Volume 11. Anoymous
  7. Korea. Bull. YosuNat'l Univ v.13 no.2 The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wangyang Bay Choi, S. D.;Y. S. Kim;K. H. Han
  8. Hydrobiologia v.26 Les differentes categories de plankton Dusart, B. H. https://doi.org/10.1007/BF00142255
  9. Acta Oecologica v.21 no.3 The distribution of estuarine fish larvae: Nutritional condition and co-occurrence with predators and prey Esteves, E.;T. Pina;M. A. Chicharo;J. P. Andrade https://doi.org/10.1016/S1146-609X(00)01078-X
  10. Limnol. Oceanogr. v.6 Some relations of esturarine organisms to salinity Gunter, G. https://doi.org/10.4319/lo.1961.6.2.0182
  11. Prog. Oceanog. v.25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and standing stock of benthos, epibenthos, and plankton in the Columbia River Estuary Jones, K. K.;C. A. Simenstad;D. L. Higley;D. L. Bottom https://doi.org/10.1016/0079-6611(90)90008-P
  12. Bull. Plankton Soc. Japan v.33 no.1 Growth characteristics of a brackish=water calanoid copepod Sinocalanus tenellus in relation to temperature and salinity Kimoto, K.;S. Uye;T. Onbe
  13. Han River estuary. MS thesis An ecological study of zooplankton community in brackish water Myung, C. S.
  14. Oceanological Acta v.22 no.1 Evidence of heavy predation by Noctiluca scintillans on Acartia clausi(Copepoda) eggs off the cetral Cantabrian coast(NW Spain) Quevedo, M.;R. Gonzalez-Quiros;R. Anadon https://doi.org/10.1016/S0399-1784(99)80039-5
  15. Korean J. Environ. Biol. v.11 no.1 Seasonal fluctuation of the abundance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Kwangyang Bay Soh, H. Y.;H. L. Suh
  16. Mar. Ecol. Prog. Ser. v.28 Factors controlling seasonal succession of the cpepods Acartia hudsonica and A. tosain Narragansett Bay;Rhode Islan: tempeature and resting egg production Sullivan, B. K.;L. T. McManus https://doi.org/10.3354/meps028121
  17. J. Oceanogr. Soc. Japan. v.42 Taxonomic reexamination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opepods known as Acartia clausi in japanese coastal and inlet waters Ueda, H. https://doi.org/10.1007/BF02109100
  18. Crustaceana v.53 The Acartia plumosa T. Scott species group (Copepod: Calanoida) with a description of A. tropica n.sp. Ueda, H.;J. Hiromi https://doi.org/10.1163/156854087X00312
  19. Japan. J. Mar. Syst. v.26 Gerographic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meso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in relation to environmantal parameters in Lake Shinji-Ohashi River-Lake Nakaumi barackish-water system Uye, S.;T. Shimazu;M. Yamamuro;Y. Isgitobi;H. Kamiya https://doi.org/10.1016/S0924-7963(00)00054-3
  20. Korea. Korean J. Limnol. v.20 no.2 Ecological studies on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Yongsan Yoo, K. I.;B. J. Lim;C, I.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