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bility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Dangjin Power Plant, Asan Bay, Korea

서해 아산만 당진화력발전소 인근해역 수온 변동 특성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variability of the sea water temperatures observed off the Dangjin Power Plant in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for the period of 1998-1999. Spatial averaged temperature shows the annual range of $20.3^{\circ}C$, with minimum of $3.3^{\circ}C$ in February and maximum of $23.6^{\circ}C$ in August. Horizontal distribution patterns are seasonally reversing: The temperatures are increasing toward inshore of the period of April to October, while they are increasing toward of offshore for the rest of year. Spectral analyses of temperature records show significant peaks at M2 and S2 tidal periods, since the water movement in the study area is influenced by strong tide. The responses of temperature variations to tidal phase show different seasonal characteristics: The temperatures are increasing at flood phases in winter and ebb phases in summer. Amplitudes of the components at M2 and S2 periods are $0.8^{\circ}C\;and\;0.5^{\circ}C$, accounting for 70-80% of daily variation. Coherency analyses between non-tidal components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show that in summer, northerly wind components significantly coherent with temperature at 2.8 days period, while in winter, southerly wind component is coherent with 2.4 days period, with 0.6 and 0.7 day phase-lags, respectively.

당진화력발전소 인근해역에서 관측한 수온자료(1998년 4월${\sim}$1999년\;12월)를 이용하여 수온의 단주기 및 계절적인 변동 양상과 수평 수온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에서의 공간평균 수온은 2월(3.3$^{\circ}C$ 최저, 8월(23.6$^{\circ}C$)에 최고로 연교차 $20.3^{\circ}C$을 보였다. 연구해역 내의 공간 수온분포는 계절에 따라 역전이 되는데, 4월에서 10월까지는 외해측에서 만내측으로 증가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수온의 단주기 변동성은 강한 조류의 영향에 따라 일주기 및 반일주기의 성분이 탁월하며, 월별 수온과 조석의 M2 분조의 위상 비교에 의하면 겨울철에는 창조시에, 여름철에는 낙조시에 수온이 상승하며, 변동폭은 반일주기성분의 경우 최대 $0.8^{\circ}C$, 반일주기와 일주기의 합은 약 $1.3^{\circ}C$으로써 본 연구해역에서의 하루 수온 변동폭의 $70{\sim}80$%를 차지하고 있다. 수온의 비조석 주기성분(ms 약 0.25)과 바람과의 Coherency 분석에 의하면 여름철에는 북풍계열, 겨울철에는 남풍계열의 바람과 2.8일 및 2.4일의 주기에서 유의한 Coherency값을 보이며, 각각 0.6일과 0.7일의 위상차를 가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조사연보 v.19~48 국립수산진흥원
  2. 한국해양학회지 v.18 한국 연안 수은 및 기온의 주기분석과 상관분석 김복기
  3. 한국해양학회지 v.5 서해 제부도 해역의 간조시 갯벌 퇴적층내 지온 및 열수지의 계절변화 나정열;유승협;서장원
  4. 한국해양학회지 v.3 월성 원자력 발전소 주변 해역의 장기간 수온관측 정종률;강현우;신영재;김계영;전호경
  5. 석사학위논문 아산만의 해수순환 수치모델링 최양호
  6. 당진화력발전소 온배수 영향조사 충남대학교 해양연구소
  7. 발전소 가동이 주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삼천포, 보령화력발전소 온배수확산 예측) 한국전력공사 기술연구원
  8. 발전소 온배수 확산에 관한 2차원 수치 모델 연구 한국전력기술(주)
  9. 해양조사보고서: 당진화력 1, 2호기 설계 기술용역 한국전력기술(주)
  10. BSPE: 00049-78-2 온배수 확산 ??레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해양연구소
  11. 한국해양학회지 v.5 한국 근해 수온의 주기적 변화(I). 남해의 거문도 해역 표면수온의 년주변화 및 영년변화 한상복
  12. 한국해양학회지 v.5 한국 근해 수온의 주기적 변화(II). 삼도와 중지도 해역 표면수온의 년주변화 및 장주기 변화 한상복
  13. Fourier analysis of time series: an introduction Bloomfield, P.
  14. Special Report No. 186 in Applied Marine Science and Ocean Engineering of the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Harmonic analysis and tidal prediction by the method of least squares Boon, J. D.;K. P. Kiley
  15. J. climato. Scotland v.5 Seasonal changes in heat flux and heat sotrage in the intertidal mudflats of the Forth estuary Harrison, S. J.;A. P. Phizacklea https://doi.org/10.1002/joc.3370050502
  16. J. Oceanography v.55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Sea Surface Heat Fluxe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Na, J. Y.;J. W. Seo;H. J. Lee https://doi.org/10.1023/A:1007891608585
  17. Proceedings of the 2nd Int'l Conference n Estuarine and Cosstal Modeling/WW Div. ASCE Modeling of Heat Discharge from UI-Jin Power Plant into Coastal Waters of Korea East Sea Ro, Y.J.;T.I. Kim;H.K. Sung;S.W.;Lee;Malcolm L.S.;K. Bedford;A. Blumberg;R. Cheng;C. Swanson(edited by)
  18. Proceedings of the 3rd Int'l Conference on Hydrodynamics Realtime monitoring and modeling of the heated effluent from the Dangjin power plant in the west coast of Korea Ro, Y.J.;Kim, H.;S.H. Lee;S.J. Lee(edit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