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eight of Assessment Domain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s View Points

과학과 평가 영역간의 중요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focused on breeding an independent and creative Korean who will lead the age of globalism and information in the 21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assess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higher thinking abilities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Although teachers have been aware of this necessity, they have realize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urrent assessment methods. In this study, we selected some assessment domains on science learning wit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degree of its importance by the use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resent assessment domains on science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Inquiry, cognitive, creative, and affective domain among assessment domains seemed to b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Moreover, problem-identifying, hypothesizing, and inquiry-planning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sub categori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rrent school assessment system which is focused on cognitive domain should be improved.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의 육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요구되는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종래의 평가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방법을 개선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의 문헌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과학과의 평가영역을 선정하고,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하여 과학과 평가영역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과학과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사하였다. 평가영역간의 중요도는 탐구능력, 인지적 영역, 창의력, 정의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체 세부항목간의 중요도는 문제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의 설계, 이해 순으로, 평가의 가장 중요 영역으로 탐구능력, 그 중에서도 문제인식 및 가설 설정과 탐구의 설계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고려 할 때 인지적 영역 중심의 학교 현장의 평가 실태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수학, 과학, 기술, 가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2. 권재술, 최병순, 김찬종(1998). 국가 수준의 과학지식평가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01-615
  3. 김영문, 채수원(1996). 관광지선택에 있어서 AHP의 활용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0(1), 63-81
  4. 김정권, 송면(1994). 해외시장 진출 유형의 선택을 위한 AHP 분석. 한국무역학회지, 19(1), 179-198
  5. 김창식 등(1996). 과학학습 평가, 교육과학사
  6.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7. 김호진, 곽대오, 성민웅(2000).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학습 평가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01-111
  8. 우종옥, 김범기, 한안진, 허명(1998). 국가 수준의 탐구 능력 평가 체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17-626
  9. 우종옥, 이경훈, 이항로(1994). 과학교육학목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59-169
  10. 우종옥, 이항로, 김승훈(1997). 과학 실험 평가 도구 개발을 통한 탐구 능력 평가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65-73
  11. 유용재, 허희영(1999). AHP기법을 이용한 상용여객의 항공사 선택의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산학경영연구, 12, 239-254
  12. 이영미(1997).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조일호(1991). 탐구학습모형에 의한 학습이 창의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조훈희, 강경인(2001). 건축공사 작업 분석 및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1), 145-152
  15. 최경희(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16. 최병순(1992). 과학교육에서의 과학-기술-사회적 접근,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 양성에 기여. 과학과 기술, 25(7), 46-51
  17. 최병순, 김동찬, 남정희(1993). 지필평가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탐구능력과 실험과정에서 보여주는 탐구능력과의 관계 연구. 화학교육, 20(1), 17-26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8).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고등학교 공통과학-,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3-7
  19. Bloom(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Mckay: New York
  20. Harker, Patrick T. & Vargas, Luis G.(1987). The Theory of Ratio Scale Estimation : Saaty's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3(11), 1383-1403 https://doi.org/10.1287/mnsc.33.11.1383
  21. Goleman, D., 황태호(1996). Emotional Intelligence: 감성지능, 비젼코리아, 1996
  22.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Inc., 1980
  23. Zahedi, F.(1986).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 Survey of the Method and its Applications. Interfaces, 16(4), 96-108 https://doi.org/10.1287/inte.16.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