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7th Grade Lif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제 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 Shim, Kew-Cheol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Sup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Chul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심규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김현섭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박영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process and context of inquiry activities in lif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Six kinds of science textbooks were analysed. Three units of life science were analysed; 'the structure of living things', 'digestion and circulation' and 'respiration and excretion', As result of analysis, types,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were not balanced,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be educated with complementary of this aspects. To develope the science textbook on the basis of aims and objectives of curriculum, it is proposed that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be examined, and the framework to evaluate inquiry activities be reflected on the standard of science textbook authorization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 하에서 개발된 제시된 탐구 활동을 탐구 과정, 탐구 상황 및 탐구 유형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개발과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제 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을 탐구 유형, 탐구 과정 요소 및 탐구 상황으로 구분하여 출판사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검정되어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6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명 영역의 '생물의 구성', '소화와 순환', '호흡과 배설' 등 총 3개 단원의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탐구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과서의 개발 시 탐구 활동이 탐구 유형이나 탐구 과정 요소 및 탐구 상황의 편중성이 두드러졌으며,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지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하고가 교육 목표에 부합되는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탐구 활동에 대한 검토와 교과서 검정 기준에 탐구 활동의 평가 틀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계순, 심규철, 김현섭(2001). 중학교 과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실험 및 관찰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46-56
  2.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 가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김남일, 장남기(1998).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 개념적 탐구 학습이 학생의 탐구 능력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2), 223-234
  4. 김범기, 김영민, 윤상학(1994). 학생 과학탐구 시범대 회의 평가. 제 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연구보고서, pp. 113-147
  5. 김윤희, 문성배(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74-287
  6. 김현섭, 심규철, 하태경, 박영철, 최호형(2000). 중학교 생물 영역의 학습 주제별 수업 모형 적용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2. 신경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4), 330-335
  7.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1994). 교육학 용어 대사전. 서울: 하우
  8. 심규철, 김현섭, 하태경, 박영철, 김종균(2000). 중학교 생물 영역의 학습 주제별 수업 모형 적용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1. 광합성.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3), 260-266
  9. 심규철, 조선희, 장남기(1999).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생물 교과에 대한 흥미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194-201
  10. 양흥준, 오성숙(2000). 중학교 과학교과서에서 생물 탐구 활동의 주제와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3), 209-221
  11. 이돈희, 박순정, 이범흥(1997). 과학 교과학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97-16-5
  12.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1999). 중학생들의 과학적 사고 수준과 교과서 생물 분야의 탐구 활동에서 요구하는 사고 수준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02-210
  13. 조희형, 박승재(1999). 과학 교수-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14. 최영란, 이형철(1998).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내용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55-65
  15. 한국교원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1997). 초.중.고 학생들의 장기적 과학 학력 점검을 위한 국가수준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한국교육평가학회 공동 학술세미나 자료집, pp. 7-10
  16. 허명(1984).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17. 홍정림, 강경미, 여성희, 장남기(1999).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준거에 따른 제 6차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39-247
  1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for Science(AAAS)(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pp. 5-6
  19. Carin, A. A.(1997). (8th ed.).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Prentice-Hall, Inc.
  20. Herron, M. D.(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9(2), 171-212 https://doi.org/10.1086/442968
  21. Novak, J. D.(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US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pp. 8-10
  22. Ostlund, K. L.(1992). Science process skill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USA
  23. Texley, J. & Wild, A.(1997). NSTA Pathway to the Science Standards: Guidelines for Moving the Vision into Practice(High School Editi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