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낙동강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Hydrophytes in the West Nakdong River, South Korea

  • 발행 : 2002.10.01

초록

서낙동강의 물과 저토의 이화학적인 환경을 측정하고, 수생관속식물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수질은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엽록소a, 총질소 그리고 총인에 의하면 부영양화 상태이었으나 여름에는 지소에 따라 과영양 상태이었다. 수중 저토는 약산성 이었으며, 모래의 함량이 높았으나 SI는 점토, SU는 미사의 비율이 컸다. 수생식물 분포는 총 16과 26종 1변종으로 총 27분류군이었다. 지소별 우점종은 DU, GA 그리고 SU에서는 마름(Trapa japonica)이 우점하였고, DA에서는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SI는 자라풀(Hydrocharis dubia)이 우점하였다. SI와 SU에서 종다양도, 균등성이 높았으며, 우점도는 DA에서 높았다. 6월에 유입된 외래종 물상추(Pistia stratiotes)와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이 수역 전체에 확산되어 서낙동강 전체의 우점종이 되었다. 낙동강 하구둑 축조 당시와 비교하여 서낙동강에서 소멸된 종은 민나자스말(Najas marina), 톱니나자스말(Najas minor),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이었다. 수생식물의 최대 현존량은 10월에 DU에서 가장 높았다(445g·Dw/㎡). 하구둑 축조당시인 1985년에 비하여 DU와 CA지소의 총현존량은 33.5%로 감소하였으며, 우점종 마름의 감소율이 56.7% 이었다. 종 수와 유사도 지수를 근거로 집괴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GA-SU-DU, DA와 SI의 3집단으로 구분되어졌다.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한 수생식물군락의 교란은 SI와 SU에 분포하는 가시연꽃(Euryale ferox)과 감소추세 종 자라풀을 포함하여 수역전체의 자생종들 특히 수금류의 먹이식물로 이용되는 마름, 나사말, 말즘 등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sediment, and structures of vegetation of the vascular hydrophytes were investigated in the West Nakdong River. Water quality was eutrophic according to the mean values and the ranges of water properties such as pH, DO, BOD, chlorophyll a,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and other nutrients. A few cases were hypereutrophic for chlorophyll a level in summer. Soil reaction was weak acid. Composition of sediment was mainly sand except in SI(Sinan chideung) of which was mainly clay, and SU(Suan chideung) of which was mainly silt. Flora of vascular hydrophyte had 26 species and 1 variety comprising 16 families. Trapa japonica was dominant species in the sites of DU(Dunchido), GA(Garak chideung) and SU. Nymphoides peltata and Hydrocharis dubia dominated in DA and SI,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relatively high in SI and SU but dominance was high in DA. After June, water lettuce(Pistia stratiotes) and water hyacinth(Eichhornia crassipes) were flowed from tributary to the river. Standing crop of macrohydrophytes was high in DA from April to August, but it showed maximum standing crop (445g·dw/㎡) in DU after disturbance by explosive growth of exotic plants in October. In comparison with those in 1985, total productivities in DU and GA decreased to 33.5%, and the reduction ratio of dominant species, Trapa japonica was 56.7%. Najas marina, N. minor, Myriophyllum spicatum and Nymphoides indica have disappeared ever since the Nakdong barrage was constructed in the Nakdong river.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A-SU-DU, DA, SI) by cluster analysis. Introduction of the exotic species in this river caused decreasing of endemic plants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Euryale ferox and rare species Hydocharis dubia, and food plants for waterfowl such as Trapa japonica, Vallisneria asiatica and Potamogeton crispu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1. 서낙동강 하천 개수공사 환경영향평가서. 298 p.
  2. 김만덕. 2002. 서낙동강 수질개선방안 타당성 조사. 인제대학교 부설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심포지움 논문집. 11: 153- 179
  3. 박수영, 윤성윤, 이기철, 김귀곤, 배덕효, 김형수. 경남발전연구원. 2000. 습지학 원론. 도서출판 은혜기획. 서울. 414 p.
  4. 박재현. 2002. 수문조작에 의한 서낙동강 수질 개선방안 연구. 인제대학교 부설 낙동강유역 환경연구센터 심포지움 논문집. 11: 129-141
  5. 오경환. 1988. 정양호의 생태계에 있어서 수생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순환.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1 p.
  6. 윤해순. 1987. 낙동강 하구에서의 수금류 식이식물의 현존량과 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3 p.
  7. 윤해순. 1993. 낙동강 하구언 축조 후의 수생 관속식물의 현존량 변화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부설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보고. 16(1): 83-95
  8. 윤해순. 2002. 서낙동강 수생관속식물의 분포와 수질정화능 평가. 인제대학교 부설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심포지움 논문집. pp. 75-104
  9.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p.
  10. 자연보호중앙협의회. 1996. 우선 조사 생물종 및 검토 대상종 I. 1662 p.
  11. 조경제. 1997. 낙동강 하구둑 축조 10년을 말한다. 낙동강 하구둑 축조 10년 심포지움 경성대조류연구소. pp. 14-22
  12. 조경제, 신제기, 이옥희, 정민경, 이선애. 2002. 서낙동강-조만강 수질 부영양화에 따른 오염상과 수질개선에 대한 고찰. 인제대학교 부설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심포지움 논문집. pp. 11:1-48
  13. 주기재, 1995. 낙동강 생태연구 1957-1994. 금정. 177 p.
  14. 최홍근. 1986.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58 p.
  15. 한국자연보존협회. 1989.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도감. 165 p.
  16. 國井秀伸.生嶋 功. 1975. 水草. In 圖說 環境汚 境汚染과 指標生物. 松中昭一. 朝倉書店. 東京. p. 176
  17. 藤原一繪 1972. 濕原の植物社會. In 佐々木好之 編. 生態學講座. 4. 植物社會學. 58-60
  18. 生嶋 功. 1975. 生物指標としての水草 In 日本 生態學會 環境問 題專門委員會, 環境と生物指 標2(水界編).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pp. 90-96
  19.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0. Botto, J. G. and W. H. Patrick Jr. 1978. Role of Wetlands in the Removal of Suspended Sediments. In P.E. Greeson, J. R. Clark and J. E. Clark(eds.). Wetland Functions and Values ; The State of Our Understanding. Minesota MN., American Resources Association, Proceedings of National Symposia on Wetlands. pp. 479-489
  21. Goldmann C. R. and A. J. Horne. 1983. Limnolgy. McGrow-Hill, New York, NY., U.S.A. 464 p.
  22. Hutchinson, G. E. 1975. A treatise on limnology III. Limnological botany. John Wiley and Sons. Inc. N.Y. 660 p.
  23. Kang, S. J. 1996. Present Conditions and Destruction State of Inland Wetlands in Korea. 'Wetland, The Land of Harmony and Life'. Green Korea United. pp. 9-27
  24. Ludwig, J. A. and J. F. Reynolds, 199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USA. 71-103
  25. NEDECO, 1986. Nakdong Estuary Barrage and Reclamation Project Environmental Projection Final Report vol.II. 48-58
  26. Makino, T. 1961. Revised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the Horyukan Co. Tokyo, Japan. 1404 p.
  27. Moshiri, G. A. 1993.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Lewis Publishers. pp. 349-447
  28. Muenscher, W. C. 1944.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Comstock Publishing Company Inc. Ithaca. 374 p.
  29. Osada D. 1983.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425 p.
  30.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eley-interscience, New York. 165 p.
  31. Sculthorpe, C. D. 1967.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Edward Arnold. London. 610 p.
  32. Shannon, C. 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17 p.
  33. Simpson, R. L. and D. F. Whigham. 1978. Seasonal patterns of nutrient movement in freshwater tidal marsh. In R.E. Good et al.(eds.), Freshwater wetlands : Ecological process and management potential Academic Press, N.Y. pp. 243-257
  34. U.S.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ing of an EPA Sponsored Symposium. EPA-600 (3-76-079):185
  35. Wetzel, R. G. 1983. Limnology (2nd ed.). Saunders College Pub., Philadelphia. 85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