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전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식생 분석

Forest Vegetation Analysis of Gabhasan and Woosanbong in Daejeon, Korea

  • 김효정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미정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지윤의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강병선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이규석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발행 : 2002.10.01

초록

본 연구는 대전에 위치한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식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62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중요치와 흉고직경급 및 ordin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TWINSPAN 방법으로 식생을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군락에서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는 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현재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앞으로 신갈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등의 중요치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Ordination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소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고 경사가 중간인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굴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수리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Gabhasan and Woosanbong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TWINSPAN, 62 plots were sampled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1. Field survey carried out to examine importance value, to do diameter of breast height(DBH) measurement, and to analyze the Ordination.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and Styrax japonica were high. According to DBH analys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dominate currently, however,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Prunus sargentii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located in high altitude and steep area,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ocated in comparatively high altitude and medium slope area,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located in low altitude and gentle slope are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as located in the lowest altitude and relatively gentle slope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순, 오계칠. 1982. 광릉삼림군락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식물학회지 25: 83-99
  2. 기상청. 1971-2000. 기상연보
  3. 김용식, 임도옥, 전승훈, 추갑철, 신현탁. 2001. 계룡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311-323
  4. 김정언, 임양재, 양권열. 1989. 소백산 국립공원 남동사면의 현존식생. 중앙대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3 : 101-114
  5. 김창환. 1992. 덕유산 국립공원 산림식생의 구조와 2차천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6 p.
  6. 김효정, 송호경. 2002. 대전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군락 분류. 한국임학회지 91(인쇄 중)
  7. 김효정, 이미정, 지윤의, 안승만, 이규석, 송호경. 2002. 대전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군락 분류. 환경생물학회지 20: 216- 223
  8. 내무부. 1993.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계룡산국립공원. 164 p.
  9. 박인협, 서영권, 이석면, 이만용. 2001.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303-310
  10. 박인협, 서영권. 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296-302
  11. 박종성, 김지문, 송호경. 1979. 계룡산 식물에 관한 조사보고.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보고 6: 134-147
  12. 송호경. 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p.
  13. 송호경. 1990.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79: 216-221
  14. 송호경, 장규관, 권기원. 1994.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오대산 삼림 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12: 47-54
  15. 송호경, 이규석, 이 선, 김효정, 이미정, 지윤의. 2001. 계룡산국립공원 내 군사보호구역의 산림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332-340
  16. 신창남, 방재욱. 1982. 계룡산 내 관속식물의 종목록.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지 9: 81-95
  17. 심정기, 태경환, 임인택, 윤창영, 김동갑, 김주환. 1998. 계룡산 남사면 일대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3 :281-309
  18. 오구균, 박석곤. 2001. 계룡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주연부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280-286
  19. 유재은. 1988. '88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2), 제3차년도(충남의 식생). 환경처, 33-74 p.
  20. 이경재, 권전오, 김정호. 2001. 계룡산국립공원 갑사 계곡 노거 수군집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217-237
  21. 이경재, 조재창, 이봉수, 이도원. 1990. 광릉 산림군집 구조(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 지역의 산림 군집구조 분석. 한국임학회지 79: 173-186
  22. 이미정, 이선, 김효정, 지윤의, 송호경. 2002. 굴참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 한국임학회지 91(인쇄 중)
  23. 이우철, 이은복. 1980. 계룡산 및 칠갑산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7: 63-90
  24. 이선, 송호경. 2000.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88-93
  25. 이순용. 1991. 계룡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p.
  26. 임양재, 백순달. 1985.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국, 서울, 199 p.
  27. 정태현. 1958. 계룡산 식물에 대하여.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 329-435
  28. 최두문. 1968a. 계룡산의 식생연구. 동학사 북부계곡과 폭포주변의 수직식생 분석. 공주사대 백제문화 2: 53-64
  29. 최두문. 1968b. 계룡산의 식생연구. 산정군락과 삼림대. 공주사대 과학교육연구 1: 75-85
  30. 최두문. 1968c. 계룡산의 식생연구. 초지의 식물군락학적 연구. 공주사대 논문집 10: 265-269
  31. 최송현, 조현서. 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252-267
  32. 한봉호, 조 우, 이수동. 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 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 환경생태학회지 14: 238-252
  33.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4. Day, F. P. and C. D. Monk. 1974. Vegetation pattern o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Ecology 55: 1064-1067 https://doi.org/10.2307/1940356
  35. Hill, M. O. 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100 p.
  36. Hill, M. O. 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50 p.
  37. Hill, M. O. and H. G. Jr. Gauch.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 47-58 https://doi.org/10.1007/BF00048870
  38. Ter Braak, C. J. F. 1987.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39. Yee, S. 1998. Waldvegetation und Standorte im Odaesan-National Park (Südkorea). Culterra 25. 18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