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egal regime relating to ownership of excavated treasure ship

발굴된 보물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법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Bureau of Korea excavated the massive shipwreck and her cargo from 1976 to 1984 sunken under Jeungdo Island, Sinan County located in the sou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the first systematic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and one of the richest underwater discovery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ference materials, more treasure shipwrecks are assumed to be sunk under seaside of Korean peninsula. Such as, Donskoy near Ulleung Island, Kow Shing near Ul Island, and Yamashita treasure ship off Korean peninsula, etc. The excavations of these treasure ship are likely to raise ownership dispute between private finders and government authority, and between ship owner and excavater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awareness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isting legal regimes related to the excavated treasureship. And also it tries to suggest a new proactive measure to prevent the most likely ownership disputes between interested parties.

여러 자료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도 정확 수는 알 수 없지만 상당량의 보물선이 침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최근 우리나라 영해에서 보물선 탐사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몇 건의 문화재 관련 발굴 사례 이외에는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없지만 앞으로 계속적인 발굴작업으로 인하여 보물선 발굴 사례의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만약 침몰선을 인양했을 경우에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들과 그 절차들, 그리고 침몰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국내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과 국제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존재하는 법시스템의 몇가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문화정책자료집 제1권(1995) '수중 문화재의 보호' , 서울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pp. 41-72
  2. 이병조,이중범 공저(1995) 국제법 신강, 일조각, pp.736-785
  3. 존메릴스지음/김재원옳김(1998) 국제분쟁의 해결방법, 교육과학사, pp. 243-271
  4. 채수종(1996) 배이야기, 지구촌, pp. 187-193
  5. 황동환, 김성필 편저(1994) 수중 유물 발굴의 기초, 해군사관학교, pp. 85-124
  6. George H. Reid(1996) Marine Salvage, Sheridon House Inc, pp. 122-133
  7. Ric Wharton(2000) THE SALVAGE OF THE CENTURY, BEST PUBLISHING COMPANY, pp. 8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