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ultivariate Analysis of Changing Information Gaps in Korea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다원모형분석

  • 심상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 김정석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Published : 2001.01.01

Abstract

As we are entering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about information gaps which are believed to create serious obstacles to soci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Previous studies on the information gaps in Korea, despite their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issue, appear to be descriptiv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sidential area, gender,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for information gaps and their changes in recent years. Based on the data from two surveys conducted by the Information Culture Center, the study run multivariate logit model analysis of the sue of computer and internet. The result shows that all the variables except residential area have influences on th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In terms of time change, gender-based difference in the use of digital media has decreased between 1998 and 2000 while the differences by all the other variables have remained constant or increased.

정보격차현상은 정보화 혹은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리라 예측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정보 격차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려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술적 분석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에서 정보격차 배경변인으로 알려진 거주지역, 성, 연령,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 등의 상대적 영향력과 이들 변인에 따른 정보격차가 지난 몇 년간 심화, 지속 혹은 완화되었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정보문화센터가 실시한 <1998년도 국민정보화인식 및 정보생화실태조사>와 <2000년도 정보생활 실태 및 정보화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여부에 대한 다중로짓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98-200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에서의 남녀간 격차는 다소 줄어들었으나, 대부분의 사회집단간 격차는 지속되거나 증가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점차 가속되는 정보화과정에서 이러한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정보격차는 사회통합과 발전에 중요한 걸림돌로 등장하며, 그에 따른 사회적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