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TREATMENT OF JAW CYSTS IN CHILDREN

  • 김재곤 (전북대학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영진 (전북대학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미라 (전북대학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백병주 (전북대학교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R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2.28

초록

악골의 낭종은 크게 치성과 비치성으로 구분되며 치성낭은 치성기관이나 그 잔존 세포성분과 관련되어 주로 골내에서 발생한다. 비치성낭종은 과거에는 태아의 발육중 상피의 봉입이나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성변형을 일으킨다는 설이 유력하였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태아의 발육 동안상피의 봉입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함치성낭은 미맹출 치아와 관련되어 발생하고 상피의 전암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발리 제거하도록 하며 조대술이나 적출술이 이용될 수 있고 간혹 원인치의 발거가 추천된다. 비구개낭은 가장 일반적인 비치성낭으로 상악 중절치 사이에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상으로 나타난다. 적출술과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전암 가능성이나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함치성낭의 환아에서, 원인 치아를 보존하고 완전 적출술로 병소를 제거한 후 경과를 관찰한 바 영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이 이루어졌다. 2. 비구개낭을 치료시, 인접치아의 생활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의 선택으로 불필요한 근관치료를 피할 수 있다. 3. 향후 비구개낭의 환아의 관련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 악골내 방사선 투과성의 병소를 치료시, 정확한 감별진단과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The Dentigerous cyst is reported to be one of the most common lesions of the jaw. It is derived from reduced enamel epithelium that surrounds the crown of an unerupted tooth. Dentigerous cysts usually remains asymptomatic and presents as well-circumscribed radiolucencies surrounding the crown of a tooth. Most dentigerous cysts are treated by surgical enucleation or marsupialization of the cyst to allow eruption of the permanent tooth. The nasopalatine duct cysts derived from the islands of epithelium remaining after closure of the embryonic nasopalatine duct. The cyst presents as a well-circumscribed oval or heart-shaped radiolucency located in the midline of the anterior maxilla between the roots of the central incisors. Treatment is by surgical enucleation, employing a palatal approach. This report present two cases. One case was diagnosed with dentigerous cyst and treated by enucleation. 12 Months later, affected second premolar was erupted normally. The other case was diagnosed with nasopalation duct cyst.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enucleated cyst confirmed a nasopalatine duct cyst.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follow up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