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opalatine duct cys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골결손을 동반한 비구개관 낭종의 치험례 (A Clinical Experience of Nasopalatine Duct Cyst with Bony Defect)

  • 김영진;서제원;전영준;김성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255-258
    • /
    • 2005
  • The nasopalatine duct cyst, known as the incisive canal cyst, is the most common nonodontogenic cyst in the maxillofacial area. It is believed to arise from epithelial remnants of the embryonic nasopalatine duct. Nasopalatine duct cysts are most often detected in patients between forties and sixties. The trauma, bacterial infection, or mucous retention has been suggested as etiological factors. The cysts often present as asymptomatic swelling of the palate but can present with painful swelling or drainage. Radiologic findings include a well demarcated cystic structure in a round, ovoid or heart shape presenting with a well-defined bone defect in the anterior midline of the palate between and posterior to the central incisors. Most of them are less than 2cm in size. On MRI, the cyst is identified as a high-intensity, well-marginated lesion, which indicates that it contains proteinaceous material. We experienced a case of a 61-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a $2.3{\times}2.6{\times}1.7cm$ sized nasopalatine duct cyst. The bony defect after a surgical extirpation was restored with hydroxyapatite. So we report a good results with some reviews of the literatures.

비구개관낭종 1예 (A Case of Nasopalatine Duct Cyst)

  • 이선욱;허세형;이제연;이상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0-73
    • /
    • 2011
  • Nasopalatine duct cysts are the most common non-odontogenic developmental cyst originating in the incisive canal of maxilla and occuring in approximately 1% of the population. Clinical presentation is mostly asymptomatic in small cysts, but sometimes shows swelling, pain and drainage when it is infected. The definite diagnosis should be based on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Marsupialization of the cystic tissue can be performed, however, complete surgical excision is the the choice of treatment of nasopalatine duct cysts. We report a case of nasopalatine duct cyst occurred in the midline of hard palate treated by complete excision via transoral approach.

비구개관낭종에 관한 X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NASOPALATINE DUCT CYSTS)

  • 전찬덕;황의환;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3권1호
    • /
    • pp.115-12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35 cases of nasopalatine duct cyst by means of the analysis of periapical and/or occlusal radiograms in 35 persons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nasopalatine duct cysts was higher in males(74.3%) than in females(25.7%). 2. The nasopalatine duct cysts were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in the 4th decades(34.3%). The 6th and 7th decades(17.1%, 17.1%) were next in order to frequency followed by the 5th decades(14.3%), the 3rd decades(8.6%), the 2nd decades(5.7%), and 8th decades(2.9%). 3. In the signs and symptoms of nasoplatine duct cysts, 25.7% were swelling, 17.1% were swelling and tenderness, 20.0% were swelling and pain, and 37.2% were asymptom. 4. In the shape of nasopalatine duct cysts, 40.0% were round type, 48.6% were oval type, and 11.8% were heart type. In symmetry of the nasopalatine duct cysts to the median palatine surture, 85.7% were symmetry, 14.3% were asymmetry. 5. In the width of nasopalatine duct cysts, 11.4% were 6-l0㎜, 48.6% were 11-20㎜, 25.7% were 21-30㎜, and 14.3% were 31-40㎜. 6. In the periphery of nasopalatine duct cysts, 82.9% were distinct, 17.1% were relatively distinct. 7. In the change of root, 51.5% were intact, 17.1% were root divergence, 20.0% were root resorption, and 11.4% were root divergence and resorption.

  • PDF

소아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TREATMENT OF JAW CYSTS IN CHILDREN)

  • 김재곤;김영진;김미라;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01
  • 악골의 낭종은 크게 치성과 비치성으로 구분되며 치성낭은 치성기관이나 그 잔존 세포성분과 관련되어 주로 골내에서 발생한다. 비치성낭종은 과거에는 태아의 발육중 상피의 봉입이나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성변형을 일으킨다는 설이 유력하였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태아의 발육 동안상피의 봉입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함치성낭은 미맹출 치아와 관련되어 발생하고 상피의 전암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발리 제거하도록 하며 조대술이나 적출술이 이용될 수 있고 간혹 원인치의 발거가 추천된다. 비구개낭은 가장 일반적인 비치성낭으로 상악 중절치 사이에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상으로 나타난다. 적출술과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전암 가능성이나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함치성낭의 환아에서, 원인 치아를 보존하고 완전 적출술로 병소를 제거한 후 경과를 관찰한 바 영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이 이루어졌다. 2. 비구개낭을 치료시, 인접치아의 생활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의 선택으로 불필요한 근관치료를 피할 수 있다. 3. 향후 비구개낭의 환아의 관련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 악골내 방사선 투과성의 병소를 치료시, 정확한 감별진단과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

9세 소아에서 나타난 비구개낭의 치험례 (CASE REPORT : A NASOPALATINE DUCT CYST IN 9-YEAR-OLD CHILD)

  • 이상호;모경희;박종휘;이난영;이창섭;윤정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3-488
    • /
    • 2003
  • 비구개낭은 절치관낭이라고도 불리우며 가장 흔한 비치성낭이다. 발육성으로 비구개관내에서 태생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변성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비구개낭은 악골낭의 약 1.7-11.9%를 차지하며 남자에게서 악 3배 정도 호발한다. 연령 분포는 매우 광범위하나 대개 40대에서 60대 사이에서 발견되며 10세 이전에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비구개낭을 위한 적절한 치료는 적출이며 비구개신경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낭이 커서 치아의 생활력에 영향을 주거나 비구강누공이나 구강 상악동 누공을 형성 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아는 구개부의 무통성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및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소아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비구개낭으로 방사선사진에 $32{\times}25.5mm$크기를 나타내었으며, 매우 팽창되어 순측 피질골판을 관통하고 상순소대 하방과 전정부위까지 종창되어 있었다. 병소와 인접한 상악 4전치 치근은 심하게 이개되어 있었다. 낭의 크기가 매우 커서 조대술을 시행하였으며 obturator를 장착하고 있으며 향후 계속 관찰이 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