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 AND ADOLESCENT SCHIZOPHRENIC PATIENTS - FOCUSING CASE STUDIES -

소아 ${\cdot}$ 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의 또래 관계에 관한 고찰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 Cho, Soo-Chur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Shin, Sung-Woong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 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신성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We focused on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ich usually occurs around puberty. Reviewing cases with schizophrenia and the literature extensively, we had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1) the most robust predictor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are premorbi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functions. 2) Especially teachers’ reports about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 during school life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chizophrenia in adolescents. We described characteristic and behavioral childhood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based on high-risk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studies. Also, pathological profi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thology in adulthood were presented. We tri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interpersonal and social weaknesses of schizophrenics applying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concept. Finally, five cases of adolescent schizophrenics were described briefly and proposa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 factors was introduced.

본 논문은 사춘기를 전후하여 발병하는 정신분열병의 또래 관계에 관해 사례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논문이다. 정신분열병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발병 전 대인관계 양상과 적응 정도가 중요하며, 교사가 평가한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가 정신분열병의 발병 및 경과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식들을 대상으로 한 고위험군 연구(high-risk study)와 장기간 추적 연구(long-term follow-up study)들을 통해 정신분열병 발병에 관여하는 전후기 아동기 성격적 ${\cdot}$ 행동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정신분열병에 발병하고 난 후 나타나는 대인관계 양상과 병태생리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다. 끝으로 사춘기에 발병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양상을 사례별로 정리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