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ALIDITY STUDY OF PARENT BEHAVIORAL RATING SCALES AS DIAGNOSTIC TOOL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 아동의 진단도구로서 부모용 행동 평가지의 타당도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와 아동 ${\cdo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중심으로 -

  • Kim, Ji-Hae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o, Yoo-Kyung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ung, Yoo-Sook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Im-Soon (Department of Education Psychology, Sookmyung Wamen's University) ;
  • Hong, Sung-Do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지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소유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임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
  • 홍성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HPR subscale in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and Attention Problems subscale in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s diagnostic tool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Nineteen ADHD-1 type, twenty-three ADHD-H type, sixteen Neurosis, and fifteen normal children with the age from 6 to12 were selected based on DSM-IV, and their responses of the KPI-C and CBCL were analyzed. Omnibus F-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 scores of HPR and Attention Problems T scores(p<.05). But in Posthoc analysis, the HPR and AP scores in three clinical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rmal group, but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among three clinical groups(p<.05). These results shows that HPR subscale and Attention Problems subscale may be useful tools for screening clinical groups(vs normal group) but there was a limit to the clinical validity of two subscales as diagnostic tools for the subtypes of ADHD.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의력-결핍 및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의 주요한 평가척도 중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는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와 아동 ${\cdo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의 임상적 타당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피검자들은 ADHD의 하위 유형 중 주의력-결핍 우세형(ADHD-I)으로 진단된 환아 11명과 과잉 행동-충동 우세형 및 복합형(ADHD-H)로 진단된 환아 23명, 우울, 불안 등 정서적 문제로 진단(신경증 집단;N) 받은 정신과 외래 환아 16명, 정상아동 15명 등 총 65명이었다. 먼저 각 집단별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 행동 평정 척도의 변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집단들의 K-PIC와 K-CBCL 결과들에 대한 전체(omnibus) F-검증 결과, K-PIC의 과잉행동(HPR) 척도와 K-CBCL의 주의집중문제(Attention Problems, 이하 AP) 척도들은 분산분석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사후검증 결과, ADHD-I 집단과 ADHD-H 집단 그리고 신경증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그 세 집단은 모두 정상집단과 .05 유의도 수준 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K-PIC의 과잉행동(HPR) 척도와 K-CBCL의 주의집중문제(Attention Problems) 척도의 경우, 기본적으로 임상군과 정상군을 구별하는데는 유용하지만 임상군내에서의 세부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HPR 척도는 ADHD-H type을 감별하는 데 더 유용한 반면, K-CBCL의 AP 척도는 ADHD-I type을 감별하는 데 더 큰 강점을 갖는 것으로 보이나, HPR척도와 AP 척도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cut-off score 면에서 두 척도 중 어느 하나에서 T 점수 65점 이상 상승할 때 ADHD로 진단내리는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정분류율(true positive rate;sensitivity)과 정배제율(true negative rate;specificity)을 조화시킬 수 있는 결정규칙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