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outing and Component Change of Cheju-Grown Onions after $\gamma$-ray Irradiation

$\gamma$-ray 조사에 의한 제주산 양파의 발아 및 성분변화

  • 박용봉 (제주대학교 원예생명과학부) ;
  • 김재하 (제주대학교 원예생명과학부) ;
  • 김기택 (제주도 농업기술원)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For extension of storability, onion bulbs produced in Cheju Island were exposed to ${\gamma}$-ray irradiation at a dosage of 0, 3, or 6Krad and stored in a natural cavern, or in low (2$^{\circ}C$) or ambient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 Sprouting began from approximately five months in storage, regardless of storage condition, and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From early August, sprouting as high as 50% occurred in the natural storage cavern, and 20% in ambient temperature storage when bulbs were treated with 0 krad ${\gamma}$-ray. However, bulbs treated with 3 or 6krad ${\gamma}$-ray did not any sprouting until six months in storage. No significant weight loss was observed in all treatments until sprouting occurred from 40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storage. Weight loss, however, increased remarkably after 40 days in storage, indicating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sprouting during storage. Bulbs stored at 2$^{\circ}C$ showed 5~10% rot, but were still edible. Percent rot reached to as high as 50% in bulbs unirradiated and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s after seven months, while it in irradiated bulbs reached to 5, 33, and 30% at 2$^{\circ}C$, in a natural cavern, and ambi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Sugar contents slightly increased in irradiated bulbs in the later storage period under ambient temperatures, while sugar contents in irradiated bulbs in the later storage period under ambient temperatures, while sugar contents in Allium vegetables generally decrease in later storage if unirradiated. Sulfur content slightly increased in irradiated bulbs in the early storage period and decreased gradually in all treatments in the later storage stage.

제주지방에서 양파 저장에 관한 ${\gamma}$-ray 처리와 저장장소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발아율은 저온저장, 상온저장, 동굴저장에 관계없이 무처리 양파는 약 5개월 째부터 발아와 발근이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으나 8월 상순경에는 0krad에서 동굴에 저장한 것은 50%, 상온에 저장한 것은 2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3krad, 6krad 처리한 것은 6개월까지는 거의 발아하지 않았다. 중량 감소는 발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발아가 시작하기 전 40일 까지는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발아가 시작되면서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온저장한 것은 부패율이 약 5~10% 내외로 7개월 후에도 식용이 가능하였으나 상온에 저장한 것은 0krad에서 50%정도 부패한 반면 3krad 및 6krad를 조사한 것은 저온저장인 경우 5%, 동굴저장인 경우 30~35%, 상온에 저장한 것은 30% 정도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조사의 다당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는데 동굴저장과 상온저장에서는 저장초기에는 3krad 및 6krad 조사한 것이 0krad 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역시 처리한 것이 양은 적으나 0krad보다는 증가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llum속 채소류에 많이 들어있는 유황은 저장장소에 관계없이 0krad에서는 저장후반기로 갈수록 적어졌고 냉장저장한 것은 3krad 및 6krad의 선량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초기에는 유황함량이 증가하다가 12월 말경 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