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저장

Search Result 1,05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Facility for Cur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 of Onion (양파 예건.저온저장 겸용기계장치 개발)

  • 김영민;김유호;윤홍선;최희석;조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80-286
    • /
    • 2003
  • 양파의 예건 및 저온저장에 소요되는 노동력 절감과 저장시 발생하는 부패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양파를 한 곳에서 예건과 저온저장할 수 있는 양파 예건ㆍ저온저장 겸용 기계장치를 제작하여 예건 및 저온저장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예건과 저온저장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양파 예건ㆍ저온저장 겸용 기계장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저장고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나. 예건시 설정온도가 38$^{\circ}C$, 저온저장시 설정온도가 $0^{\circ}C$일 때 온도분포의 표준편차는 각각 0.51, 0.12로 나타났다. 다. 설정온도 및 상대습도를 각각 38$^{\circ}C$, 65%RH로 예건시험을 실시한 결과, 예건 시간은 52시간 소요되었고, 감모율은 0.99-l.79%로 나타났다. 라. 설정온도를 $0^{\circ}C$, 70%RH로 저온저장한 결과, 저장고의 온도는 -0.5-1.5$^{\circ}C$, 저장고의 습도는 70-80%로 나타났다. 마. 관행(자연예건)방법과 시작기로 예건한 양파로 저온저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장기간 중 감모율은 저장초기부터 일정하게 증가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저장후 20일부터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50일 시점에서는 평균 3.16% 차이가 나타났다. 바 저장 중 부패율은 관행의 방법으로 예건한 양파에서 42일째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시작기로 예건한 양파는 저장후 90일까지는 부패된 양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습도 유닛쿨러를 사용하는 저온저장고의 배 저장효과

  • Yoon, Hong-Sun;Lee, Won-Ok;Jung, Hoon;Lee, Hy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0-140
    • /
    • 2003
  • 신선한 채소나 과일은 무게의 74~94%에 상당하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분은 자칫하면 빠져나가기 쉽다. 품질이 우수한 채소나 과일이라도 수분손실이 생기면 다시는 보충할 수 없기 때문에 겉껍질을 마르고 쭈글쭈글하게 되어 품질등급과 가격결정에 손해가 된다. 또 무게의 5~l0%까지 수분이 줄어들면 상품성을 잃게되고, 무게단위로 판매되는 채소와 과일은 수분손실이 곧 무게감소이므로 총수입도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채소나 과일을 수확 한 후에 수분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은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저온저장고들은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0~85%의 범위로 조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습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고의 바닥에 물을 뿌리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으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농업기계화연구소에서는 저온저장고 내의 상대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닛쿨러를 '01년에 개발하였고,'02~'03년에 이것을 실제로 농가의 저온저장고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실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장연구에 사용된 저온저장고는 천안시에 있는 이진기 농가의 25평형 배 저온저장고 2동이었으며, 한 동은 시험구로 한 동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2. 배의 저장온도는 0~-0.2$^{\circ}C$이었고, 상대습도는 대비 저온저장고의 경우 75~90% 범위에 있었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98%로 유지되었다. 또 냉각기에 생기는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전기히터의 작동시간은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7회, 회당 45분 씩 이었고, 신기술 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1회, 회당 30분 씩 이었다. 3. 배를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저장할 때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111일 동안에 11.7%의 중량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5.6%의 중량감모만이 발생하여 약 50%의 중량감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배의 색깔이나 경도도 대비구 보다 우수하였다. 4. 배를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와 비닐로 포장하지 않고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를 비교할 때 11월~다음해 1월 까지는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2월부터는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배의 품질변화가 급격히 증가되어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가 신기술 투입시 보다 급속하게 나빠졌다.

  • PDF

Comparison in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Sawdust Spaw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저장기간에 따른 Pleurotus ostreatus 톱밥 종균의 생산성 비교)

  • Lee, Yun-Hae;Chi, Jung-Hyun;Kim, Young-Ho;Yu, Seung-Hu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7 no.5 s.92
    • /
    • pp.319-321
    • /
    • 1999
  • The contamination rates of Pleurotus ostratus spawn after 120 days of storage at $5^{\circ}C\;and\;20^{\circ}C$ were 2.1% and 86.5%, respectively. Longer periods of storage resulted in longer culture periods at both temperatures. The yield of oyster mushroom produced from sawdust spawn stored at $5^{\circ}C$ was higher than at $20^{\circ}C$, and yield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s.

  • PD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 Choi, Sung-Hee;Kim, Hye-J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3
    • /
    • pp.513-518
    • /
    • 2000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ffected by different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The aroma compounds was extracted by a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a Likens and Nickerson's apparatus.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equipped polar and nonpolar column. The yields of volatile concentrates of Angelica gigas Nakai by low temperature storage were larger than those by room temperature storage. The GC patterns of the flavor components of both resembled but the peak area of each flavor compounds was little different.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using polar column were ${\alpha}-pinene$, ${\beta}-pinene$, terpineol, farnesol, cadinene, guaiol, isolongifolene and eudesmol etc.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using nonpolar column were camphene, ${\beta}-pinene$, elemol, eudesmol etc.

  • PDF

Residues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Apples Treated as Postharvest Fungicide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수확후 처리제로서 Benomyl과 Bitertanol이 처리된 사과의 저장조건에 따른 잔류량)

  • Lee, Eun-Joo;Kim, Jang-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5 no.4
    • /
    • pp.434-441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egradation pattern, safety evaluation and penetration ratio of benomyl and bitertanol to apple used as postharvest fungicides during CA(controlled atmosphere) and cold storage. In CA storage, the degradation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stored apple was slow at the early stage, while that in cold storage was, on the contrary, faster at the early stage.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apples applied at the standard application concentrations were 2.24 and 1.54mg/kg, respectively, and their residual amounts were below the maximum residue limits, 1mg/kg at 135 and 96 days in CA storage, 115 and 70 days in cold storage, respectively. The half-lives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stored apples were 124 and 130 days in CA storage, 101 and 111 days in the cold storage,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degradation was faster in cold storage than in CA storage. The residual amount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stored apples was retained more in peels than in pulps of apples.

  • PDF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Keeping Materials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Yam (貯藏溫度와 充塡材料가 마의 貯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 김영광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0 no.1
    • /
    • pp.58-63
    • /
    • 1997
  • The experiment was done to clarify the effect of keeping material and storage temperature on weight and quality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uber. After the yam tubers were placed into the plastic boxes filled with different keeping materials [polyethylene (PE) film, hull, soil, sand, vermiculite], they were stored unde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room, cold) from Oct. 15 to Mar. 15 when all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tubers were measured. Soil or PE film as keeping materials was the lowest sound tuber rate when stored at room or cold temperature, respectively, while vermiculite was the highest in both storage temperature. When PE film and vermiculite in both storage temperatures were used as keeping materials, tuber weight were less reduced than the others. Brightness of chromatic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lower in room temperature storage than in cold temperature storag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rketability were not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PE film had greater brightness and value 'a' of chromaticity but lower its 'b' value in the latter temperature than in the former temperature. Vermiculite, however, did the reverse result in comparison with PE film.

  • PDF

Development of New Model(Dome Type) Cold Storage Facility Using 3-D CFD Simulation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신모델(돔형) 저온저장고 개발)

  • 양길모;고학균;홍지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82-187
    • /
    • 2002
  • 국내 저온저장고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컨테이너 박스형 저온저장고의 문제점은 재래식 제어방식으로 인한 성능저하 외에도 자체 구조적인 설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축 방향에 설치되어있는 유니트 쿨러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고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냉기의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균일한 온도 분포를 이루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둘째, 한 축 방향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맞은 편 벽면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풍속이 강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저장 청과물이 냉해를 쉽게 입고 심한 증산작용에 의해 쉽게 표면건조나 중량감소를 가져온다. 셋째, 천장부와 측벽부가 90$^{\circ}$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에디현상으로 인한 온도나 풍속의 불균일 구간을 피해서 청과물을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버려지는 공간이 많아 비경제적이다. 넷째, 위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중ㆍ대형의 저온저장고를 컨테이너 박스형으로 설비 할 경우 보다 심한 온도 불균일과 냉기유동 분포를 보여 경제적인 손실이 더 커지게 되는 악순환을 낳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온저장고의 구조적인 설계상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저온저장고의 새로운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론 바탕으로 직접 저온저장고의 시작기를 개발하여 저장고 내부의 역 유동과 난류유통을 해석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Heat Transfer Area of Unit-cooler on Air Temp. & R.H in Low Temp. Storehouse (유릿쿨러의 전열면적이 저온저장고 온.습도환경에 미치는 영향)

  • Y, H.S;L, Y.O;C, H;L, H.D;P, W.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47-252
    • /
    • 2003
  • 우리나라에 보급된 상업용 저온저장고는 총 1,529개동에 239,732평이고 전국평균 가동율이 21.1% 밖에 되지 않아 규모상으로는 저온저장고의 공급이 과도한 상태에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양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은 접어두더라도 저온저장된 농산물의 손실이 10-30%에 이르고 있어 저장환경의 조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refrigeration load calculation in a cold storage house (저온저장고 냉각부하분석 프로그램 개발)

  • Jeong, H.;Yun, H.S.;Lee, W.O.;Lee, H.D.;Cho,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38-246
    • /
    • 2003
  • 우리나라 농산물 저온저장고 설치비 중 70% 이상이 저장고내 열관리를 위한 자재와 설비에 소요되며, 저온저장고의 가동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므로 열관리 설비 및 에너지 비용의 최소화로 저온저장 비용을 절감화 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나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Quality Change in Kimchi made of Spring Kimchi Cabbage during Fermentatio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저장조건을 달리한 봄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숙성 중 품질 변화)

  • Bang, Hye-Yeol;Cho, Sun-Duk;Kim, Byeong-Sam;Kim, Gun-Hee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30 no.2
    • /
    • pp.378-387
    • /
    • 2017
  • To stabilize the supply of kimchi by extending the storage period of spring kimchi cabbage, this study manufactured kimchi from spring kimchi cabbage under varying storage conditions and periods, and analyzed their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maturing period. Trimming loss was lowest in the group of plasma+reverse direction+predrying+HDPE film processing. The salting yield of spring kimchi cabbage stored for 12 weeks was lower than that of spring kimchi cabbage stored for 6 weeks, and the kimchi yield was low in the pre-treatment group of spring kimchi cabbage stored for 12 weeks. The firmness wa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from one month of matu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 and acidity, the matur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pre-drying+HDPE film processing group was s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preference was increased 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processing group as the maturation period was increased (<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