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lonality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Plexiform Lesions in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CREST 증후군에 동반된 폐고혈압 환자에서 총상병변내 내피세포 증식의 클론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Jeon, Yong-Gam (Asan Institute for Life Science) ;
  • Lee, Ji-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Shim, T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oh, Y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Tuder, Rubin M. (Department of Pathology, University of Colorado, Health Sciences Center)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전용감 (아산 생명과학 연구소) ;
  • 이지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Published : 1999.08.30

Abstract

Background: The CREST syndrome is an indolent form of 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Although its clinical progress is indolent, pulmonary hypertension(PH)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have grave prognosis with over 40 percent mortality rate at 2 year follow-up. But the pathogenesis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this disease is not known, and classified as either primary or secondary PH. Clonality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plexiform lesion is a molecular marker which allows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PH. We performed this study to know whether the PH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is a variant of primary PH or is a secondary PH. Methods: We assessed the X-chromosome inactivation based on the methylation pattern of the human androgen-receptor gene by PCR(HUMARA). Endothelial cells in plexiform lesions from female patients(n=3) with PH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were microdissected from paraffin blocks.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nd lung parenchyma were also microdissected for clonality studies. Results: The proliferating endothelial cells in 14 plexiform lesions were all polyclonal. Similarly proliferated smooth muscle cells from 5 vessels with medial hypertrophy were also polyclona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REST syndrome has different pathogenesis from primary PH and to be classified as secondary PH.

연구배경: CREST 증후군은 전신성 경화증의 이형으로 전신성 경화증에 비교하여 병의 진행이 늦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CREST 증후군 환자의 약 50%에서 폐나 심장질환의 증거 없이 폐고혈압이 발생하며, 이러한 환자들의 이년 생존률은 40%로 폐고혈압이 없는 환자에 비해 예후가 매우 나쁘다. 그러나 CREST 증후군에 동반되는 폐고혈압의 원인과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으며 막연히 원발성 폐고혈압의 이형(variant form) 또는 이차성 폐고혈압으로 분류되고 있다. 총상병변(plexiform lesion) 내 증식된 내피세포의 클론성 검증은 폐고혈압을 원발성과 이차성으로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CREST 증후군이 동반된 폐고혈압 환자의 총상병변 내피세포의 클론성을 분석함으로써 CREST 동반된 폐고혈압이 원발성인지 이차성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폐고혈압을 동반한 CREST 증후군 여자환자에서 얻은 폐조직의 파라핀 block을 사용하여 microdissection 방법으로 총상병변내에 증식된 내피세포를 분리한후 X-염색체의 methylation pattern을 이용하여 클론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중막 비후를 보이는 혈관의 혈관 평활근과 폐실질의 클론성도 분석하였다. 결과: 14개 총상병변의 '증식된 내피세포'의 클론성 모두 다클론성 이었다. 또한 중막비후가 현저한 5개 폐동맥의 평활근세포 클론성도 모두 다클론성 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CREST 증후군에 동반되는 폐고혈압이 원발성 폐고혈압과는 다른 병리 기전을 갖는 이차성 폐고혈압임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