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단지의 급수량 및 오수발생량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Water Supplies and Sewage Amount in the Apartment Complexes

  • 윤여진 (대한주택공사 환경연구부) ;
  • 최명수 (대한주택공사 환경연구부) ;
  • 방기웅 (대전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발행 : 1998.04.01

초록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 변화로 인하여 생활용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양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파트 단지내 오수정화시설 및 하수처리장의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인구에 근거한 오수량의 발생원단위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자료는 하수처리의 운전이나 수질관리 계획 수립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공사의 123개 관리소에 2년간의 급수량을 취합하여 거주인구에 따른 급수량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 수도권 1개 단지와 지방권 1개 단지를 선정하여 시간별, 일별, 요일별, 계절별의 오수유입량을 직접 실측함으로써 실제 급수량과 비교를 통하여 오수유입 총량 및 거주인구에 따른 원단위를 계산하였다.

As an improvement on qualities of lives and a change in the habitual ways people eat require more water to be used for daily lives, th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from our usual lives is also expected to be in higher rate of consumption. The unit loading factor of sewage flow-rate based upon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the apartment complexes has to be found for the design of the sewage 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ese data are definitely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plans to operate th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for those to establish the plans toward a management of water qualities. Thu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data regarding the water supplies and the number of apartment residents within the 123 districts of KNHC(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e district in Seoul and the other local district were chosen an the experimental sites for th hourly, daily, weekly and seasonal measurements of the influent sewage flow-rate. The unit loading factor of influent sewage flow-rate were determ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otal sewage amount in combination with the number of people residing in two apartment complexes with supplying amount of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토목설계기준 대한주택공사
  2. 수리학 안수한
  3. 대한환경공학회 논문집 v.8 no.2 가정오수의 오탁부하량 원단위에 관한 조사 연구 정재기;조공명;김낙주
  4. '96환경백서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