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무지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 중에 협재된 대리암의 암편들에 대하여 Pb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매우 넓은범위에 걸친 Pb 동위원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206}Pb/^{204}Pb$=23.74~4142, $^{207}Pb/^{204}Pb$=16.32~18.43, $^{208}Pb/^{204}Pb$=36.42~39.75).이 값들은 $^{206}Pb/^{204}Pb$와 $^{207}Pb/^{204}Pb$를 양 축으로 하는 그림 z에서 Pb-Pb 연대가 $1.99{\pm}0.10$($2{\sigma}$) Ga로 계산되는 잘 정의된 양의 직선과계를 보여준다. 이 연대는 태백지연의 분천화강암질 편마암 및 단양 천동리 지역의 화강암질 편마암과 유사한 값으로 현재 소백산육괴의 상당부분이 이 시기에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시시한다. 경상분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분석된 방연석의 납 동위원소 비와 경기육괴 변성암의 납 동위원소 비도 Pb-Pb 그림에서 약 20억년전에 함께 변성작용을 겪은 동일한 자판 내에서 인접한 위치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Pb isotope composition is analyzed from the rock chips of marbles intercalated between gneisses of Muju area and it shows very large variation ($^{206}Pb/^{204}Pb$=23.74~4142, $^{207}Pb/^{204}Pb$=16.32~18.43, $^{208}Pb/^{204}Pb$=36.42~39.75). The data points form well defined positive relationship on $^{206}Pb/^{204}Pb$ vs $^{207}Pb/^{204}Pb$ plot, which corresponds to $1.99{\pm}0.10$($2{\sigma}$) Ga. This age is very similar to the formation ages of the granitic gneisses from Buncheon and Cheondongri (Tanyang), and suggests that the fairly large volume of Sobaeksan Massif suffered regional metamorphism at this time.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parts of Korean peninsula including Kyeonggi and Sobaeksan Massifs were very close each other and experienced a regional metamorphism together about 2.0 Ga ago from the fact that galenas from whole Korean Peninsula except Kyeongsang Basin and metamorphic rocks from Kyeonggi Massif also reveal a similar slope corresponding 2.0 Ga on Pb-Pb isotope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