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nger betwee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nd Normal Controls

본태성 고혈압환자들과 정상인들 간의 분노의 비교

  • Koh, Kyung-B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Jun (Department of Psychiatry, Asan Medical Center)
  • 고경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상준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Published : 1995.06.15

Abstract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the extent of anger between 50 hypertensives and 50 normotensives, using anger scale. In addition, correlation was investigated between the extent of anger and biological variables such a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and triglyceride in each of both the groups. The two groups were matched to each other regarding age, sex, the level of education and body mass index(BMI). The hypertensiv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ves in anger suppression, whereas normotensiv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hypertensives in anger expression. In hypertensives, scores of anger suppression and anger expression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HDL and triglyceride, respectively. In normotensives, however, scores of anger suppress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Male hypertensiv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hypertensives regarding anger expression, whereas male normotensiv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normotensives regarding anger expression and anger total subscal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tensives suppressed more anger than normotensives, and that anger suppression in normotensives was more likely to increase blood pressure, supporting the previous reports that suppressed anger may be related to hypertension.

본 연구에서는 성인 고혈압환자 50명과 성인 정상인 50명을 대상으로 분노척도를 이용하여 분노의 표현 및 억압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양군에서 각각 분노척도점수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혈청 총콜레스테롤, 고지질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치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양군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및 BMI를 짝짓기하였고 2회 이상 혈압측정과 함께 채혈하여 혈청 총콜레스테롤, 고지질 및 중성지방치를 측정하였다. 고혈압환자군은 정상인들에 비해서 분노억압척도접수가 유의하게 더 높은 반면 정상인들은 고혈압환자들에 비해 분노표현척도접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전체분노척도접수는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환자군에서는 분노억압 및 표현척도접수가 혈압, 혈청 총 콜레스테롤, 고지질 및 중성지방치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없으나 정상인들에서는 분노억압척도점수가 수축기 혈압과 유의한 양상관성을 보였다. 고혈압환자군에서 분노표현척도 접수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정상인들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분노표현척도 및 분노전체척도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고혈압환자들이 정상인들에 비해 분노를 더 억압하고 정상인들에서는 분노의 억압이 고혈압을 일으킬 위험이 있음을 시사해 주어 분노의 억압이 고혈압과 관련된다는 기존 결과를 지지해 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