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야생(野生) 식용버섯의 무기성분에 관한 연구 -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부치, 벚꽃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붉은산무명버섯의 미량금속원소 -

Studies on Inorganic Components of Korean Wild Edible Mushrooms - Trace Mineral Elements of Armillariella Mella, Hygrophorous russula, Armillariella tabescens, Lepista nuda and lepista sordida, Hygrocybe conica. -

  • 박완희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Park, Wan-H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Polytechnic University)
  • 발행 : 1993.12.30

초록

한국에서 야생(野生)하는 6종 식용(食用)버석에 함유된 미량 금속원소의 함량순서는 다음과 같다. 뽕나무버섯은 K가 778.2 ppm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Fe, Na, Zn, Mn, Cu 순이고 Ca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뽕나무버섯부치는 K가 (972.9 ppm), Zn, Mn, Fe, Na, CU, Ca 순으로 K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주방망이버섯은 K(699.8 ppin), Zn, Fe, Na, Cu, Mn 순으로 K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Ca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는 K(945.2 ppm), Zn, Fe, Na, Cu, Mn, Ca 순으로 K이 가장많이 검출되었다. 벚꽃버섯은 K(878.6 ppm), Zn, Fe, Na, Cu, Ca, Mn 순으로 K가 최고치였고 붉은산무명버섯은 Zn(6637.3 ppm), Fe, K, Na, Ca 순으로 Zn이 특히 가장 많았고 Cu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분석한 전(全)미량금속원소(Cd는 제외)가 가장 많이 함유된 버섯은 붉은산무명버섯이었고 그 다음이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벚꽃버섯, 자주방망이버섯,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부치의 순이었다. 6종의 버섯중 가장 많이 함유된 미량금속원소는 Zn이었고 그 다음이 K, Fe, Na, Mn, Cu, Ca 순이었다. Cd는 채집장소인 서울산업대, 광릉, 동구릉, 설악산 순으로 설악산에서 채집한 벚꽃버섯, 붉은산무명버섯에 가장 적은 분석치(흔적량)을 얻었다.

In order to determine of trace mineral elements of wild edible mushrooms in Korea, the dried carpophores of Armillariella mella(Vahl.ex Fr.) karst., Armillariella tabescens(Scop.) Sing., Lepista nuda(Bull.ex Fr.) Cooke and Lepista sordida(Schum.ex Fr.) Sing., Hygrophorus russula (Schaeff.ex Fr.) Qu'el., Hygrocybe conica(Scop.ex Fr.) Kummur were incinerated and analyzed by an atom ad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six mushrooms contained ubiquitously potassium, iron, zinc, sodium, manganase, copper and calsium in that ord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was the highest than other inorganic components and the content of zinc in Hygrocybe conica was especially the most than the other five mushrooms. Total contents of inorganic components(except Cd) were universally the highest in Hygrocybe conica than other five mushrooms, and decrease in order Hygrophorus russula, lepista nuda, lepista sordida, Aarmillariella mella and Armillariella tabescens. Calsium was not present in Amillariella mella and lepista nuda, and copper not in Hygro­cybe conica, and content of cadimium in Hygrophorus russula and Hygrocybe conica were tra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