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主要)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에 대한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잡초(雜草) 발생(發生) 상태(狀態)에 관한 연구(硏究)

Emergence and Growth of Perennial Weeds Under Different Sowing Depth

  • Ku, Y.C. (Crop Experiment Station) ;
  • Park, S.H. (Crop Experiment Station) ;
  • Kwun, K.C. (Chungbuk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Lee, J.H. (Korea Broadcasting Correspondence College)
  • 발행 : 1984.12.30

초록

주요(主要)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인 올미, 올방개, 너도방도산이, 가래에 대한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출현(出現) 근계심도(根界深度) 및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를 알기 위하여 파종심도(播種深度)를 5, 10, 15, 20, 25cm로 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별(草種別) 출현(出現) 근계심도(根界深度)는 올미 및 올방개는 15cm, 너도방동산이 20cm, 가래는 25cm이었다. 2.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평균(平均) 출현일수(出現日數)는 5cm 심도(深度)에서 올방개 27.8일(日), 올미 14.1일(日), 가래 13.7일(日), 너도방동산이 7.3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3. 파종심도(播種深度)와 출현(出現) 소요일수(所要日數)와의 관계(關係)는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으면 깊을수록 출현(出現) 소요일수(所要日數)도 딜어지는 정(正)의 유의상관관계(有意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4. 출현(出現) 근계심도(根界深度) 이하(以下)에 있는 괴경(塊莖) 및 인경(鱗莖)의 발아율(發芽率)은 올미 57, 올방개 67, 가래 80%이었으며 너도방동산이는 전여 발아(發芽)하지 않았다. 5.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괴경(塊莖) 및 인경(鱗莖) 형성량(形成量)은 너도방동산이>올방개>가래>올미의 순(順)이었으며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은 것일수록 그 형성량(形成量)은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나 가래는 오히려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을수록 많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critical sowing depth and emergence day under different sowing depth at Crop Experiment Station, Suweon, in 1982. Tested weed species were Sagittaria pygnaea, Eleocharis kuroguwai, Cyperus serotinus and Potamageton distinetus, sowing depth of weeds were 5cm, 10cm, 15cm, 20cm and 25cm Critical emergence sowing depth of S. pygnaea, E. kuroguwai was 15cmand C. serotinus was 20cm sowing depth while P. distintus was 25cm sowing depth. Average emergence days under 5cm sowing depth for E. kurogwai, S. pygmaea, P. distintus and C. serotinus was 27.8 days, 14.1 days, 13.6 days and 7.3 days. While, relationships between sowing depth and day to emerg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Gernination percent of weeds under Critical emergence sowing depth, S. pygmaea, E. kurogwai and, P. distinctus was 57%, 67%, 80%, but C. serotinu.s was all d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