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를 활용한 VTS업무 중요도 평가

VTS Task Assessment using AHP

  • 김주성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 정초영 (군산대학교 해양산업.운송과학기술학부) ;
  • 김광일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Kim, Joo-Sung (Division of Navigation Science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Jung, Cho-Young (Division of Marine Industry-Transport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il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8.11.08

초록

해상교통관제 업무는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분류된다. 우리나라는 1993년 포항에 최초의 해상교통관제센터 설립 이후 대한민국의 해상교통관제는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업무 영역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교통관제 업무의 분류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사의 업무 중요도 및 작업 부하에 대해여 분석하였다. 중요도 및 작업 부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국의 해상교통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인 계층화분석과정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해상교통관제사의 업무 중요도와 작업 부하의 관계를 고찰하여 향후 해상교통관제 센터에서 관제 구역 설정의 가중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요도와 작업부하의 관계를 바탕으로 가변 섹터 운영 등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tasks of Vessel Traffic Servi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provid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in 1993 at Phohang harbour, it has been steadily developed and its work domain and scope have been expanded.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and workload of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the tasks. In order to measure the importance and workloa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operators nationwide, and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the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tasks and the workload might be used as the weights for setting the service area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data of changable sector oper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workloa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