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S 관제사 근무여건과 개선방안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ement Method of VTS Operator

  • 김주성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 정초영 (군산대학교 해양산업.운송과학기술학부) ;
  • 김광일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Kim, Joo-Sung (Division of Navigation Science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Jung, Cho-Young (Division of Marine Industry-Transport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il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8.11.08

초록

해상교통관제는 관제사의 업무 특성과 작업 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교통관제사의 근무 여건을 분석하여 추후 대한민국 해상교통관제 작업 환경 개선과 이를 통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 20개소의 해상교통관제 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제사를 대상으로 근무 여건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설문하였다. 해상교통관제사의 작업 환경과 작업 스트레스, 이직의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해상교통관제 센터의 작업 환경과 조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Vessel Traffic Services depends on the tasks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environment of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In this paper, the working conditions of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are analyzed in order to propose method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Vessel Traffic Service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through the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working at 20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s. It is expected that it might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of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in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