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충전 탄성중합체의 파손평가선도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ilure Assessment Diagrams for a Highly Filled Elastomer

  • 하재석 (충남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 김재훈 (충남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 양호영 (충남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발행 : 2012.05.17

초록

고충전 탄성중합체 균열선단에서의 파괴기구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립 항복 모델 및 내재결함 모델이 적용되었다. 두 가지 모델의 수정으로부터 고충전 탄성중합체에 대한 파손평가선도의 작성방법이 연구되었다. 고체로켓연료로 사용되는 고충전 탄성중합체의 인장시험 및 파괴인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로부터 파손평가선도를 작성하였다. 내재결함 모델로부터 작성한 파손평가선도는 스트립 항복 모델로부터 작성한 파손평가선도와의 비교를 위해 정규화되었다. 두 가지 모델로부터 작성한 파손평가선도를 비교한 결과, 내재결함모델을 이용한 파손평가선도가 스트립항복모델을 이용한 파손평가선도보다 더 보수적으로 파손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ailure mechanisms for a highly filled elastomer were discussed, and the stip-yield and the inherent flaw models were applied to them. Then, failure assessment diagram method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modified two models. Fracture toughness tests using CCT(center-cracked tension) specimens made of a highly filled elastomer were conducted to generate the failure assessment diagrams. The failure assessment diagram of the inherent flaw model was normalized in order to compare with that of the modified strip-yield model. From the comparison of two failure assessment diagrams, it was found that the failure assessment diagram of the modified inherent flaw model more conservatively assesses the failure than that of the modified strip-yield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