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부 내열재의 접착계면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공진 신호 분석

Analysis of Ultrasonic Resonance Signal for Detecting the Defect of Adhesive Interface in Exit Cone

  • 김동륜 (국방과학연구소 1기술연구본부 6부) ;
  • 김재훈 (충남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 임수용 (국방과학연구소 1기술연구본부 6부) ;
  • 박성한 (국방과학연구소 1기술연구본부 6부) ;
  • 예병한 (국방과학연구소 1기술연구본부 6부)
  • 발행 : 2012.05.17

초록

확대부 내열재의 스틸과 FRP 사이에 존재하는 미접착 결함과 미충전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 공진법을 적용하였다. 초음파 공진법은 초음파 신호가 증폭되기 때문에 펄스에코법으로 검출하기 어려운 미접착 결함 및 에폭시 미충전 결함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삼중 매질의 음압 반사계수를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시험편의 초음파 신호에 대해 고속푸리에변환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예측한 공진 주파수는 측정한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므로 초음파 공진을 입증하였다.

The ultrasonic resonance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the disbond interface and empty layer between steel and FRP of the exit cone. The ultrasonic resonance method can easily detect the disbond interface and empty layer by amplifying the ultrasonic signal, but pulse echo method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dhesive interface from disbond interface or empty layer. The resonance frequency was predicted using the pressure reflection coefficient of 3-layered medium, and measured from ultrasonic signal of the test block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The ultrasonic resonance proved that the predicted resonance frequency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onance frequenc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