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arth-Volume Estimate Model by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토공량 산정 모형 구축

  • 황영조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원서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한충희 (경희대학교 토목건축대학) ;
  • 김선국 (경희대학교 토목건축대학)
  • Published : 2006.11.11

Abstract

The earth volume which is the basis of all the construction has gone through great development so far with the use of construction machine; however, systematic studies on the related area is in need since the appropriate compound engineering method of earth volume equipments which is a key factor for shortening the project duration and cost reduction is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it is dependent on experience. Reasonable mechanical earth volum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f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the kind of project, scale and conditions in advance. Also, the optimum compound engineering should be planned by selecting several available scales of equipment. In this study, the earth volume estimate model is established for optimum compound engineering of earth volume equipment for mechanized earth volume equipment loading and moving stage among many stages of earth volume task using system dynamics technique. The optimum compound engineering model of the earth volume equipment produced as a result of this is expected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in the shortest time in selecting earth volume facility.

모든 건설공사의 기초를 이루는 토공사는 건설기계의 사용으로 오늘날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토공장비의 적정한 조합시공방안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고 경험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상태로 관련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합리적인 기계화 토공은 공사에 투입될 장비의 성능 및 특성, 공사의 종류, 규모 및 주위의 여건 등을 사전에 철저히 파악해야 하며, 사용 가능한 몇 가지 규격의 장비를 선정하여 최적조합시공을 계획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토공작업의 여러 단계 중 기계화 토공장비의 굴착 후 적재 및 운반단계를 대상으로 토공장비의 최적조합시공에 의한 토공량 산정 모형을 구축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되는 토공장비의 최적조합시공모형은 토공계획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토공장비의 선정에 있어 최단시간에 합리적인 판단을 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