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ment of Critical Work Models through the Evaluation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산업설비 기술수준 평가를 통한 주요업무 도출 및 모델 구축방안 연구

  • 박수현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하승호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경민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찬혁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경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The portion of plant industry has increased within construction market. In spite of plant industry is dynamic field which leads state-of-the-art and creates a value, phased information management and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accomplishment are insufficient. Henceforth plant is expected to demand increment of industrial project from hereafter international plant industry market. The continuous plan technique and know-how accumulation are urgent from domestic. 1'his research analyzes the areas in which domestic plant industry is insufficient and then elicits project management key success factors from current opera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s domestic plant level with overseas plant level. This study establishes work models for critical work phases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plant technical level.

산업설비 분야는 건설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산업시설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으며, 첨단기술의 접목을 통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동적인 분야임에도 단계별 정보 흐름의 관리와 지식 집약적인 업무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국제 산업설비 시장에서 건설 프로젝트 수요증대, 유지관리 분야의 확대가 예상되며, 이에 대응하여 국내에서는 지속적인 설계기술 및 노하우 축적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설비의 미흡한 부분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주요 단계의 업무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산업설비 현행 업무프로세스로부터 프로젝트 관리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해외 산업설비 수준과 비교해 봄으로써 국내공사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산업설비 주요 업무단계에 대한 업무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개선된 업무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