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ymogram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2초

발아중인 벼 품종별 Malathion 가수분해효소에 관한연구 (A Study on Malathion-hydrolyzing Esterases of Germinating Seeds of Some Rice Plant Varieties)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229-235
    • /
    • 197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수도 품종 중에서 japonica type으로 관옥, 후지사까 5호, 팔달, 수원 82호의 4품종과 indica type으로 IR-262 CP-slo의 2품종을 선정하여 estel형 인 유기인계 살충제 malathion과 방향족 ester로서 p-nitrophenyl acetate에 대한 esterase의 활성을 비교해 보고 agar-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alpha}-naphthyl$ acetate를 기질로 하여 esterase의 zymogram을 관찰한 바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효소액(crude enzyme)의 malathion가수분해 능력을 효소액일정량에 대한 분해된 malathion milligram으로 비교하면 관옥>IR-262>후지사까 5호>CP-slo>팔달>수원 82호의 순으로 관옥이 가장 활성이 강하고 팔달, 수원 82호가 가장 약하다. 2. Esterase zymogram을 보면 품종간에 대차없이 $3{\sim}4$개의 band가 두극으로 움직이며 cathode로 특히 굵고 진한 band가 있고 수원 82호는 다른 품종과 약간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p-Nitrophenyl acetate를 기질로 할 때 매 milligram 단백질당의 흡광도로 활성을 비교하면 CP-slo>IR-262>팔달>관옥>수원 82호>후지사까 5호의 순으로 indica type의 품종이 훨씬 활성이 강하나 malathion 경우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4. 0.2ppm 정도의 malathion으로 벼의 esterase는 별로 저해 되지 않았다. 5. 발아중인 벼종자에는 malathion과 p-nitrophenyl acetate를 가수분해하는 복합 esterase가 존재 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Bacillus circulans $\alpha$-amylase 유전자의 Basillus subtilis와 Bacillus megaterium에서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an $\alpha$-Amylase Gene from Bacillus circulans in B. subtilis and B. megaterium)

  • 이동석;김지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3-208
    • /
    • 2000
  • 재조합 플라스미드 pAL850에 함유된 Bacillus circulans KCTC3004 $\alpha$-amylase 유 전자를 pUB110을 이용하여 shuttle 플라스미드 pALS111을 만들어 Bacillus 세포에 이동. 발현시켰다. Bacillus subtilis(고초균)와 Bacillus megaterium(거대균)으로 형질전환된 pALS111로부터 $\alpha$-amylase는 세포증식과 비례하여 생산되었다. 형질전화주가 생산하는 $\alpha$ -amylase의 최대활성을 유전자 공여 균주인 B. circulans와 비교했을 때 고초균은 약 95배, 거대균은 약 34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장균 형질전환주는 분비율이 10% 정도인데 반하여 고초균 형질전화주는 생산된 효소전부를 , 거대균 형질전환주는 약 98%를 세포외로 분비함을 보임으로써 고초균과 거대균은 실용적인 면에서 대장균보다 우월 함을 나타내었다, pALS111의 각 숙주 내에서의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거대균에서는 92%, 고초균에서는 76%, 대장균에서는 38% 로 나타났다. SDS-PAGE와 zymogram을 통해 추정 된 대장균과 고초균, 거대균에서 발현된 효소의 분자량은 약 55,000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형질전환주가 생산하는 $\alpha$-amylase는 starch 에 작용하여 주된산물로서 maltotriose 이상의 다양한 maltooligosaccharide들을 생산함이 확인 되었다.

  • PDF

세포 외 중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Pichia anomala CO-1의 분리 동정 및 효소 특성 (Isolation of the Protease-producing Yeast Pichia anomala CO-1 and Characterization of Its Extracellular Neutral Protease)

  • 김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26-1135
    • /
    • 2019
  • 세포 외로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효모 균주 CO-1을 대나무 부산물에서 분리하였다. CO-1은 원형 또는 타원형($3.1-4.0{\times}3.8-4.4{\mu}m$)으로, 생장을 위한 최적 온도는 $30^{\circ}C$, 초기 pH는 4.0이었다. 그리고 최대 15.0% (w/v)의 NaCl과 9.0%(v/v)의 ethanol 농도에서 생장하였다. 형태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1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Pichia anomala로 판명되었다. P. anomala CO-1 단백질분해효소를 부분 정제한 결과 수율은 7.2%였으며, 정제 전에 비해 약 14.6배 정제되었다. Zymogram으로 측정한 효소의 분자량은 약 30 kDa으로 확인되었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w/v) CMC와 1.0%(w/v) yeast extract, 0.3%(w/v) $MnSO_4$를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P. anomala CO-1이 생산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였다. 또한 본 효소는 pH 4.0-10.0에서 75%의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65^{\circ}C$에서 1시간 가열하여도 60% 전후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균주의 효소 생산은 생육과 비례하였으며 대수증식기 후반에 최대의 효소 생산을 나타내었다.

Flammulina velutipes var. lupinicola의 유전체 정보기반 laccase 유전자 동정 및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case genes in the Flammulina velutipes var. lupinicola genome)

  • 유혜원;박영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5-2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Flammulina velutipes var. lupinicola의 laccase 유전자를 동정하고 최적 활성 pH, 온도, 시간을 분석하고 하였다. F. velutipes var. lupinicola 유전체에서 선별된 laccase 유전자 서열을 바탕으로 구리 결합 부위 및 신호 펩타이드 분석을 수행한 결과 5종의 laccase 유전자(g1934, g1937, g2415, g2539, g5858)를 동정하였다. 5종의 선별된 laccase 유전자 크기는 1,488~1,662 bp로 확인되었고, c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14~17개의 인트론이 확인되었다. Laccase 유전자의 신호펩타이드로 예측된 절단 부위는 N-말단으로부터 20~34 bp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 velutipes var. lupinicola laccase의 활성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분리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Zymogram을 수행하여 0.2 M 및 0.3 M NaCl과 1.6 M 및 1.7 M의 ammonium sulfate로 정제된 단백질에서 5개의 laccsae 활성 밴드를 확인하였다. pH, 온도 및 시간별로 분리 정제된 단백질의 최적 활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의 최적 pH는 5.5이고 최적 온도는 40℃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F. velutipes var. lupinicola 유전체의 laccase 유전자 구조 및 활성에 대한 특성은 laccase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알코올 水素離脫酵素의 活性과 分離에 關한 硏究 (A study on Activity and Separ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오석흔;정용재;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5-66
    • /
    • 1979
  • Drosophila melanogaster Oregen-R을 大量飼育하여 alcohol dehydrogenase를 精製하여 그 活性을 測定하는 한편 alcohol dehydrogenase의 isozyme pattern을 分析한 結果 아래와 같은 몇가지 사실을 얻었다. 1. 본 실험을 통해서 Drosophila melanogaster Oregon-R의 alcohol dehydrogenase의 比活性은 Jacobson et al. (1970)이 報告한 바 있는 D. melanogaster Samarkands의 그것에 比하여 약 5배 이상의 比活性을 나타냄을 確認하였다. 2. 이 strain의 ADH isozyme pattern은 fast form인 $AHD_1, AHD_2$ 그리고 slow form인 $ADH_2$임을 알게 되었다. 3. 粗酵表에서의 ADH isozyme pattern은 $ADH_1, ADH_2$ 그리고 $ADH_5A$가 나타났는데, 정제효소에서는 $ADH_1, ADH_5A$$ADH_5B$가 나타났다. 4. $ADH_5A$$ADH_1$ isozyme을 分離 精製한 $ADH_5A$의 比活性은 4,330 units/mg이었고, $ADH_1$의 比活性은 3,670 units/mg임을 알게 되었으며, 이것을 7% acrylamide disc gel에 電氣泳動하여 zymogram의 位置를 정확히 판별하였다.

  • PDF

Over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Endo-xylanase A (XynA)

  • Cho, Ssang Goo;Jung Han Suh;Yong Jin Cho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79-85
    • /
    • 1996
  • By using a T7 expression system, a large amount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endo-xylanase A (XynA) could be produced in Escherichia coli cells. The overproduced enzyme formed inclusion bodies, and so the protein could be more easily purified to homogeneit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enzyme was estimated to be 22 kDa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43 kDa by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 suggesting that the native enzyme was a homodimer. The pI value was determined to be 8.4. The Michaelis constants for birchwood xylan and oat spelts xylan were calculated to be 3.83 mg/ml and 5.03 mg/ml, respectively, and the $V_{max}$ max/ values for both xylans were 2.86 $\mu mole$/min. The purified enzyme was most active at $55^{\circ}C$ and pH 8.0, and stable up to $60^{\circ}C$ and in the near neutral pH range. From the zymogra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was found to have at least three xylanases and the purified one was the smallest among them.

  • PDF

The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the Serine-type Fibrinolytic Enzymes and the Thermostability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DJ-4

  • Choi, Nack-Shick;Kim, Seung-Ho
    • BMB Reports
    • /
    • 제34권2호
    • /
    • pp.134-138
    • /
    • 2001
  • By adding sodium chloride (2.5%) into a Bacillus amyloliquefaciens DJ-4 culture broth, two serine-type fibrinolytic proteases with a molecular weight of 29 (subtilisin DJ-4) and 38-kDa were stimulated on the SDS-fibrin zymogram or inhibitor gels. B. amyloliquefaciens DJ-4 showed the highest proteolytic activity (5.52 plasmin NIH unit/ml) on the fibrin plate based on the molar ratio when cells were subjected to the 2.5% NaCl. Using a fibrin plate, the secreted protease from this strain in the presence of 5% NaCl showed that about 49% of the enzyme's activity remained after incubation at $60^{\circ}C$ for 30 min, but as the sal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10% NaCl) the activity nearly disappeared (0.14 plasmin NIH unit/ml). However, through a fibrin zymography assay, three fibrinolytic enzymes (38, 53 and 80-kDa) from the cells in the presence of 10% NaCl were detected. Also, two salt-activated serine-type fibrinolytic professes (29 and 38kDa) showed thermostability from 65 to $70^{\circ}C$ for 30 min. Furthermore, these professes also showed stability, pH 6-11. In particular, 29-kDa (subtilisin DJ-4) was very stable in the pH range of 4-11 at $4^{\circ}C$ for 48 h.

  • PDF

토양에서 분리한 Aeromonas sp 로 부터 \beta-mannanase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beta-mananase gene from Aeromonas sp. in E. coli)

  • 박봉환;강대경;김하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1-205
    • /
    • 2001
  • 자연계로부터 locust bean gum이 들어 있는 선택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mannan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스크링 하였고 이를 Aeromonas sp. 로 동정하였다. Aero monas sp. 로부터 염색체 DNA를 분리하여 EcoRI으로 절단하여 대장균에 형질전환한 후 대장균 콜로니 주위에서 locust bean gum을 분해하여 투명환을 형성하는 대장균을 찾아냈다. 형질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동일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10 kd의 Aeromonas sp. 염섹체 DNA에 $\beta$-mannanase 유전자 존재하였다. 대장균에서 발현된 $\beta$-mannanase 의최적 반응 pH와 최적 반응온도는 각각 6.0과 $50^{\circ}C$로서 모균인 Aeromonas sp. 와 동일하였다.

  • PDF

Pseudomonas sp. Inuli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Molecular Cloning of Pseudomonas sp.Inulinase Gene and its Expresstion in E. coli)

  • 엄수정;권영만;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0-555
    • /
    • 1995
  • A strain of Pseudomonas sp. isolated from soil was shown to produce a high level of extracellular endo-inulinase. In this work, the endo-inulinase gene (inu1) of the bacterial strain was cloned into the plasmid pBR322 by using EcoRI restriction endonuclease and E. coli HB101 as a host strain. One out of 7, 000 transformants obtained from the above cloning experiment formed a clear zone around its colony on the selective medium supplemented with 2.0% inulin after a prolonged incubation at 37$\circ$C and subsequent cold shock treatment. The functional clone was found to carry a recombinant plasmid (pKMG50) with a 3.7 kb genomic insert containing the genetic information for the inulinase activity. The inulinase from E. coli HB101/pKMG50 was proved to be an endo-acting enzyme and produced constitutively in the recombinant E. coli cells. Zymogram of the enzyme from the recombinant cells with inulin substrate indicated that the molecular mass of the active protein was 190 Kd, while that of the endo-inulinase from the Pseudomonas strain was 170 Kd. This size discrepancy suggested that the inulinase from the recombinant E. coli HB101 cells might be the initial product of translation, not the mature form produced in the strain of Pseudomonas sp..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philic Cellulase from a Novel Cellulolytic Strain, Paenibacillus barcinonensis

  • Asha, Balachandrababu Malini;Revathi, Masilamani;Yadav, Amit;Sakthivel, Nataraj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1호
    • /
    • pp.1501-1509
    • /
    • 2012
  • A novel bacterial strain, MG7, with high cellulase activity was isolated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y analysis as Paenibacillus barcinonensis. Maximum production of cellulase by MG7 was observed at pH 7.0 and $35^{\circ}C$. The enzyme was purified with a specific activity of 16.88 U/mg, the cellulase activity was observed in a zymogram, and its molecular mass (58.6 kDa) was confirmed by SDS-PAGE. The purified enzyme showed maximum activity at pH 6.0 and $65^{\circ}C$ and degraded cellulosic substrates such as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Avicel, filter paper, and ${\beta}$-glucan. The enzyme showed stability with 0.5% concentration of various surfactants. The $K_m$ and $V_{max}$ of cellulase for CMC and Avicel were found to be 0.459mg/ml and 10.46mg/ml/h, and 1.01 mg/ml and 10.0 mg/ml/h, respectively. The high catalytic activity and its stability to temperature, pH, surfactants, and metal ions indicated that the cellulase enzyme by MG7 is a good candidate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