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rconia

검색결과 1,383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ative fracture strength analysis of Lava and Digident CAD/CAM zirconia ceramic crowns

  • Kwon, Taek-Ka;Pak, Hyun-Soon;Yang, Jae-Ho;Han, Jung-Suk;Lee, Jai-Bong;Kim, Sung-Hun;Yeo, In-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2호
    • /
    • pp.92-97
    • /
    • 2013
  • PURPOSE. All-ceramic crowns are subject to fracture during function. To minimize this common clinical complication, zirconium oxide has been used as the framework for all-ceramic crow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s of two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zirconia crown systems: Lava and Digiden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Lava CAD/CAM zirconia crowns and twenty Digident CAD/CAM zirconia crowns were fabricated. A metal die was also duplicated from the original prepared tooth for fracture test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determine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crowns. RESULTS. The mean fracture strengths were as follows: $54.9{\pm}15.6$ N for the Lava CAD/CAM zirconia crowns and $87.0{\pm}16.0$ N for the Digident CAD/CAM zirconia crow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fracture strengths of the Lava and Digident crow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Lava CAD/CAM zirconia crowns showed a complete fracture of both the veneering porcelain and the core whereas the Digident CAD/CAM zirconia crowns showed fracture only of the veneering porcelain. CONCLUSION. The fracture strengths of CAD/CAM zirconia crowns differ depending on the compatibility of the core material and the veneering porcelain.

Translucency and masking ability of translucent zirconia;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zirconia and lithium disilicate

  • Park, Joon Hee;Bang, Hyun Ji;Choi, Nak-Hyun;Park, Eu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5호
    • /
    • pp.324-333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ranslucency and masking ability of translucent zirconia compared to conventional zirconia and lithium disilicate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types of zirconia blocks with different yttria contents (3Y, 4Y, 5.5Y) and LS blocks (Rosetta SM) were used. Ten specimens for each group were fabricated with 10 mm diameter, with both 0.8 mm and 1.5 mm thicknesses (± 0.02 mm). All groups of zirconia specimens were sintered and polish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o calculate the translucency parameter (TP), CIELAB value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on black and white backgrounds. To investigate the color masking abilities, background shades of A2, normal dentin, discolored dentin, and titanium were used. The color difference (ΔE) was calculated with the CIELAB values of A2 shade background as a reference compared with the values in the various backgrounds. One-way ANOVA and Bonferroni tests were conducted (P < .05). RESULTS. The TP values of zirconia specimens increased as the yttria content increased. All materials used in the study were able to adequately mask normal dentin shade (ΔE < 5.5), but were incapable of masking severely discolored dentin (ΔE > 5.5). On the titanium background, all materials of 1.5 mm thickness were able to mask the background shade, but with a thickness of 0.8 mm, only 3Y-TZP and 4Y-PSZ were able to mask titanium background. CONCLUSION. All zirconia materials and lithium disilicate specimens used in this study were unable to adequately mask the shade of severely discolored dentin. It is recommended to use 3Y-TZP or 4Y-PSZ with a sufficient thickness of 0.8 mm or more to mask titanium.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의 지대치간 거리에 따른 파절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fracture resistance of zirconia on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based on inter-abutment distance)

  • 박기범;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61-69
    • /
    • 2020
  • 목적: 하악 제2소구치와 제2대구치를 지대치로 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 간 거리가 파절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Cameleon S zirconia block과 Luxen S2 zirconia block으로 각 재료별 지대치 간 거리를 달리 하여 CS군과 S2군으로 나누어 표기하였으며, 소결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를 임시접착시멘트를 이용하여 에폭시 레진 다이에 합착하였다. 이후, 가공치 교합면에 직경 6 mm 강철구를 위치시켜 로드셀 5.0 kN의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크로스 헤드 속도 1.0 mm/min로 압력을 가하여 파절저항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의 파절저항성은 지대치 간 거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CS군에서 지대치 간 거리가 15 mm인 경우가 13 mm와 17 mm인 경우보다 파절저항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S2군에서는 파절저항성이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하악 제2소구치와 제2대구치를 지대치로 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지대치 간 거리는 지르코니아의 종류에 따라 파절저항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르코니아 표면에칭처리와 저온열화현상이 지르코니아와 전장도재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according to Etching Treatment and Low Temperature Degradation)

  • 박진영;김재홍;김웅철;김지환;김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에칭에 의한 표면변화가 지르코니아 코어와 도재 사이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단결합강도 실시하였고,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SEM 측정, 에칭처리에 따른 지르코니아의 성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강상태에서 15~20년의 저온열화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저온 열화 처리를 시행하여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1. 에칭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시편과 에칭처리를 시행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할 경우 에칭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에칭용액이 지르코니아코어 표면에 interlocking을 형성하여 기계적인 결합을 높여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 전단결합강도의 결과(EZ>AEZ>NEZ>ANEZ)를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온열화처리를 하지 않고 에칭처리를 한 EZ군이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절 양상에서도 EZ군에서만 응집파절을 보여 가장 결합강도가 높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저온열화처리 여부에 관계없이 표면에칭처리를 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나 지르코니아 표면의 에칭처리로 인한 interlocking의 형성이 기계적인 결합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의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 (Mechanical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 in Implant Restoration)

  • 신성애;김창섭;조욱;정창모;전영찬;윤지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49-360
    • /
    • 2009
  • 목적: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서 심미적 요구도가 증진되면서 최근에는 고강도, 고인성을 지니면서 생체적합성 우수하고 치아의 색과 조화로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몇몇 임상보고를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우수한 주위조직 반응과 단기간의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 되었으나, 장기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경, 각도, 연결방식이 상이한 임플란트 고정체 -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단순 파절강도와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한계 측정을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기계적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ISO규정에 따라 지르코니아 지대주-고정체를 변연골이 3mm 흡수된 조건에서 $30^{\circ}$경사하중으로 압축굽힘강도를 측정하고, 그 값의 80%를 최대하중으로 10%를 최소하중으로 하여 10Hz의 sine형 반복하중을 $5{\times}10^6$ 주기를 초과하는 조건의 내구성한계를 측정하였다. 지르코니아 지대주로는 regular diameter를 가지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17^{\circ}$ angled 지대주, 그리고 narrow diameter 이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internal conical joint의 straight 지대주를 사용하였다. 압축굽힘강도 값을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으로 검증하였으며, 피로파절면을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결과: 압축굽힘강도는 최소 927N 이상으로, 직경의 차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5), 내구성 한계는 503N에서 868N까지의 번위를 보였다. 결론: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구강내 기능하중을 견딜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비표면적 지르코니움 산화물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H 영향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Surface Area of Zirconia: Effect of pH)

  • 정예슬;신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133-141
    • /
    • 2019
  • 침전법으로 환류방법 또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산 염기점을 갖는 고비표면적 지르코니아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지르코니아는 침전제로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Zr 용액의 pH를 2에서 10 범위 내에서 조절하였으며 질소흡착분석, X-선 회절분석(XRD), 이소프로판올 승온탈착법(IPA-TPD),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X-선 광전자분광분석, 산-염기점 분석을 통해 IPA 분해반응의 촉매활성과 연관하여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환류방법을 사용할 시, tetragonal 상이 높은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Zr 용액의 pH가 높아야 하며, pH 9 이상에서는 순수한 tetragonal 상의 지르코니아 합성이 가능하였다. 또한, 비표면적이 큰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pH가 요구되었으며, pH 10에서 합성한 경우에는 $600^{\circ}C$에서 소성 후에도 $260m^2g^{-1}$의 높은 비표면적이 얻어졌다. 하지만 같은 조건 하에서 고압이 수반되는 수열합성에는 $40m^2g^{-1}$ 이하의 매우 낮은 비표면적을 보였으며, monoclinic 상의 지르코니아가 합성되었다. 고 비표면적 tetragonal 상의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용액의 pH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용액의 pH와 무관하게 높은 압력이 필요한 수열합성에서는 monoclinic 지르코니아가 생성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비표면적이 낮게 나타났다. 높은 비표면적과 tetragonal 상을 갖는 지르코니아는 염기점에 비해 산점이 우세하여 IPA 분해반응에서 선택적 탈수반응만 진행되는 프로필렌만 생성되었다.

CAD/CAM 지르코니아 재료의 특성 (Properties of Dental CAD/CAM Zirconia)

  • 배태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5호
    • /
    • pp.260-264
    • /
    • 2011
  • Zirconia ($ZrO_2$) is a crystalline dioxide of zirconium. Dental zirconia blocks for CAD/CAM are usually fabricated with powders of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s (TZP) stabilized with 3mol% yttria. Because of its mechanical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metals and color similar to tooth, it is evaluated to attain the two purposes at a time, strength and aesthetic in prosthetic dentistry. The ability of transformation of Y-TZP from tetragonal to monoclinic helps to prevent crack propagation and contributes the increase of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Two different types of blocks, soft and hard, are used to prepare the zirconia frameworks. The fuzzy-sintered block is difficult in machining, so pre-sintered soft 3Y-TZP block is usually used to mill by computer aided machining.

Comparison of light transmittance in different thicknesses of zirconia under various light curing units

  • Cekic-Nagas, Isil;Egilmez, Ferhan;Ergun, Gulfe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2호
    • /
    • pp.93-96
    • /
    • 2012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ight transmittance of zirconia in different thicknesses using various light curing uni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 disc-shaped zirconia specimens (5 mm in diameter) in different thicknesses (0.3, 0.5 and 0.8 mm) were prepar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pecimens under three different light-curing units (quartz tungsten halogen, light-emitting diodes and plasma arc) was compared by using a hand-held radiomet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wo-way ANOVA (${\alpha}$=.05). RESULTS. ANOVA revealed that thickness of zirconia and light curing uni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ight transmittance ($P$ <.001). CONCLUSION. Greater thickness of zirconia results in lower light transmittance. Light-emitting diodes light-curing units might be considered as effective as Plasma arc light-curing units or more effective than Quartz-tungsten-halogen light-curing units for polymerization of the resin-based materials.

유리침투 지르코니아 복합체의 굴곡 강도 (Flexure Strength of Glass-infiltrated Zirconia Complex)

  • 김사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14
    • /
    • 2009
  •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flexure strength of Zirconia, on the Zirconia pellet surface measure the flexure strength to melt or permeate the Alumina (Vita Zahnfabrik, Bad Sachkingen, Germany) of private used In-Cream and observe by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In the control group(3Y-TZP group), the average of flexure strength was 1623.7MPa,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Glass-infiltrated 3Y-TZP group) was 1800.2MPa.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interface between glass and zirconia with a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it was showed that the glass dissolves to permeate into the surface of zirconia, so filled the zirconia with particles.

  • PDF

$Fe_2{O_3}$가 첨가된 지르코니아계 용사코팅층의 마모마찰 특성 (Tribological Behavior of the Plasma Sprayed Fe$_2$O$_3$Added Zirconia Based Coatings)

  • 신종한;임대순;안효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6권2호
    • /
    • pp.84-90
    • /
    • 2000
  • High Temperature wear behavior of plasma sprayed zirconia coatings containing up to 10 mol% of Fe$_2$O$_3$ were investigated. The wea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Fe$_2$O$_3$ particles to zirconia improved the wear resistance and lowere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ptimum concentration of Fe$_2$O$_3$ was about 5 mol%. Similar degradation behavior was observed at about 40$0^{\circ}C$ for both zirconia and Fe$_2$O$_3$ added zirconia coat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abilization of tetragonal phase and changes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nd toughness were responsible for tribological behavior of plasma sprayed zirconia contain Fe$_2$O$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