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culture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클러버(Clubber)의 패션 스타일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Sensibilities of Korean Clubbers)

  • 김지량;최현숙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155-170
    • /
    • 2008
  • Club culture is the global trend for youth in 21st century. Club is the space that is created with close relationship among music, dance and fashion. It is also experimental cultural art space with endlessly transforming style. Furthermore it is a space for independent minor culture which represents speciality than generality of cultural appetite and style of club. Cultural communities formed around club and their parties have placed as a strong subculture trend based on youth age group. What they are creating as a subculture could be our tomorrow's main trend and clubbers also could be our major power sources for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lub cultu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concept of clubber, to analyzes their basic club cultur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and to find out unique fashion styles of Korean clubber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 To study club fashion style's origin and background, this study searched a theoretical flow from 1930's to 1990's. Then, Korean clubber's style is derived by comparing background and origin of Korean club culture with those of abroad. To analyze in various point of view,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social, cultural, dresses, and design were considered. Since research target is a visual image, street fashion is analyzed on through, music channels and magazines from 1930's to present as well as designer's art photographies. Internet sites', cub culture association's and sound association's photos were also extracted. as a visual evidences to offer actual evidences. Geological targets are selected among Korean club culture's origin such as Hong-Ik University area, Shin-chon, Chungdam-dong and Apgujung-dong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lubber's fashion style influenced magnificently on major fashion design instead of being just youngster's resistance toward control group and it is contributing to our fashion culture to enrich it. Secondly, fashion styles of korean clubbers are based on those of western sub-culture, but with a unique localized history.

한.일 사립 여고생 교복의 조형성에 관한 비교 문화 연구 -서울과 도쿄의 사립 여자 고등학교 교복을 중심으로- (Cross-cultural Research on Visual Values of Korean and Japanese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Focused on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in Seoul and Tokyo-)

  • 윤수정;권하진;김민자
    • 복식
    • /
    • 제57권7호
    • /
    • pp.30-44
    • /
    • 2007
  • The culture includes every possible objective forms created by humans and their shared aspects of ideas, feelings, and behaviors, beliefs and etc. The dress and its ornaments are part of the culture that expresses the relationships in objective ways and in formless immaterial ways. The school uniform represents significant meanings to the students in their school years, and it is the way of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and full filling their needs for self-present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youth culture means understanding students' school uniform along with fast changing twenty first century civilization. Korea and Japan are very close nations to each other. Both Korean and Japanese girls' school uniform style were adopted western clothing style and went through many changes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They are affected by different peculiarities between two nations and youth cultures from different c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on analyzing how different visual values of girl's high school uniforms in Seoul and Tokyo and understanding youth cultures through macro-analysis. The youth cultures in Korea and Japan are mostly similar but there is special development on animation in Japan and possibly can find many styles of girl's high school uniform. Both nations are varying to be opened to sexual culture of adolescents but Japan is more uninhibited than Korea. In Japan, sailor-uniform can be found in fetish way in public culture. On one hand, because of most private girl's high schools in Tokyo takes an entrance examination, top-ranking students are very proud of their school uniforms and even students from other public high schools get private high school uniforms to attend school festival. This analysis showed that private girl's high school uniform in Seoul appealed as slim fitted silhouette which is close to modem woman's suit style while in Tokyo appealed as boxy style matched with short pleated skirt or sailor-uniform style. Comparing that to school uniform photos taken on the street, we can find that alikeness or more extreme styles as examples. These are influenced by different youth cultures in Seoul and Tokyo and cultural differences stands for different aesthetic norm being accepted or rejected.

The Effect of Multicultural Youth'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National Identity on Dual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03-210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에 어느 정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 1차 자료로 2019년 기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하고 있었던 다문화 청소년 2,246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중문화 수용 태도는 국가정체성, 문화 적응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미는 국가정체성이 높고,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높다는 것이다. 한편 다문화 청소년의 유형에서는 국제결혼 가정이 가장 낮은 이중문화 수용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 규모에서는 대도시가 가장 낮은 이중문화 수용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 태도에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다문화 가정의 유형과 거주하는 지역이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배봉기 희곡에 드러난 청소년의 갈등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Text of Conflict-Oriented Youth Play Education)

  • 오판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137-161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로 연극교육의 강화를 들 수 있다. 그래서 중등교육의 장에서 청소년 희곡에 관한 분석과 논의가 절실해졌다. 이런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이 글에서는 배봉기의 희곡집에 반영된 청소년들의 갈등 양상이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배봉기는 그의 희곡집에서 청소년 대부분이 느끼는 '대학 입시'로 인한 갈등과 함께, '공연 내용 결정'으로 인한 갈등을 청소년의 주요한 갈등으로 문제 삼고 있다. 와 <이런 물음표>에서는 '대학입시라는 자장' 속에서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과 하위권인 학생을 주목하고 있다. 두 희곡은 성적을 향상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갈등에 초점을 두었다. 이 갈등은 비록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이 서로 처지는 다르지만,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 가기를 거부할 만큼 무겁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나'를 위한 이유>에서 다룬 '공연 내용 결정'에서 청소년의 권리 또한 교사의 교육권과 충돌하고 있어서 해결하기 어렵다. 앞으로 청소년 삶의 본질적인 갈등을 반영한 많은 희곡이 만들어져 청소년 연극이 풍성해지고, 이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 : 놀이터, 어린이 도서관, 청소년 기관 (Local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 Playground, Children's Library, and Youth Center)

  • 현은자;고선주;오연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9-151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playgrounds, children's libraries and youth centers as local community centers in support of children. Its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interviews, surveys and web search. It was found that children's libraries were predominantly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Korea had lower ratios of volumes of books and periodicals per the library user and of a number of staff per the user. It was also found that over a half number of playgrounds was placed in apartment areas. Since 1993, the long-term youth development plan has commenced the construction of various societal infrastructure such as local youth centers, counseling institutes, sex-culture centers and youth cultural zon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issues were raised.

  • PDF

'청년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 미메시스 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 청년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의 연관성에 대한 비교 연구 ('Youth from Inside to Outsid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flected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Young Generation and the Popular Music in 1990s and 2010s on the Basis of the Mimesis Theory)

  • 우지혜;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53-568
    • /
    • 2018
  • 대중음악은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청년들의 내재된 욕망과 가치관이 잘 드러나는 공간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년세대 및 청년문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이라는 정치적 논리 안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청년문화가 갖고 있는 고유한 미시적 특성들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미메시스 이론을 통해 대중음악 안에서 청년세대가 주체적으로 만들고 공유하는 기호 및 담론은 무엇이며, 그것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연관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0년대 음악 <교실 이데아>와 에서는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이야기 구조 및 이항 대립이 두드러졌으며, 억압성 및 집합성을 나타내는 단어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 반면, 2010년대 음악 에서는 파편화된 기호들이 다수 등장하며 그것들을 개별적인 문맥 안에서 재구성하는 담론 구조가 발견되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맥락 안에서 청년들이 경험하는 감성과 욕구를 가시화함으로써 그들로부터 많은 공감과 인기를 얻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청년음악에 대한 고정된 시각적 접근에서 벗어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음악에 담긴 청년들의 감성 및 욕망 등을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머신러닝 기반 부산 청년인구 유출위험 요인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Youth Population Outflow in Busan Based on Machine Learning)

  • 손서영;양혜성;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31-136
    • /
    • 2023
  •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이 나날이 늘고 있다. 청년 유출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각 지방별로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의 청년 인구 유출 요인을 분석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해 청년 인구 유출 위험 등급을 예측하고자 한다. 국가통계포털에서 수집한 부산의 구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나이대(20대 초반, 20대 후반, 30대 초반)별로 세 그룹으로 나눈 뒤, 의사결정나무와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해 청년 인구 유출 위험 등급을 분류하고 예측한다. 그 결과, 청년 인구 유출 위험 등급 예측 모델은 나이 그룹별 각각 최고 정확도 0.93, 0.75, 0.63을 갖는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와 스마트 시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and Develpment Direction of Smart Era a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 강지혜;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221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와 독서문화 진흥의 직접적 수혜자인 어린이청소년의 독서문화프로그램 요구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추진했던 어린이청소년 대상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시대의 요구에 맞는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국내외 독서문화진흥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고, 사업참여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전문가를 초빙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PDCA 방법(Plan, Do, Check, Act)에 의거 각 독서문화프로그램 사업에 대한 개별 사업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례조사와 전문가 평가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지향해야 할 독서문화진흥사업의 발전방안 및 새로운 사업의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인터랙티브 전자책 만들기 플랫폼 제작/보급 사업', '게임형 독서 프로그램 제작/보급사업', '거꾸로 학습법을 활용한 하브루타 독서문화 보급 사업', '청소년 코딩 브랜딩 "Teen-Start-Up"' 등을 새로운 서비스로 제안하였다.

Madras Fashion of the American Women's Costume in the Sixties

  • Kim Hye Kyung;Choi Hy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India madras fashion was diffus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different social levels from 1960 to 1975, by using fashion illustrations such as photographs, drawings and advertisements collected from fashion magazines. The purpose was to obtain data for high fashion(Vogue), mainstream fashion(Mademoiselle) and college newspapers for youth fashion. The data were incorporated from 439 clothing items classified by different categories over the 16-year peri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earance of madras in the American women's fashion in all social classes supported the idea that fashion change during this period accompanied a concurrent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In America during the 1960s when there was strong influence of youth counterculture and interest was high on Indian culture, this corresponded to the time of maximum popularity of madras observed in American fashion in general from 1965 to 1971. Though the Indian influence on fashion in the sixties was often ascribed solely to youth counterculture, it is evident that different social groups-high and mainstream social classes, responded to the appeal of Indian culture in different ways.

청소년 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 (A Study of Postrnodern Phenomenon in Clothings for German youth)

  • 홍기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81-588
    • /
    • 1997
  • Since 1950 postmodernism shows strong influences in literature, architektuTe, art, clothing and other social and cultural fields. It's main conceptswere individual, pluralistic, unconven- tional and deconstruction of social values. The purpose of thisstudy was to review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o German clothing for youth. To achieve this purpose, raga- zinesfor youth ("BKAVO") from 1959 to 1994 surveyed including a number of interviews. The characterizations of postmodernism in fashion are as follows: Sport Clothing has an effect on Oaily Clothing. Exotic phenomenon from south america, africa, asia shows strong in fashion. Subculture(Rocker, Hippie, Punker) is as anti-culture sylnbolically expressed in young fashion which is diffrent from mother-fashion. This appeard in Germany in the 50s, 60san6 70s. However, sub-culture-look in the 80s and 90s is presented only in outer style. It does'nt show any symbolic meanings. "Bricolage" ("mix and match") -concept was appeard in 60s and 70s only in fashion of subculture group. This concept generalized in standard fashion in 80s and 90s.andard fashion in 80s and 90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