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 김진경;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3-7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2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5 years that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Gangwon-do, and the Busan region. Aft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mplete mediation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Results: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were important variables for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v data for the prevention of problems caused by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by exploring the path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which ha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 김진경;강은영;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49-168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7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who were attending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Gangwondo, and Busan, South Korea, and their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no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ways to prevent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Hig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 도경진;이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1-60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하는 31개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4, 5, 6학년 29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3일부터 2019년 6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𝑥2-test,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중독위험군이 16%, 일반군이 84.0%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평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95% CI:1.263~827.849, p=.036), 스마트폰 주요 사용 시간대(95% CI:1.028~29.574, p=.046)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 및 사용 시간대를 파악하여 예방교육이나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의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 Exposed to Smartphones)

  • 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323-1328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neficial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young children who are exposed to smartphones in daily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41 children aged five and six years at a kindergarte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 five-month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ducted twice a week. Before beginning the study, its purpose and procedure were explained to the children's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after which written content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five-month experience, questionnaires about smartphone use and emotional conditions were administered through the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average-use and high-use groups, depending o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ore. It was foun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subscales such as anxiety, impulse, and depression decreased following the five-month forest experience in both groups. Positive psychological attitudes such as sociability and crea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orest experience. The high-use group showed a wider range of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the average-use group. Accordingly, forest experienc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among young children.

유아들의 안전한 스마트폰 사용 환경 및 콘텐츠 추천 시스템 개발 (The Study of the System Development on the Safe Environment of Children's Smartphone Use and Contents Recommendations)

  • 이경아;박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45-8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중독 방지 런처와 다중지능 및 집단지성을 활용한 머신 러닝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 자녀의 디지털 기기 과다 사용을 불안해하는 부모들에게 편리한 디지털 양육 경험을 제공하고 자녀에게는 즐겁고 안전한 학습 환경과 학습 능률을 제고하는 적응 형 개별 디지털 학습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앱은 시간제한 설정과 더불어 유해 콘텐츠와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는 게이미피케이션 런처이다. 수많은 교육용 콘텐츠 및 앱 중에서 선택이 어려운 부모들에게 아이들의 학습 및 활동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빅 데이터 기반의 학습 분석 리포트를 제공 하고 집단지성을 통한 추천 알고리즘으로 자녀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Young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on their Prosocial and Problematic Behavior)

  • 조정진;조안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47-657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2개의 유치원과 2개의 어린이집에 소속된 만 3-5세 유아 147명과 그들의 어머니,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심할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심할수록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육적 매체로서의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고해보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other's original family experience in relation to mother's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부은순;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74-48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유아를 보내는 어머니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 분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 18.0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하위요인 유능성과 지도력, 애정표현과는 정적상관을 불안정성과 방해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