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lk index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IgY on Periodontitis and Halitosis Induced by Fusobacterium nucleatum

  • Wang, Fang;Qiao, Wu;Bao, Bin;Wang, Shujun;Regenstein, Joe Mac;Shi, Yilei;Wu, Wenhui;Ma, M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311-320
    • /
    • 2019
  • Fusobacterium nucleatum is a morbific agent in periodontitis and halitosis. Egg yolk antibody (IgY) was obtained from egg yolks from chickens stimulated with F. nucleatum.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gY on periodontitis and halitosis caused by F. nucleatum in vitro and in vivo. The growth of F. nucleatum was inhibited (p <0.05)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gY in vitro and the results of a Halimeter show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s) were reduced to $904{\pm}57ppb$ at a concentration 40 mg/ml of IgY. The changes of fatty acids of F. nucleatum were determined using GC-MS. The scores for odor index of rat saliva were decreased. The major constitu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cluding short-chain acids decreased 46.2% in 10 mg/ml IgY, ammonia decreased 70% in 40 mg/ml IgY, while aldehydes and olefine ketones were almost unchanged. The ELISA assay revealed that IL-6 and TNF-${\alpha}$ were decreased after 4 weeks' IgY treatment. Morphometric (X-ray) and histological analyses (HE) showed that IgY reduced alveolar bone loss and collagen fibers became orderly in rat models. As a result, IgY may have the potential to treat periodontitis and halitosis.

Astaxanthin supplementation enriches productive performance,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responses in laying hens

  • Zhu, Yuanzhao;Yin, Long;Ge, Jinshan;Wu, Xuezhuang;Peng, Yuhan;Zhang, Tao;Jiang, Meih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3_spc호
    • /
    • pp.443-448
    • /
    • 2021
  • Objective: Astaxanthin is a natural super antioxidan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taxanthin rich Phaffia rhodozyma (PR) supplementation in diets on laying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antioxidant defenses and immune defenses in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five hundred and twelve 60-week-old Lohmann Brown laying hens (2,243±12 g)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each including 4 replicates with 32 birds per replicate. Astaxanthin rich PR was added to corn-soybean meal diets to produc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Control), 800 mg/kg, 1,200 mg/kg, and 1,600 mg/kg PR, respectively. The astaxanthin content in the diet was 0.96 mg/kg, 1.44 mg/kg and 1.92 mg/kg respectively. Results: Results showed that dietary PR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daily feed intake (p = 0.0512). There was no effect of astaxanthin rich PR on Haugh units, albumen height, egg shape index, eggshell strength, and eggshell thickness at weeks 6 (p>0.05). However, egg yolk color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In addition, astaxanthin rich PR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p<0.05), increased serum immunoglobulin G content (p<0.05), and reduced malondialdehyde content (p<0.05) in laying hens. Conclusion: In conclusion, astaxanthin rich PR can improve the color of egg yolk, enhance the antioxidant defenses, and regulate the immune function.

산란 주령 및 중량 규격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 및 내부 품질 비교 (Comparison of Principle Components and Internal Quality of Eggs by Age of Laying Hens and Weight Standard)

  • 이재청;김선효;선창완;김창호;정사무엘;이준헌;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55
    • /
    • 2013
  • 본 연구는 산란 주령과 중량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과 내부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Hy-Line Brown 품종의 18주령에서 63주령으로부터 계란을 주령별로 약 50개씩 총 2,140개를 수거하여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과 난백 높이 그리고 Haugh unit을 측정하였다. 중량 규격이 높아짐에 따라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은 증가하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은 낮아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난황은 증가하고, 난백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란 주령은 난각, 난황, 난백 및 전체 계란 중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계란 중량이나 주요 구성 성분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백 높이 및 Haugh unit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계에 있어 남은 음식물의 첨가 수준이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od Waste on the Performance and the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종;이성재;이병석;이현정;조성백;김학규;이선업;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7-224
    • /
    • 2006
  • 본 시험은 남은 음식물을 산란계 사료에 1, 3, 5, 10 및 20% 첨가하여, 산란계의 사료 섭취량, 산란율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50주령 산란계(White Leghorn종) 162수를 이용하였으며, 처리구는 남은 음식물을 0, 1, 3, 5, 10, 20%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료 섭취량, 난중은 첨가수준별과 주령별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산란율은 FW 20% 처리구에서 1, 2, 3 주째 산란율의 감소가 있었으나, 4주째 회복하였다(p<0.05). 난각 두께와 난황 계수는 전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난각 강도는 3주째와 4주째에 10% FW 처리구에서 각각 $4.13kg/cm^2$$4.04kg/cm^2$로 나타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5). 호우 유니트와 난황색은 20% FW 처리구에서 4주째에 각각 92.3과 9.4로 남은 음식물 사료의 첨가 수준에 따라 주령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FW를 20% 이상 첨가시에 산란율이 감소했지만, 5% 첨가시에 산란율이 유지되었으며, 난질이 개선되어 남은 음식물 사료의 영양소 요구량 수준 개선으로 사료 자원으로서 가치가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난황유를 이용한 파프리카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aprika Powdery Mildew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 이정한;한기수;권영상;김동길;김희규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2-116
    • /
    • 2008
  • 파프리카 흰가루병(Leveillula taurica)은 우리나라 시설재배에서 아주 심각한 피해를 주는 병해 중의 하나이다. 이 균은 내부 기생성으로 잎의 내부에 균사가 발달한 뒤 잎의 표면에 황화현상이 발생하여 병반이 나타나고, 잎의 뒷면에 있는 기공을 통하여 균사가 외부로 뻗어 나오면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흰가루를 형성한다. 난황유를 0.3, 0.5% 농도로 2, 3회 처리한 시험구에서 발병지수가 1 이하로 아주 우수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약 3주간 발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Y의 처리는 환경 친화적이면서 경비도 저렴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난황유 처리 3일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잎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흰가루병이 대부분 제거되어 아주 빠른 시간에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일 수 있었으나, 흰가루병에 감염된 잎은 건전 잎에 비하여 광합성과 증산작용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발병을 예방하거나 초기에 발병을 억제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으로 판단되었다. 난황유 처리로 인한 잎의 광합성이나 증산작용도 무처리구에 비교하여 아무런 차이가 나지 않아 잎에 해로운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닥문절 (Sagamia geneionema) 암컷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Female Hairychin Goby Sagamia geneionema)

  • 허상우;김성준;송영보;이치훈;임봉수;노섬;백혜자;김형배;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04-40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female hairychin goby, Sagamia geneionema, histologically. The fecundity of female hairychin goby ranged from 1,002 to 1,240 eggs when they reached a total length of 9.1-10.0 cm. Fecundity is related to total length.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creased from December (1.87$\pm$0.46) and reached a maximum in April (11.57$\pm$1.92).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ovary were correlated with the GSI. Oocytes at the chromatin-nucleolus and peri-nucleolus stages were observed in the ovary year-round. In December, oocytes containing yolk appeared in the ovaries of a few fish. Most oocytes appearing in January were at the yolk globule stage. The frequency of oocytes appearing at the yolk globule stage from January to March was higher than in other months. Subsequently, empty follicles and atretic oocytes were observed in the ovaries in May. Based on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gonad development and the monthly change in the GSI, the reproductive cycl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growing (October to November), mature (December to January), ripe and spawning (February to April), and degenerative and resting (May to September) stages.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ovaries during the spawning period indicate that this species is a multiple spawner with abbreviated iteroparity based on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oocytes.

한국 서해산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의 난자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O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Glossaulax didyma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대기;정의영;김은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06
  •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만 앞바다 조간대에서 채집된 큰구슬우렁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GSI), 난자형성 중 난황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세포, 조직학적 관찰과 형태측정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발달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초기 난황형성 단계 난모세포에서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과립에 관여하였다. 성숙 난황과립은 주소체 (중앙중심), 가장 자리에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산란기는 6월 초-8월 말 사이 이었고, 주산란은 수온이 $19^{\circ}C$ 이상인 7-8월에 일어났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 (12-2월), 후기 활성기 (2-3월), 완숙기 (4-7월), 산란기 (6-8월), 회복기 (8-11월) 의 연속적인 5 단계로 구분되었다. 완숙난모세포의 크기는 직경이 $250-270{\mu}m$이었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 Kim, Jong Hyuk;Lee, Han Kyu;Yang, Tae Sung;Kang, Hwan Ku;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07-1413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480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1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experimental diets. The control diet contained 2,800 kcal/kg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with no fat addition. Four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2.0% or 4.0% of animal fat (AF) or soybean oil (SO).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 among all diets. Diets were fed to hens for 4 weeks. Average daily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6.7^{\circ}C{\pm}1.52^{\circ}C$ and $77.4%{\pm}4.50%$. The heat stress index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that hens were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Results: Final body weight (BW) was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2.0% or 4.0% AF than for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diets containing 2.0% or 4.0% SO. The BW gain and feed intake were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additional AF or SO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Eggshell thickness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Egg yolk color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Conclusion: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AF and SO) in diets exhibits preventative effects on BW loss for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diets were maintained. The effects were greater for AF than for SO. However,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in diets decreases eggshell thickness and egg yolk yellowness, possibly due to a reduction in Ca absorption and intake of egg yolk colorants.

유기태 철과 효모 철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 Sources on Productivity and Egg Composition in Laying Hens)

  • 나상준;우간바야르;오종일;신인수;정대균;김해영;양철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1-217
    • /
    • 2005
  • 본 연구는 유기태 철과 효모 철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갈색 테트라 산란계를 이용하였으며, 35주령 245수를 총 7처리 5반복 반복당 7수씩 임의배치 하여 9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대조구, 2) YM03 $0.1\%$, 3) YM03 $1.0\%$, 4) YF04 $0.1\%$, 5) YF04 $1.0\%$, 6) chelated Fe $0.01\%$ 및 7) chelated Fe $0.1\%$로 나누었다. 산란율은 YF04 $1.0\%$ 처리구가 $97.09\%$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05). 난중은 chelated Fe $0.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난황내 Fe 함량은 YF04 $1.0\%$ 처리구와 chelated Fe$0.1\%$처리구가 증가하여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난형태, 난백색, 난황지수는 철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P>0.05). 그러나 호유닛은 YM03 처리구, YF04 처 리구 및 chelated Fe 처리구에서 증가하여 유의차를 보였다(P<0.05). 산패도(TBA)은 YM03 $1.0\%$ 처리구가 3.98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2.85으로 가장 낮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외형은 YF04 $1.0\%$ 처리구가 3.64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 처리구가 3.00으로 가장 낮았다(P>0.05). 색은 YF04 $1.0\%$ 처리구가 4.00으로 높았으며 YF04 $0.1\%$ 처리구는 2.93으로 가장 낮았다(P<0.05). 다즙성은 YF04 $1.0\%$ 처리구가 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와 YM03 $1.0\%$ 처리구가 각각 3.07로 낮았다 (P>0.05).

산란계에서 활성야자탄의 첨가가 계란의 품질 및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Activated Coconut Charcoal on Egg Quality and Plasma Cholesterol Level in Laying Hens)

  • 민병준;김인호;이원백;홍종욱;김지훈;권오석;이상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1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란계 사료에 활성야자탄의 첨가가 계란의 품질 및 혈장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7주령 ISA Brown 산란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활성야자탄을 0.5%, 1.Oclo 그리고 1.5% 첨가한 구로 4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 시험 기간동안 활성야자탄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난중은 활성야자탄을 급여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난각강도에 있어서는 활성야자탄을 첨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난각두께는 둔단부, 예단부 그리고 중앙부에서 활성야자탄을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난황색에 있어서는 활성야자탄을 첨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난황계수는 활성야자탄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HDL 및 LDL+Y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활성야자탄의 첨가는 산란을 및 난황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