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branch

검색결과 5,674건 처리시간 0.068초

고주파열응고술을 이용한 척수신경 후내측지 신경절제술에서 후내측지를 확인하는 새로운 기준 -증례 보고- (A New More Reliable Indicator for Confirmation of the Medial Branch in Radiofrequency Neurotomy -Case report-)

  • 신근만;최상은;윤선혜;임소영;정배희;이기헌;홍순용;최영룡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2호
    • /
    • pp.242-246
    • /
    • 2000
  • Radiofrequency medial branch neurotomy is an effective way of controlling pain in the posterior compartment of the spine such as the facet joint, and the interspinous liga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medial branch. Up until now we have relied on sensory response provoked by 50 Hz stimulation. The responses elicited using this method are quite subjective and can originate from sources other than the medial branch such as the periosteum, the intermediate or lateral branch. We need a confirmed indicator to locate the medial branch reliably. We applied 2 Hz stimulation under 0.4 volts to locate the medial branch and elicited a motor response. Twitching of multifidus and muscles around the SI joint was observed. The observation of these muscles provides a much more reliable method for confirmation of the medial branch. We have treated 45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patients using radiofrequency medial branch neurotomy with this method of confirming the medial branch.

  • PDF

4-Way 캐쉬의 선택된 Element를 이용한 향상된 동적 분기 예측기 구현 (An Improved Dynamic Branch Predictor by Selective Access of a Specific Element in 4-Way Cache)

  • 황인성;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12호
    • /
    • pp.1094-1101
    • /
    • 2013
  • 본 논문은 4-Way 캐쉬의 선택된 element만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수행 사이클을 줄인 향상된 동적 분기 예측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동적 분기 예측기는 분기명령어가 페치되면 MRU 버퍼를 참조하여 4-Way 캐쉬의 선택된 element에서 타깃 주소를 얻으므로, 모든 element에 접근하는 기존의 동적 분기 예측기보다 제한된 전력하에서 BTAC entry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분기 예측 성공률과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속도가 상당히 향상된다. 제안된 동적 분기 예측기의 효율성을 SMDL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코어가 벤치마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검증한다. 실험결과 동적 분기 예측기가 없는 코어에 비해 생성된 코어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사이클은 평균 10.1% 감소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전력소모는 7.4% 증가한다. 기존 동적 분기 예측기를 사용하는 코어에 비해 수행 사이클은 평균 4.1% 줄어든다.

CPW 구조를 이용한 94 GHz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94 GHz Branch-line Bandpass Filter using CPW structure)

  • 권혁자;방석호;이상진;윤진섭;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5호
    • /
    • pp.36-4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일 평면 구조의 회로에 쉽게 집적화 할 수 있는 94 GHz CPW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논문은 커플링 포트들을 open load stub로 연결하고, 격리 포트를 출력노드로 취하여 branch-line 커플러를 transversal filtering section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94 GHz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branch-line 커플러와 open load stub들의 임피던스 및 길이를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대역통과 여파기의 측정결과, 주파수 94 GHz를 중심으로 11.7 %의 3 dB 상대 대역폭과 2.5 dB의 삽입 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94 GHz에서 -18.5 dB의 입출력 반사 손실 특성을 얻었다.

Optical Fiber Y-Branch의 제작과 OTDR 응용 (Optical fiber Y-Branch Fabrication and OTDR application)

  • 이상호;강민호;박한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1-24
    • /
    • 1981
  • Micro-torch를 사용하여 두 개와 taper를 동시에 제작하고, fusion splicing에 외해 광섬유 t-branch률 제작하였다. Y-branch의 insertion loss는 2.6dB, branching율은 0.98까지 얻을 수 있었다. 또 Y-branch를 OTDR의 제작에 응용하여 광학계를 대폭 간소화 하였으며, 길 이 측정오차 ±5m, 손실 측정오차 ±0.5bB/km로 광섬유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천안·아산지역 양봉농가 꿀벌질병 감염률 조사 (Prevalence of honeybee (Apis mellifera) disease in Cheonan-Asan areas, Korea)

  • 전동민;김선희;육심용;염남희;도진영;송서영;허은진;신창호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7-15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oneybee (Apis mellifera) disease in cheonan and asan a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2, 33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3 apiculture farms in the regions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conducted. Among 33 samples, prevalence rate was 42% in Sac Brood Virus (SBV), 52% in Nosema, 21% in American foulbrood (AFB), 70% in European foulbrood (EFB), 97% in Stonebrood, 3% in Chalkbrood. The result indicate that stonebrood was most prevalent disease in apiculture farms in cheonan and asan area.

T형 수평 및 수직 입구 분지관 내 냉매 2상 유동 특성 (Two-phase Flow Characteristics of Refrigerant in T-branch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Inlet Tube)

  • 태상진;조금남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741-748
    • /
    • 200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wo-phase flow characteristics of refrigerant R-22 in T-branch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inlet tube The key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the orientation of inlet and branch tubes (horizontal and vertical), diameter ratio of branch tube to inlet tube (1 and 0.61), inlet mass flux (200~500 kg/$m^2$s) and inlet quality (0.1~0.4). Predicted pressure profile agreed with the measured data within 25.4%. The flow distribution ratio decreased as the mass flux increased. The flow distribution ratio decreased by 12~25% as the tube diameter ratio decreased from 1 to 0.61, and decreased by 38~47% as the orientation of branch changed from horizontal to vertical upward for horizontal inlet tubes. As the orientation of inlet tube changed from horizontal to vertical upward for horizontal branch, the flow distribution ratio increased by 15~68%, but the quality in the branch tube decreased by 28~92% due to phase separation.

TLB 태그 공유 구조의 분기 타겟 버퍼 (A Branch Target Buffer Using Shared Tag Memory with TLB)

  • 이용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99-902
    • /
    • 2005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분기에 의한 파이프라인의 정지이다. 분기타겟 버퍼는 분기를 예측하여 다음 실행 명령어의 주소를 제공한다. 이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자연스런 명령어의 실행 흐름은 끊어지지 않게 되고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주소를 실제주소로 바꾸어 주는 TLB와 분기 타겟 버퍼가 각각 가지고 있는 태그 메모리를 공유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공유 태그 구조의 이점은 2개의 태그 메모리를 하나로 공유함으로써 칩 면적의 감소를 꾀하고 분기 예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주소로 사용되는 비트 수가 커지거나 여러 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구조에서 이점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향후 개발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마이크로 CT를 이용한 BALB/C(흰쥐) 간문맥의 미세혈관 조영 영상 (Microvascular Contrast Image in Portal Veins of Rat using Micro-CT)

  • 이상호;임청환;정홍량;한범희;모은희;채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9-266
    • /
    • 2010
  • 고해상도 엑스선 영상장치인 마이크로 CT를 이용, 흰쥐 간의 전체적인 문맥상과 각 간엽(lobe)의 미세혈관구조를 관찰하여 4개 분절 간엽의 구조를 영상화 하였고, 단축면상의 데이터를 3D영상으로 재구성한 미세혈관 구조의 입체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마이크로 CT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마리의 간 중에서 손상이 가장 적은 1개의 간을 4 개의 분절 간엽으로 각각 절단하여 문맥의 미세구조를 이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MIP기법을 이용하여 간 문맥 전체 미세혈관의 3D영상을 얻었으며, 각 간엽의 미세혈관은 6분지까지 관찰할 수 있었다. 6 분지까지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치는 1 branch : $0.51mm{\pm}0.08$, 2 branch : $0.32mm{\pm}0.12$, 3 branch : $0.23mm{\pm}0.11$, 4 branch : $0.19 mm{\pm}0.08$, 5 branch : $0.13mm{\pm}0.06$, 6 branch : $70.5{\mu}m{\pm}14.1$ 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획득한 3차원의 입체 영상과 미세혈관 구조의 발견은 향후 고해상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 CT가 많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선관과 안면신경의 협근지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Stensen's Duct and Buccal Branch of Facial Nerve)

  • 손은택;최환준;남두현;김준혁;이영만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6
    • /
    • 2013
  • Background: When using the anterior approach for performing superficial parotidectomy, the first thing to do is to find the bucc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and the parotid duct. The buccal branch usually runs transversely with the parotid duct from the anterior border of the parotid gland. We wanted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uctures during the operation and to get clinically helpful information.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parotid mass were treated with superficial parotidectomy between May 2012 and August 2012. The outline of superficial and deep lobes of the parotid gland, parotid duct, and the bucc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were drawn on the transparent film by tracing the structures intraoperatively. Results: In 7 (58.3%) of 12 cases, the bucc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was located more caudally than the parotid duct at the anterior border of the superficial lobe of the parotid gland. In 3 cases (25%), the buccal branch was located more cephalically than the parotid duct. The mean distance between two structures were $2.54{\pm}1.48$ mm. In 11 cases, the parotid duct was located deeper than the buccal branch. Conclusion: The bucc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tends to be located more caudally than parotid duct and runs more superficially than parotid duct in all cases.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otid duct and the bucc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during the operations on living subjects, not from the cadavers, so it would be a clinically helpful study which supplied more accurate anatomic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