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ine oxidase activit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6초

왕겨초액의 대량생산과 항노화 및 미백 효과 (Mass Production of Chaff-vinegar and Its Effect of Anti-Aging and Whitening)

  • 황재규;윤종국;김숙경;이상한;한길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8-214
    • /
    • 2012
  • 본 연구는 왕겨를 이용한 항산화, 항노화에 효과적인 초액을 대량생산하여 기능성을 검증하고 왕겨초액 내의 기능성물질을 분석하여 사업화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정제된 왕겨초액을 분획하여 기능성이 확인된 부분을 HPLC 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caffeic acid 외에 7종의 polyphenol 유래물질에서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화장품소재 시험으로는 세포 생존율 측정(MTT assay), 주름개선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항산화 시험(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이 실시하였다. 피부주름형성은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엘라스틴의 재형성과 분해 또한 주름형성 기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왕겨초액은 $100{\mu}L/mL$의 농도에서 collagenase 저해효과가 100%, elastase 저해효과가 55% 이상으로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왕겨초액은 $100{\mu}L/mL$의 농도에서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80% 이상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율, xanthine oxidase 저해와 SOD-like 활성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왕겨초액 $100{\mu}L/mL$의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율이 80%,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80%, 그리고 SOD-like 활성이 10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정제 왕겨초액을 이용한 산업화를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여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왕겨초액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뿐만 아니라, 식품 및 의약외품의 품목허가를 통하여 고부가가치의 상품화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됩니다.

솔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 조은경;정보림;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73-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2 mg/mL에서 71.4%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2 mg/mL 농도에서 8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2 mg/mL에서 70.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순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H 1.2와 3.0에서 53~59%, pH 6.0에서 4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고 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 captopril과 비교분석 하였는데, 0.1 mg/mL에서 93.0%였고 같은 농도의 솔순 열수 추출물은 14.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1 mg/mL에서 44.7%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솔순 열수 추출물의 비교적 양호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당강하능의 지표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솔순 열수 추출물 3 mg/mL의 농도에서 43.3%의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 예방 효과의 지표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9.6%의 저해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솔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의 건강 및 미용 소재로써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잎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Root Extracts from Liriope platyphylla)

  • 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3-130
    • /
    • 2010
  • 국내에서 한약 재료로 생산, 유통, 사용되고 있는 맥문동(L. platyphylla) 잎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물과 메탄올을 용매로 추출한 맥문동 잎과 뿌리 추출물에 대한 수율을 측정한 결과 뿌리 물 추출물이 53.96%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잎의 물 추출물은 27.5%으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186.88 mg/g를 함유하며 플라보노이드는 잎의 물 추출물에서 159.29 mg/g을 함유하였다. 맥문동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0.5 mg/mL의 농도에서 97.42%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잎의 물 추출물에서 9.75%의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pH 1.2 조건에서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40.52%의 아질산염 소거율을 보였으나 뿌리 추출물은 농도와 pH에 관계없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없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1.0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 모두 99% 이상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뿌리는 물 추출물 93.75%, 메탄올 추출물 68.47%로 뿌리보다 잎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높았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맥문동 잎의 물 추출물에서 22.80%의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나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 추출물은 저해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추출물에 대한 수율은 맥문동 잎보다 뿌리가 더 높았으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이 한방생약재로 사용되는 맥문동 뿌리보다 비약용부위인 잎 추출물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tems)

  • 주은영;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13-818
    • /
    • 2007
  •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의 줄기를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나 생리활성 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한류 물 추출물(WE)과 에탄을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22.01 mg/g${\sim}$176.34 mg/g으로 EE에서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93.46${\sim}$96.92%로 EE가 가장 높았으며 0.1 mg/mL에서도 90% 이상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WE가 47.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세가지 추출물이 84.61${\sim}$88.36%였으며 pH 3.0에서는 25.83${\sim}$30.24%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의 농도에서 세 가지 추출물 모두 90% 이상이었으며, 1.0 mg/mL에서도 91.02${\sim}$97.51%로 EE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와 관련이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HWE와 WE는 57.84%와 53.47%를 나타내어 EE(28.79%)보다 높은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순비기나무 줄기 추출물은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며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제나 미백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이섬유 첨가가 흰쥐의 간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Rats)

  • 윤종국;이영순;이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3-847
    • /
    • 1995
  • 식이섬유가 단백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pectin 및 ${\alpha}-cellulose$를 첨가(0%, 15%, 30%)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장기 무게와 사육기간 중 사료효율의 변동은 관찰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중 체중의 변동은 대조군에서는 처음 체중의 약 3.6배, 10%, 30%,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두군 모두 약 3.5배, 15% pectin 첨가군은 약 2.9배, 30% pectin 첨가군은 약 1.9배로 증가되었다. 세 군간에 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alpha}-cellulose$ 첨가군 간에는 체중 증가율이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15%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 보다 약 24%(p<0.01) 저하되었으며 30% pectin 첨가군은 15% pectin 첨가군에 비하여 약 38%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사료효율은 ${\alpha}-cellulose$ 및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섬유는 첨가 함량에 비례하여 사료효율이 역시 떨어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장기의 체중당 백분율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pectin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높은 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간장에 있어서 그 차이가 심했다. 이때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은 15%, 30% pectin 첨가군의 두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16% 감소되었으며 간 xanthine oxidase 활성치는 15% pectin 첨가군과 30% pectin 첨가군 공히 대조군 보다 약 40%의 유의한(p<0.01) 감소를 보였다. 또한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신이화 (Magnoliae Flos)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agnoliae Flos)

  • 성지연;조우아;김영훈;천순주;장민정;정연숙;김태훈;백욱진;김대익;이창언;안봉전;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3-107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Magnoliae Flos. Methods : The effects on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for utilization as a natural material of cosmetics. Result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Magnoliae Flos. I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test,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Magnoliae Flos showed an effect of 75.6% and 83.5% at 1,000 ppm concentration, respectively. In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1,000 ppm of water extract showed an effect of 45.2% and ethanol extract showed an effect of 64.2%. Xanthine oxidase showed a meaningful inhibitory effect of 68.8% in water extract and 23.2% at 1,000 ppm in ethanol extract.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Magnoliae Flos showed the development possibility as a natural material of anti-oxidant cosmetics.

  • PDF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 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 Bang, In-Soo;Park, Hee-Yong;Yuh, Chung-Suk;Kim, Ae-Jung;Yu, Chang-Yeon;Ghimire, Bimal;Lee, Han-Shin;Park, Jae-Gun;Choung, Myoung-Gun;Lim, Jung-Dae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0-127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fruit (Morus alba L.) to influence the inhibitory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xanthine oxidase(XOase).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sixteen phenolic compounds were investigated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potent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bility of mulberry, it has been evalua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using Fenton's reagent/ethyl linoleate system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total of phenolic compounds in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levels than water extract in mulberry fruit six phenolic compounds (chlorogenic acid, narigin, syringic acid, quercetin, naringenin, kampferol) has a higher individual phenolic compound content in the 60% ethanol extraction than 80% ethanol extract. The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were highest in 80% ethanol extract (9.0%). Also, activity of xanthine oxidase(XOase) inhibition appeared highest in 80% ethanol extracts and correlated well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which was modulated by the concentra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This result revealed, that strong biological activity was caused by specific phenol compound contents. Utilization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fruit are expected to be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into source of free radical scavengers and anti-hypertentive activity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 조은경;송효주;조혜은;김미향;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29-16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1 mg/ml에서 88.9%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BHA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솔잎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솔순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47.9%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1 mg/ml에서 71.9%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4 mg/ml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에서 15.2%로 나타났다. 솔순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기 위해 식중독균주인 S. aureus, E. coli, V. paraheamolyticus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와 V. paraheamolyticus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와 동일한 농도($1{\mu}g/ml$)에서 captopril은 93.0%, 솔순은 50.6%의 저해률을 나타냈으며, $100{\mu}g/ml$에서는 60.8%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200{\mu}g/ml$ 농도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률이 54.0%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순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순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또한 솔잎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력, 자유레디칼 소거활성능, 미백효과,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에 사염화탄소 투여시간 Xanthine Oxidase활성에 미치는 Allopurinol의 영향 (Effect of Allopurinol Pretreatment on the Hepatic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CCl_4$-Treated Rats)

  • 윤종국;이혜자;이상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3
    • /
    • 1995
  • 사염화탄소에의한 간손상시 $CCl_4$대사에 xanthine oxidase(XO)가 관련되는지를 규명하기위한 일환으로 allopurinol을 흰쥐 체중 Kg당 50mg을 전처치한다음 $CCl_4$를 투여한 후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Cl_4$투여로 인한 간조직의 postmitochondria 분획의 XO활성은 allopurinol을 전처치하므로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투석한 경우에는 오히려 증가되었으며 type D로부터 type O로의 전환율은 감소되었다. 또한, 투석한 간조직의 XO를 반응속도적인 측면에서 관찰해 볼 때 allopurinol을 전처치후 $CCl_4$투여군이 $CCl_4$단독투여 군보다 Vmax가 크게 나타났다. $CCl_4$투여로 인한 체중당 간무게의 증가율과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활성증가율은 allopurinol을 전처치하므로서 저하되었다. 한편 $CCl_4$투여로 인한 간조직중 aniline hydroxylase및 glucose 6 phosphatase활성 감소율은 allopurinol을 전처치하므로서 저하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실험동물에 $CCl_4$와 allopurinol을 병행 투여시 allopurinol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을 억제시키는 현상은 XO와 사염화탄소 대사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허혈/재관류 세포 손상에서 청폐사간탕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ungpesagan-tang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duced cell injury)

  • 홍성길;강봉주;김윤진;강성모;조동욱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117
    • /
    • 1999
  • 세포열을 이용한 허혈/재관류 환경에서 청폐사간탕의 세포보호능을 측정하였다. 청폐사간탕 추출물은 허혈/재관류 환경하에서 발생하는 세포 독성으로부터 대표적 수용성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서 사용되는 지질과산화물(TBARS)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AS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허혈/재관류 환경하에서 활성이 증가하여 세포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xanthine oxidase 활성 측정에서는 청폐사간탕이 ASA보도 높은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 효소 표품을 이용한 활성 억제능 측정에서도 ASA보다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청폐사간탕은 허혈/재관류 환경하에서 세포 보호능이 있는 것으로 추측이되며, 이러한 보호능은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서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능이 공동 작용의 결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