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ting in liberal edu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영어 자동쓰기평가(AWE) 사용만족도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PLS-SEM 모델 분석 (The influence of users' satisfaction with AWE on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using PLS-SEM)

  • 주미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1-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쓰기 교과목에서 자동쓰기평가(AWE) 프로그램의 사용자 만족도가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자의 학습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AWE는 쓰기 결과물에 대해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자동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영어쓰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주제별로 작문을 하고 AW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받은 후 그것을 참고하여 최종 수정본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99)를 SPSS, Smart PLS-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WE의 사용 편의성과 유용성은 재사용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WE 사용 만족도는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은 언어적, 정서적 측면에서 학업 성취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 및 인공지능 기술 발달에 따라 영어교육에 AWE와 같은 새로운 학습재료 도입을 권장한다.

영어쓰기학습에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연구 (The use of an online grammar checker in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21
  • 본 논문은 온라인 문법체커에 대해서 살펴보고 영어쓰기에 있어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시에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에 있는 D 대학교에서 2019년 2학기에 실시하였으며 총 35명의 대학교 1학년 학생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서 사전 · 사후의 문법 테스트와 설문지 그리고 학습저널이 수집되었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문법 테스트 결과 온라인 문법체커는 영어쓰기수업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무조건 받아들이기 보다는 스스로 판단하여 수용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하는 피드백 중 (부정)관사, 전치사, 문장부호, 동사 수의 일치, 명사수의 일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토론하였다.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Needs for Learning Support Function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ugmen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Jeonghyun, Yun;Taejung, Par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호
    • /
    • pp.1-15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lligent learning support function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 learning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learning. To accomplish this,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on the levels of importance and urgency toward learning support functions of LMS powered with Artificial Intelligent (AI) technology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unction that student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felt an urgent need to adopt was to give automated grading and feedback for their writing assignments. The functions with the next highest score in importance and urgency were related to receiving customized feedback and help on task performance processed as well as results in the learning progress. In addition, students view a function to receive customized feedback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lan and progress and to receiv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y diagnos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o be both vitally important and urgently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upport function of LMS, which was ranked as low importance and urgency, was a function that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between fellow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ent needs analysis will be helpful in deriving the contents of learning support functions that should be developed as well as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prioritizing when applying AI technology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LMS in the future.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 피수영;도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71
    • /
    • 2017
  •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맞춘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한 교수법 중의 하나로써 많은 연구자들은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방식이 i) 전통적 교육방식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용한지 ii) 학생들의 영어성적에 상관없이 모든 영어레벨의 학생에게 적용되어 질수 있는지 iii)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수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받은 학생 그룹 중 가장 성적이 좋은 그룹 학생들은 학업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학업 성적이 가장 낮은 그룹 학생들은 오히려 성적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플립드 러닝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시에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를 교수자가 개발해야한다고 본다.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콘테츠 개발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일 것으로 본다.

공과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인식과 평가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 of Speaking Ability an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ssessment)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18-31
    • /
    • 2019
  • In addition to technical skills and competencies, communication competence has been identified to be important to engineering students who will be drivers of innovation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rawing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exploration of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 of speaking ability an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o date, there has been most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writing' (e.g., its educational process, class designs, ability, etc.) for engineering students. However,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gineering students' speaking ability perception and their competence diagnosis. This study relies on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one survey questionnaire and one test conducted respectively. The sample consists of 386 engineering students as well as 481 non-engineering students for the 1st survey. And to measure communicative competence, 150 engineering students as well as 136 non-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est.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eaking ability by majors and gender.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ame survey by grade. Secondly, there was a clos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speaking ability.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ve competence by majors.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Fourthly, there was a clos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improvement on engineering students' speaking ability an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rograms in engineering school.

Lexical Bundles in Computer Science Research Articles: A Corpus-Based Study

  • Lee, Je-Young;Lee, Hye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4호
    • /
    • pp.70-7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corpus-based study was to find 4-word lexical bundles in computer science research articles. As the demand for research articles (RA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increases, the need for acquiring field-specific writing conventions for this academic genre has become a burning issue. Particularly, one area of burgeoning interest in the examination of rhetorical structures and linguistic features of RAs is the use of lexical bundles, the indispensable building blocks that make up an academic discourse. To illustrate, different academic discourses rely on distinctive repertoires of lexical bundles. Because lexical bundles are often acquired as a whole, the recurring multi-word sequences can be retrieved automatically to make written discourse more fluent and natural. Therefore, the proper use of rhetorical devices specific to a particular discipline can be a vital indicator of success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ies. Hence, to identify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up specific registers, this corpus-based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usage frequency of lexical bundles in the discipline of CS, one of the most in-demand fields world over. Given that lexical bundles are empirically-derived formulaic multi-word units, identifying core lexical bundles used in RAs, they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specificity of particular CS text types. This will in turn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register specificity and technicality within the academic discourse of computer science. As i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llege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online synchronous/asynchronous platforms to enhance Competencies)

  • 이명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의사소통, 자기주도성, 협동성 등의 역량증진을 위한 딕토글로스 활동을 다양한 온라인플랫폼 기능 활용을 고도화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딕토글로스는 의사소통의 네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언어 교수-학습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 통합적 영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온라인기반 영어통합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각 단계별로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인간 및 인공지능의 초지능 협력사회 실현을 위한 현대 인공지능 기술의 한계점 분석과 인문사회학적 통찰력에 대한 메타 연구 (A meta-study on the analysis of the limitations of moder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humanities insight for the realization of a super-intelligent cooperative society of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황수림;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013-1018
    • /
    • 2021
  •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가 일으킨 사고 때문에 인공지능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 윤리적 요소와 필연적으로 결부되어 있음을 로봇-인공지능 윤리 관련 개념과 공학기술로부터 확인하고 윤리적 측면이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내장되어 있음을 논한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트롤리 딜레마에 대한 해결방법을 고안한다. 우선적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작성하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데이터만 남도록 하며, 네트워크의 정확한 수치를 계산하기 위해 크라우드 소싱과 외삽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 및 모델을 구현할 때에 인간의 주관이 필연적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고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왜곡과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 교육과 구분되는 공학 교양 교육, 특히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논한다.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의 구성과 과제 (The Organization and Tasks of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이선경;최석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26-39
    • /
    • 1998
  • The ‘Ecosystem St Environment’ subject is included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 Korea, which ‘Environmental Science’ subject in the 6th curriculum was changed to. The 6th curriculum was announced in 1992 and has been applied till now, and the 7th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in the late of 1997 and will start to be applied in school education from 2001. The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is an integrated subject for liberal arts and science, which deals with environmental problems with approaches of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Its significance lies in understanding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t is aimed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 subject in middle schools, which is one of the three optional subjects. This subject consists of six domains: human being and environment, ecosystem and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 their measures, environment and socie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mpared with ‘Environmental Science’ in the 6th curriculum, in this subject less emphasis is put on environmental technological approach and more emphasis is put on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social approach. On the contrary, one unsatisfactory point is as the following: locally integrated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omitted: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is more or less sporadical and sometimes overlapping; practical solutions are not concrete in writing the textbook and teaching it. The ‘Ecosystem & Environment’ subject which has been organized with new content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s will be successful in achieving the given goal only when a lot of high schools select this subject and are taught effectively.

  • PDF

정서기반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Based Learning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 이진현;송현아;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85-595
    • /
    • 2017
  • 본 연구는 정서기반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은 학습동기 I, 학습코칭, 학습동기 II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회기마다 자기평가 및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성찰 시간을 갖도록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K전문대학 재학생들 중 2016학년도 1학기 심리학 관련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공학계열 재학생 38명으로, 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19명을 비확률 표본 추출에 의거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정서기반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주 강사 1명과 보조 강사 1명 총 2명의 강사로 한 주에 1회기씩 총 12회기가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회기별 소감문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서기반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습동기와 하위요인 자신감, 만족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서기반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지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 학생들의 소감문 분석에서는 본 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함의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