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ap packag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팽이버섯의 선도유지를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Keeping Freshness of Enoki Mushroom(Flammulina velutipes))

  • 조숙현;이동선;이상대;김낙구;류재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37-1142
    • /
    • 1998
  •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s were designed by combining the 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oki mushroom at 10oC and the measured film permeabilities to O2 and CO2 gases to attain the beneficial package atmosphere were fabricated and tested during storage. The packages of 100g size with 30 m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cast polypropylene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estimated and experimental package atmospheres. However, polyvinylchloride stretch wrap packs showed the gas composition close to the air, which was due to leaking of stretch wrapping. The CPP package attaining O2 below 1% and CO2 concentration of 15~20% gave the best retention of quality and thus the longest shelf life among the tried packages, and it was superior to the others in the Hunter L value, stipe elongation and sensory qualties.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lasticizers in Food Simulants Using GC/MS

  • Park, Na-Young;Yoon, Hae-Jung;Kwak, In-Shin;Jeon, Dae-Hoon;Choi, Hyun-Chul;Eum, Mi-Ok;Kim, Hyung-Il;Sung, Jun-Hyun;Kim, So-Hee;Lee, Young-Ja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93-98
    • /
    • 2009
  • Migration levels of plasticizers, di-n-butyl phthalate (DBP), benzyl-butyl phthalate (BBP), di-n-octyl phthalate(DNOP), di-iso-decyl phthalate (DIDP) and di-iso-nonyl phthalate (DINP), di-(2-ethylhexyl) adipate (DEHA), from 46 poly(vinyl chloride) (PVC) wrap films and 54 PVC gaskets into food simulants were determin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ethod was validated with limit of detection (LOD) of $0.01{\sim}0.02\;{\mu}g/mL$ for DBP, BBP, DNOP and DEHA, and $2\;{\mu}g/mL$ for DIDP and DINP. The linearity were found to be > 0.99 for all the compounds in concentration range of $0.1{\sim}81.4\;{\mu}g/mL$, and overall recoveries were ranged from 90.4 ~ 99.6%. DBP, BBP, DNOP, DEHA, DIDP and DINP were not detected in food simulants, except 1 wrap sample from which 0.28 and $0.99\;{\mu}g/mL$ of DEHA were detected respectively when tested with 20% ethanol and n-heptane as food simulants. These values were below the regulatory limitation in European Union (EU).

  • PDF

항균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딸기의 환경기체조절포장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esh Strawberries by Antimicrobial Plastic Films)

  • 정순경;조성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40-1145
    • /
    • 1998
  • 대황추출물, 황련추출물, 지르코니움계 은치환무기 이온교환체 등의 항균성 소재를 1% 농도로 함유시킨 LDPE 필름($O_2$, 투과도 : $68{\sim}80\;mL/m^2$ atm hr, $CO_2$ 투과도 : $304{\sim}360\;mL/m^2$ atm hr)을 사용하여 200 g 단위의 딸기에 대해서 환경기체조절포장을 실시하고 $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조성, 미생물 증식, 물리화학적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대황추출물 함유 필름의 포장에 0.5 mm의 핀홀을 2개 낸 세공성 포장, 항균제 무첨가의 대조구 LDPE 밀봉포장, PVC wrap 포장과도 비교하였다. 항균성 LDPE 필름은 포장된 딸기의 총균수, 유산균수, 효모수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밀봉포장될 때 4% 이하의 낮은 $O_2$ 농도 및 $6.3{\sim}9.0%$$CO_2$ 농도의 변형기체조성을 유지하였다. 포장필름의 미생물생육억제와 변형기체의 복합적인 상승 효과로 인해 항균성 LDPE 밀봉포장은 대조구 LDPE 포장, 통기성의 PVC wrap 및 세공성 핀홀 포장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부패율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은 딸기의 경도 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다른 물리화학적 변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떡 포장 개선을 위한 국내 수도권 지역 소비자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Consumer Preferences for Korean Rice Cake Packag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최우석;박상규;이윤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18-429
    • /
    • 2012
  •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떡 포장은 플라스틱 재료가 주로 사용하며 랩핑 포장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떡들은 당일 생산 및 당일 소비(2일내 소비)를 하는 제품으로 포장을 중요성을 많이 고려하고 있지 않지만, 최근 유통기한이 늘어난 떡 제품의 상품화를 위해서 떡 포장의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떡의 상품화 증대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 소비자 대상 중심으로 포장 개선에 대한 기호도 조사에서 절취선을 손으로 개봉하는 개봉방법, 2~3개의 파티션(홈)이 존재하는 내부 디자인, 제품을 낱개 포장한 포장, 포장에 직접 인쇄하는 인쇄방법, 내용물의 상태가 완전히 보일 수 있는 포장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떡 제품에 대한 상품성 부여를 위하여 현재 소비자가 떡 제품 포장의 선호하는 트랜드 분석과 포장의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려한 국내 주요 떡 제품 포장에 따른 소비자 구입 선호도를 조사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떡 종류 및 형태에 따른 포장 소비 선호도 그리고 각 포장 방법 변경에 따른 상품화 가능성 및 가격 변화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연구 결과로 제시한 떡 포장 설계 구조의 적용과 함께 떡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포장재 적용 연구 및 최적 제품 환경을 조성하는 포장 기법 연구 등을 통하여 떡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염화비닐 랩 필름으로 포장된 다양한 식품 및 요리류의 노출 조건에 따른 di-(2-ethylhexyl) adipate의 이행량 분석 (Determination of Di-(2-Ethylhexyl) Adipate Migrated from Polyvinyl Chloride Wrap Film into Various Foodstuffs and Dishes Depending on Exposure Conditions)

  • 이영호;경영수;이근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69-976
    • /
    • 2002
  • PVC 랩 필름으로 포장된 다양한 국내 식품과 요리의 저장 중 또는 전자렌지에서 데우는 과정 중 이행된 DEHA를 분석하고 이행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cetone/n-hexane을 이행 실험의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지방이 많은 식품에 이행된 DEHA는 GPC를 이용하여 분리 추출 후 분석되었다. 식품에서의 DEHA의 회수율은 $81.3{\sim}91.2%$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조사된 일반 저장 식품 중 삼겹살에서 22.9 mg/kg으로 가장 높은 DEHA의 이행량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지방 함량이 높고 저장 기간이 길수록, 또는 저장 온도가 높은 경우 DEHA의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여러 가지 배달되는 식품으로 이행된 DEHA의 양은 $6.9{\sim}29.8\;mg/kg$이었는데 이 중 지방 함량이 가장 높은 짬뽕으로 가장 높은 이행량을 보였다. 전자렌지로 가열시 랩 필름이 접촉된 경우 쌀밥과 감자에서는 DEHA가 불검출되었으나 피자에서는 158.8 mg/kg까지 매우 높은 양이 검출되었다. 랩 필름을 식품과 간격을 두고 덮었을 경우에는 접촉시켰을 때보다 낮은 이행량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많은 시료에서 DEHA의 이행량이 유럽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VC 랩에서의 DEHA의 이행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용 염화비닐수지제 기구 및 용기.포장 중 부틸주석화합물의 모니터링 - GC/MS를 이용한 염화비닐수지제 식품용 랩 및 가스킷 재질 중 부틸주석화합물 잔류량 분석 (Monitoring of Butyltin Compounds in PVC Food Packaging - Determination of Butyltin Compounds in PVC Wrap and Gasket for Food Packaging by GC/MS)

  • 성준현;윤혜정;최현철;전대훈;엄미옥;김형일;박나영;이은준;이영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15-720
    • /
    • 2007
  • 국내 유통되는 PVC제 랩 3건 및 병마개 가스킷 26종에 대한 부틸주석화합물의 재질 중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Mono-n-butyltin(MBI), di-n-butyltin(DBT) 및 tri-n-nutyltin(TBT)에 대하여 sodium tetraethylborate로 ethylation 유도체화 후 GC/MS-SI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방법의 검출한계는 $0.005\;{\mu}g/mL$였으며, $0.02-3.13\;{\mu}g/mL$의 농도범위에서 $R^2$ 값이 0.999 이상의 직선성, 90% 이상의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29건의 시료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부틸주석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기분해수 침지처리 박피연근의 랩 및 진공포장 저장 중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Peeled Lotus Roots Immersed in Electrolyzed Water Prior to Wrap- and Vacuum-Packaging)

  • 박기재;정진웅;임정호;김범근;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2-629
    • /
    • 2008
  • 수도수(TW)와 0.5% sodium metabisulfite(0.5% SMS)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58, ORP 1,128 mV, HClO 105.0 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LAEW: la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pH 8.56, ORP 660 mV, HClO 73.8 mV)를 연근의 박피 후 침지액으로 하여 랩포장과 진공포장하여 $5^{\circ}C$ 저장 중 품질 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0.5% SMS와 전기분해수 침지로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1 log cyle의 초기 균수 감소 효과와 저장중 상대적으로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침지 처리에 의한 초기 및 저장중 경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뚜렷한 PPO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전기분해수 침지로 표면색도와 색차는 0.5% SMS 침지와 유사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도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0.5% SMS 침지 박피 연근과 전기분해수 박피 연근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포장 방식에 있어서는 랩포장에 비해 진공포장이 품질 유지에보다 효과적이었다.

전력변환장치 캐비넷에서의 내부발열 개선을 위한 열유동 분석 및 유통안전성 향상을 위한 진동특성 분석 (Theoretical Heat Flow Analysis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During Transportation of PCS(Power Conversion System) for Reliability)

  • 주민정;서상욱;오재영;정현모;박종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3-149
    • /
    • 2022
  • PCS needs to freely switch AC and DC to connect the battery, external AC loads and renewable energy in both directions for energy efficiency. Whenever converting happens, power loss inevitably occurs. Minimization of the power loss to save electricity and convert it for usage is a very critical function in PCS. PC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SS(Energy Storage System) but the importance of stabilizing semiconductors on PCB(Printed Circuit Board) should be empathized with a risk of failure such as a fire explosion.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variation inside PCS was reviewed by cooling fan on top of PCS, a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CS were analyzed during truck transportation for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most cases, a cooling fan is mounted to control the inner temperature at the upper part of the PCS and components generating the heat placed on the internal aluminum cooling plate to apply the primary cooling and the secondary cooling system with inlet fans for the external air. Results of CFD showed slightly lack of circulating capacity but simulated temperatures were durable for components. The resonance points of PCS were various due to the complexity of components. Although they were less than 40 Hz which mostly occurs breakage, it was analyzed that the vibration displacement in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was very insufficient. As a result of random-vibration simulation, the lower part was analyzed as the stress-concentrated point but no breakage was shown. The steel sheet could be stable for now, but for long-term domestic transportation, structural coupling may occur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strength. After the test completed, output voltage of the product had lost so that extra packaging such as bubble wrap should be considered.

포장방법 및 수분 함량이 곶감의 상온 장기 저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ckage Material and Moisture Content on Storage of Dried Persimmons at Room Temperature)

  • 이무호;이숙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85-291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the best packaging method of dried persimmons for long term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package material to be used were 0.05mm polyethylene film, Wrap film, 0.08mm LDPE film exchanged nitrogen gas, and non package for untreated control. Before the storage, the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treated with 40%, 35% and 30%, respectively; 40% as traditional dryness, 35% as extending dry period one more week, and 30% as for two more weeks. The best package method was 0.08mm LDPE film exchanged nitrogen gas,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rol was 35%

  • PDF

환경가스조절 포장이 키토산 및 $CaCl_2$로 코팅 처리된 양송이 버섯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Quality of Chitosan and $CaCl_2$ Co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이진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08-1314
    • /
    • 1999
  • 버섯의 MAP 효과를 $CaCl_2$ 및 chitosan 코팅과 더불어 행하여 이들이 저장중 미치는 품질 변화 효과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포장 필름으로서는 PD941, PD961 및 기존의 램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는 물 세척 구를 선정하였다. 포장 내부의 공기조성을 살펴본 결과 모두 $1{\sim}3$일 사이에 최고의 $CO_2$ 농도에 도달하였으며 이후부터는 필름의 투과성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랩 포장구를 제외하고 코팅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다. $O_2$ 농도 역시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OTR에 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크게 코팅제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많았다. 호흡률에 있어서 저장하기 전의 무 처리구와 대조구(물 세척구) 및 코팅 처리구는 $155{\sim}175\;mgCO_2/kg/hr$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랩 포장구$(143{\sim}181\;mgCO_2/kg/hr)$와 PD941$(142{\sim}169\;mgCO_2/kg/hr)$ 포장구 역시 6일 저장 후에도 시료구 간의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PD961 포장구의 호흡률은 $CaCl_2(245\;mgCO_2/kg/hr)$, 키토산$(226\;mgCO_2/kg/hr)$, 물 세척구$(192\;mgCO_2/kg/hr)$로 놀게 나타났으며, 이는 PD961 포장용 적내의 낮은 산소 농도로 6일 저장후에도 신선도가 유지되어 호흡이 왕성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숙도는 코팅과 포장필름의 가스투과도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같은 포장재 처리 시료구 간의 비교를 해봤을 때 랩, PD941은 물 세척구는 모두 3.9, $CaCl_2$ 처리구는 각각 3.6, 4.4로 모두 숙도가 진행되어진 반면 키토산 처리구는 2.9, 2.5 이들보다 낮은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PD961 포장 처리구는 최종 숙도가 1.25로 초기와 큰 차이가 나지 많았다 따라서 버섯에 있어서 외형의 보존효과는 코팅효과도 가능하나 포장재의 선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 코팅처리구는 포장재 전반적으로 대조구나 $CaCl_2$처리 시료구에 비하여 낮은 L 값을 보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Delta}E$ 값도 다른 시료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여 키토산 코팅 처리는 버섯의 색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중량 감소는 램 포장구에서 많이 일어났으며 PD961은 10% 이하의 중량감소율을 보인다. 본 실험 결과로 보아 버섯 저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포장 재질과 코팅제의 선택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