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ven fiber glas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흡음재 폐기물의 재활용 방안 (Recycling of Sound Insulation Headliner Waste Material)

  • 홍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89-3095
    • /
    • 2013
  • 흡음재로 널리 사용되는 헤드라이너는 발포성 폴리우레탄(PU foam)과 유리섬유(Glass Fiber,GF) 로 구성된 복합재료로, 제품의 생산 공정을 거치는 동안 부산물 형태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헤드라이너 폐기물에 대한 효과적인 재활용을 위해 헤드라이너 구성성분에 대한 분리공정이 중요한 문제점이다. 헤드라이너에 대한 열분석결과에 의하면 중량의 감량 비율은 $40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 비발포성 폴리우레탄 > 부직포 > 1st layer > 유리섬유의 순으로 감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HDPE, LLDPE, PP 그리고 Master Batch 에 첨가제 형태로 폐 스크랩 첨가하여 sheet를 제작한 후 DSC 특성을 분석한 결과 PP를 제외한 다른 물질들에서는 결정화에 따른 발열전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접촉하중형태에 따른 복합재의 거동변화 (Behavior of Woven-glass/Epoxy Composites after Impact Loading)

  • 이재준;김병식;황성식;김태우;김찬묵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3-56
    • /
    • 2002
  • External low-velocity impact loadings onto the composites cause reduction of stiffness and/or strength. The reductions indicate that internal(external) damages were developed within the composites. These damages could be matrix cracking, fiber/matrix debonding, or delamination between layers. In previous studies, damage evaluation have been done by applying secondary mechanical loading such as buckle-driven compressive, or fatigue, or flexural loadings. An evaluation method by applying indentation loadings on the composites was proposed. The load-displacement curves obtained from the indentation testing provided the extent of damages within the composites due to impact loadings.

  • PDF

Behaviour of GFRP composite plate under ballistic impact: experimental and FE analyses

  • Ansari, Md. Muslim;Chakrabarti, Anupa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0권5호
    • /
    • pp.829-849
    • /
    • 2016
  • In this paper, experimental as well as numerical analysis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laminated composite has been presented under ballistic impact with varying projectile nose shapes (conical, ogival and spherical) and incidence velocities. The experimental impact tests on GFRP composite plate reinforced with woven glass fiber ($0^{\circ}/90^{\circ}$)s are performed by using pneumatic gun.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in AUTODYN hydro code to validate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o study the ballistic perforation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with different parametric variations. The influence of projectile nose shapes, plate thickness and incidence velocity on the variation of residual velocity, ballistic limit, contact force-time histories, energy absorption, damage pattern and damage area in the composite target have been studied. The material characterization of GFRP composite is carried out as required for the progressive damage analysis of composite. The numerical results from the present FE model in terms of residual velocity, absorbed energy, damage pattern and damage area are having close agreement with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al impact tests.

직포 및 코팅재 타입에 따른 건축용 막재의 난연성능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Membrane According to Woven Fabrics and Coating Materials)

  • 김지현;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45-551
    • /
    • 2016
  • 막구조 건축물의 시공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내화 및 방화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고 일반 건축물의 내화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막구조 건축물과 막재료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막구조 건축물의 내화 및 방염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재료가 규정된 난연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막재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막재의 강도특성과 방염 및 난연특성을 기존의 건축용 막재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막재료의 평가기준에 대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무암섬유와 유리섬유 기반의 건축용 막재는 낮은 열방출율과 총방출열량을 나타내 화재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리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료 패널 접합부의 접착강도에 관한 표면성질의 효과 (Effect of Surface Properties on Adhesive Strength of Joint of Glass Fiber/Polyester Composite Panels)

  • 팜탄눗;염영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591-1597
    • /
    • 2012
  • 복합재료 접합부의 접착강도에 대한 접착면 성질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우븐과 매트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복합재료 접합시편들을 제작하였다. 접착제, 복합재료 접착물, 말단접합과 이차접합 시편들의 기계적 성질을 실험에 의해 구하고 실험결과를 접합이론에 적용하였다. 6 개의 접합부들에서 발생하는 최대 및 평균 전단 응력은 최대 인장력과 접합 시편의 기하학적 변수들로부터 계산되었다. 실험 결과 접합면을 연마한 후 아세톤으로 처리한 경우가 말단접합의 3 가지 형태 중 가장 큰 강도를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매트-매트와 매트-우븐 접합이 거의 같은 값으로 이차 접합의 3 가지 형태 중 가장 큰 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반대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접합시편과 우븐-우븐 접합시편은 매우 낮은 강도를 가졌다. 각각의 경우 파손은 접합부 양끝에서 심하게 발생하였고 접합부 가운데로 이동하였다.

초기 균열길이 및 섬유방향이 CFRP/GFRP 하이브리드 적층재의 층간 파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itial Crack Length and Fiber Orientation on the Interlaminar Delamination of the CFRP/GFRP Hybrid Laminate)

  • 권오헌;권우덕;강지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17
    • /
    • 2013
  • Considering the wind power system and the rotor blades which are composed of much technology, the wind power blade would be the most dangerous part because it revolves at high speed and weighs about dozens of tons, if the accident happens. Therefore, the light weight composite materials have been replacing as substitutional material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lamination and damage for CFRP/GFRP hybrid composite that is use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a wind power blade. The influence of the initial crack length and fiber orientation for the interlaminar delamination was exposed for the blade safety. Plain woven CFRP instead of GFRP was inserted into the layer of the box spar for improving the strength and blade life. DCB(Double Cantilever Beam) specimen was used for evaluating fracture toughness and damage evaluation of interlaminar delamination. The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is a commercial material known as CF 3327 EPC in plain woven carbon prepreg(Hankuk Carbon Co.) and UD glass fiber prepreg(Hyundai Fiber Co.). From the results, crack growth rate is not 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initial crack length. Mode I interlamainar fracture toughness of fiber direction $0^{\circ}$ is higher than that of $45^{\circ}$. Interlaminar fracture has an effect on fiber direction and K decreased with lower value according to increasing initial crack length. Also energy release rate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because CFRP/GFRP hybrid composite with a different thickness is under the mixed mode loading condition. The interlaminar fracture was almost governed by mode I fracture even though the mixed mode.

Plastic기 복합재료의 파손강도 및 파괴인성에 미치는 원공크기의 영향 (The Effect of Hole Size on the Failur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in Polymer Matrix Composite Plates)

  • 김정규;김도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7-204
    • /
    • 1993
  • Plastic기 복합재료의 파괴거동에 미치는 원공크기오 판폭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단축인장시험을 행하였다. 점응력파손조건에서의 특성길이 $d_o$는 원공크기 및 판폭에 의존하며, 이를 기초로 파손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수정 점응력 파손조건식을 제안하였다. 이 파손조건의 예측값은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파손 강도는 원공선단의 손상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손상영역의 형성으로 인한 응력완화현상으로 설명되어 진다. 또한 불안정 파괴시의 최대균열길이 $a_c$는 특성길이 $d_o$의 약 2배의 값을 나타낸다. 파괴인성에 대응하는 한계에너지해방율 $G_c$의 변화는 원공선단의 손상영역의 증가에 의한 응력완화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FRP 기계적 물성을 고려한 복합소재 선체구조 적층판 경량화 설계 (Laminate Weight Optimization of Composite Ship Structures based on Experimental Data)

  • 오대균;;노재규;정숙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7권2호
    • /
    • pp.104-113
    • /
    • 2020
  • The study aims to improve the previous theory-based algorithm on the lightweight design of laminate structures of a composite ship ba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sin, and laminates obtained from experiments. From a case study on using a hydrometer to measure the specific gravity of e-glass fiber woven roving fabric/polyester resin used as the raw material for the hull of a 52 ft composite ship,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laminate was redef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creas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increasing glass content was determined from the results of material testing according to ASTM D5083 and ASTM D790. After applying these experimental data to the existing algorithm and improving it, a possible laminate design that maximizes the specific strength of the composite material was confirmed. In a case study that applied the existing algorithm based on rules, the optimal lightweight design of composite structures was achieved when the weight fraction of e-glass fiber was increased by 57.5% compared with that in the original design, but the improved algorithm allowed for an increase of only 17.5%.

복합재료 평판의 헬스 모니터링 (Health Monitoring of Composite Plates)

  • 김당원;전흥재;이충희;변준형;엄문광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0
    • /
    • 2006
  • Real time health monitoring system was studied to detect the . generation of defects in the composite structures during service life. The PZT sensors were embedded into the woven-glass/phenol composite plate during the fabrication. VARTM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were used to fabricate the composite plate. A Teflon tape was embedded between glass fiber layers to mimic delamination induced during service. Normalized maximum amplitude and energy analyses were used for the acquired signals. Both amplitude and energy of acquired signals were extremely sensitive to the delamination. Therefore, it was successful to detect and to locate the defects in composite plate by monitoring signals from sensors and using the proposed method.

  • PDF

손기정 기증 고대 그리스 청동제투구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Ancient Greek Bronze Helmet donated by Sohn Keechung)

  • 박학수;정수빈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69-79
    • /
    • 2013
  • 손기정(1912 - 2002)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의 부상으로 받은 보물 제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제투구는 보존처리 부위가 열화되어 균열과 변색이 발생하였고, 코가리개가 상단 접합 부위의 균열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어 다시 보존처리하였다. 코가리개를 본체에서 분리하고, 본체와 코가리개를 안정화 및 강화처리를 한 후 다시 접합하였다. 본체의 균열 부위와 결실 부위에는 직조 유리섬유로 보강하였으며, 코가리개는 접합 후 직조 유리섬유와 Ti판을 사용하여 보강하였다. 코가리개의 충전 부위는 주변과 같이 문양을 새기고 색맞춤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