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t ferment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Wort Fermentation by Leuconostoc citreum Originated from Kimchi and Sensory Properties of Fermented Wort

  • Delgerzaya, Purev;Shin, Jin-Yeong;Kim, Kwang-Ok;Park, Jin-B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083-1090
    • /
    • 2009
  • Fermentation of wort was investigated with an ultimate goal to develop a fermented beverage rich in prebiotics and functional ingredients as well as desirable in flavors. Wort was fermented with Leuconostoc citreum HJ-P4 originated from kimchi and subjected to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L. citreum HJ-P4 produced various organic acids (e.g., lactic acid, acetic acid) as well as functional sugars (e.g., mannitol, panose) during wort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and ratio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used for wort preparation and aeration conditions during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mannitol and panose varied depending on the sucrose content of wort and aeration conditions.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worts were clear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used for wort preparation and aeration conditions during fer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abolite concentration of fermented wort and its sensory properties can be manipulated with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인삼성분이 효모의 Alcohol 배양에 미치는 영향 2. 고급 Alcohol 생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lcoholic Fermentation by Yeast. 2. Effect on the production of higher alcohols.)

  • 박세호;유태종;이석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48-154
    • /
    • 1981
  •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s and ginseng saponins on alcoholic fermentation and production of higher alcohols in malt wort by Sacch. uvarnm were studied The results otained were as follows. 1. Alcoholic fermentation of the wort contained 1-5% of ginseng extracts was inhibited slightly, but the wort contained 0.1-0.5% of ginseng extracts were same as the control. 2. 0.02-0.2% of saponin stimulated alcoholic fermentation. 3. Higher alcohol contents were decreased when the wort contained 0.1-0.5% of ginseng extracts. 4. Higher alcohol content were increased when the wort contained 0.02-0.2% of ginseng saponin. Iso-amylalcohol content of fermented wort which contained ginseng saponins were higher 18 -35mg/1 than those of control.

  • PDF

이단회분식 맥주발효 제II보 공장발효조건하에서의 시양 (Double-stage Batch Fermentation of Beer Part II. Trials under Plant Fermention Conditions)

  • Pack, M.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3
    • /
    • 1975
  • 재내식 발효법에 협사한 조건하에서 맥주를 더욱 방률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발효개시 3일후에 일정양의 새로운 맥즙을 첨가시키고 나머지 발효를 4일내지 6일사이에 완성시켜 보았다. 그 결과 1/3 용량과 $\frac{1}{2}$ 용량의 새로운 맥즙을 체가하고 5일동안 더 발효한 맥주가 미각검사에 합격되므로써 종내외 9일간 발효에 비하여 각각 22%내지 28%의 방율증가가 可能하게 되었다.

  • PDF

인삼성분이 효모의 Alchol발효에 미치는 영향 3. Saponin pattern, pH 및 유기당 함량의 변화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lcoholic Fermentation by Yeast. 3. Effect on the changes of saponin pattern, pH and production of organic acid.)

  • 박세호;유태종;이석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7-24
    • /
    • 1982
  •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aponin pattern, pH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malt wort added ginseng components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by Sacch. uvar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Saponin patterns of fermented wort were same as that of the non- fermented wort, but the weight of former was decreased comparing to that of the latter. pH value of fermented wort contained 0.1∼0.5% of ginseng extract were almost same as that of control(PH 4.23). Lactate, pyruvate, succinate and fumarate, pyroglutarate and citrate contents of the fermented wort wer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extract and pyruvate content, particularly, was increased from 28.4 to 214mg/100 ml while that of control was 33.2mg/100m1. Citrate content of fermented wort contained ginseng saponin was almost same as control (37. 5mg/100m1) . But pyruvate content was tower 4-8.6mg/100m1 than that of control(33.2mg/100m1) .

  • PDF

Sensor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orts Fermented by Leuconostoc citre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Consumer Acceptability with Added Flavorings

  • Shin, Jin-Yeong;Delgerzaya, Purev;Lim, Yong-Bin;Park, Jin-Byung;Kim, Kwang-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109-111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orts and consumer acceptability according to added flavorings. The worts were fermented by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ollow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citreum) at different aeration conditions. Chemical and sensory descrip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ermentation conditions. The consumer acceptability of the worts with added flavorings was also examined. Organic acids, functional sugars, and ethanol were produced by L. citreum and S. cerevisiae, respectively. Ethanol concentrations ranged from 10 to 25 g/L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condition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worts were clearly differentiated by the fermentation conditions. Yeast fermentation resulted in high intensities for certain sensory attributes such as 'alcohol', 'fermented barley', 'fermented white grape', and 'grassy'. Consumer acceptability changed with different levels of sugar and lemon flavoring, and the optimum levels were determined as 14.08% sugar and 0.98% lemon flavoring. Under these conditions, it was shown that a relatively acceptable fermented wort beverage containing functional materials can be produced.

오디 발효액의 발효기간 동안 식중독 세균수의 변화 (Microbial Population of Foodborne Pathogens during Fermentation of Mulberry Wort)

  • 한상현;류송희;박운라;임은아;김세리;김원일;윤보현;김현주;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58-464
    • /
    • 2016
  • 오디를 포함한 베리류의 건강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생산량 증가 및 가공식품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베리류 과실의 특성상 상처 입거나 무르기 쉬워 생과로 유통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가공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베리류를 원료로 식물발효액을 제조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소규모 이루어져 원료의 안전성 및 제조과정에 대한 위생관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오디 발효액 제조에 사용되는 원물이 유해 세균에 오염되었을 경우와 발효액으로 소량 포장되는 단계에서 유해 세균에 오염되었을 경우에 오디 발효액 발효과정 중 그리고 오염 발효액 보관과정 중 오염세균의 세균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디 발효액이 발효되는 동안 원물에 접종된 E. coli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특히 오디 원물의 무게 대비 100%로 설탕을 혼합한 처리구 보다는 80%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E. coli의 세균수 감소가 급격하였는데, 설탕을 원물 무게의 80%로 혼합하였을 때 발효과정 중 생기는 총 산도가 100% 혼합처리구보다 높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발효액의 pH가 낮아지게 되어 발생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가 완료되어 발효액으로 제품화되는 과정에서 식중독세균에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접종 균주별로 조금씩 다른 세균수 감소 양상을 보였지만 대체적으로 보관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이었고, 특히 $30^{\circ}C$에서 보관하였을 때에는 실험균주 모두 4일 이내에 사멸하였다. 따라서 오디 발효액 제품화시 소량 포장 후 $30^{\circ}C$의 온도에서 일주일 정도 보관하는 것이 오디 발효액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단회분식 맥주발효 I. 이론 (Double-stage Batch Fermentation of Beer I. Theoretical Background)

  • 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34
    • /
    • 1975
  • 종내의 맥주발효에 따른 제반조건을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하면서 율이 높은 발효법을 몇가지 설계해 보았다. 발효개시후 3일만에 발효액의 $\frac{1}{2}$또는 $\frac{1}{3}$양을 새로운 맥즙으로 대치한 다음 5일또는 4일로써 발효를 완성시키므로써 재내의 9일 간전분양효에 비하여 약 20 내지 30%의 율상승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 PDF

Hollow Fiber Recycle Reactor를 이용한 알콜연속 발효 (Continuous Alcohol Fermentation by Cell Recycling Using Hollow Fiber Recycle Reactor)

  • 이시경;박경호;백운화;장호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198
    • /
    • 1986
  • Sacch. cerevisiae var. ellipsoideus 균주를 이용산업용 천연맥즙배지를 사용한 알콜연속 발효시 Hollow Fiber Recycle Reactor를 of용 Cell Recycle을 시켜 발효조내의 알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Batch식과 연속발효시 HFR유무에 따른 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lution rate가 0.1h$^{-1}$일때 11$^{\circ}$P 및 15$^{\circ}$P media를 이용한 알콜 연속발효에서 알콜농도는4.71% 및 5.82%(v/v) 이었으며 이때의 발효율은 각각 86.2%와 78.6 % 이었다. 2. HFR연속발효에서 D=0.1h$^{-1}$일때 알콜농도는 7.64% (v/v)로 높았으며, 이때의 생산성은 6.1g/l/h이었다. 또한 D=0.2h$^{-1}$일때 알콜농도와 생산성은 각각 7.62%(v/v) 및 12.2g/l/h/이었다. 3. HFR연속발효에서 D=0.3h$^{-1}$일때 알콜농도가 7.54% (v/v) 이었으며 알콜생산성은 18.1g/l/h 이었다. 4 알콜 생산성 비교에서 HFR 연속발효는 연속발효에 비해 4배의 증가효과가 있었으며 Batch발효에 비해서는 16.3배나 크게 증가하였다.

  • PDF

영지(靈芝)의 수용성(水瀉性) 추출물(抽出物)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고급 Alcohol 생성(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Water Soluble Extract on Higher Alcohol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주현규;이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58
    • /
    • 1988
  • 영지의 수용성추출물이 alcohol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영지추출물을 0, 0.01, 0.1, 0.5, 1.0% 되게 첨가한 맥아즙에 S. cerevisiae를 접종하고 120시간 발효 ($15^{\circ}C$)과정중 S. cerevisiae의 생육도, pH의 변화 및 당 소비량, alcohol생성 등을 조사하였다. 영지추출물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균체 증식은 현저하였고, 발효 120시간에서 0.1%, 0.5%, 1.0%구는 대조구보다 각각 1.2배, 1.5배, 1.9배 증가하였다. 발효액(120시간)의 당함량은 영지추출물 첨가량 순으로 낮았으나 pH 는 높았다. 발효 과정 중 총 alcohol 생성량은 영지추출물 첨가구가 모두 대조구보다 많았고 특히 고급 alcohol의 생성량은 120시간 발효후 1.0%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8배 증가 하였다.

  • PDF

맥주의 발효과정에서 효모와 발효온도가 황화수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east Strai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in Production of Hydrogen Sulfide During Beer Fermentation)

  • 김영란;문승태;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38-242
    • /
    • 2008
  • Ale과 lager 효모를 이용하여 맥주발효 실험한 결과, lager 효모는 발효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발효 초기에 많은 양의 황화수소를 발생하였으며 ale 효모보다 더욱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발생되었다. 효모의 증식이 활발한 발효 초기에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아 효모의 증식과 황화수소의 생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도 차이에 따른 실험 결과에서, lager 효모의 경우에는 발효 온도가 높은 것이 발효율이 더 높아 발효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PL은 $15^{\circ}C$에서 발효시켰을 때, 발효 끝 부분에서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발생되었는데, 이것은 맥주에 좋지 않은 냄새의 원인이 되므로 장시간의 숙성기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EA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에서 오히려 더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생성이 되었으나, HA의 경우에는 lager 효모에서와 같이 높은 온도에서 더 많은 양의 황화수소가 생성되었는데, 이는 각 효모마다 $H_2S$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온도가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