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mwood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4초

생약제 첨가사료가 넙치의 백신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s on Vaccine Efficacy to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황지연;권문경;서정수;김경덕;이예숙;정승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491-1498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ccine efficacy and immune activities by feeding additives several natural herbal remedies extracts of Sweet Wormwood (Artemisia annua), Galla Rhois, Oriental raisin tree (Havenia Dulicis) and 6-mixed herb to Oil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ach group of fish fed with the herbal remedies added feed and basic formula during the seven weeks and vaccinated with Edwardsiella tarda Formalin killed vaccine after 4 weeks feeding. Relative Percentage Survival values (RPS) in the group was assessed by the challenge with E.tarda. All groups with the herbal remedies added feed enhanced growth rate,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ysozyme activity and agglutination titer. In a challenge experiment with E.tarda, RPS in the all groups feeding additives natural herbal remed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ural herbal remedies extracts of Sweet Wormwood (Artemisia annua), Galla Rhois, Oriental raisin tree (Havenia Dulicis) and 6-mixed herb would be effective to enhance efficacy of vaccination to Olive flounder.

뜸 특허기술 동향분석 (Analysis on trends of moxibustion patents)

  • 신미숙;한창현;박선희;최선미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2호통권20호
    • /
    • pp.113-120
    • /
    • 2007
  • 1. 뜸 특허의 한국 출원인은 타국가의 특허에 비해 자국내 집중적인 출원 양상을 보이고 있었고 국적별 출원 점유율에서는 한국 국적 출원인이 전체 80%의 출원 점유율을 보였다. 2. 분야별 특허 점유율에서는 뜸구(587건) 26%, 가열수단(495건) 23%, 가열제어(96건) 4%, 제조방법(78건) 및 기타(70건)가 각 3%로 나타났다. 3. 뜸 특허 다출원자로는 한국의 유태우, 김근식이 가장 많았고, 일본에서는 Kamaya Mogusa, Obika Reiko, 미국에서는 유태우, Shimada 및 Osamu 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뜸 연소재에서 가장 많은 출원을 한 종류는 ‘쑥’ 이었고, 가열제어 분야의 ‘쑥뜸기’가 가장 많이 출원되었다.

  • PDF

배양액 내의 황산이온 농도가 참쑥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lf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Artemisia mongolicar var. tenuifolia)

  • Lee, Yun-Jeong;Park, Kuen-Woo;Suh, Eun-Joo;Cheong. Jin-Cheol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61
    • /
    • 1998
  • 본 실험은 배양액 내의 황산이온이 참쑥(Artemisia mongolica var. tenuifoli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황산이온은 0, 0.5, 1, 2, 3mM의 농도로 처리되었는데 양액은 벨기에의 채소연구소에서 허브용양액으로 개발된 양액조성을 변형하여 이용하였다. 참쑥의 생육은 일반적으로 3mM 처리에서 좋았으며 건물률 또한 3mM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배양액내의 황산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참쑥의 엽록소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특히 엽록소 a의 함량이 b함량에 비해 증가의 폭이 컸다. 참쑥의 무기물 함량은 배양액내의 황산이온 농도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조직내 Ca의 함량은 3mM 처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식물에 의한 황산이온의 흡수는 배양액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2mM까지는 서서히 증가 하다가 3mM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mM 황산이온 처리에서 정유의 함량은 가장 높았으나 그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할 경우 정유의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 PDF

Organic amendment-driven removal and speciation of metals using wormwood in two contrasting soils near an abandoned copper mine

  • Ro, Hee-Myong;Choi, Hyo-Jung;Yun, Seok-In;Park, Ji-Suk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 HEB
    • /
    • 제59권6호
    • /
    • pp.775-786
    • /
    • 2018
  • To test the hypothesis that humic acid (HA), anaerobically digested pig slurry filtrate (APS), and their combination would differently affect the chemical speciation and extractability of metals (cadmium, copper, and zinc) and their uptake by plants, we conducted a pot experiment using wormwood in two texturally contrasting soils (sandy loam and clay loam) collected from a field near an abandoned Cu mine. Four treatments were laid out: HA at $ 23.5g\;kg^{-1}$ (HA), APS at $330mL\;kg^{-1}$ (APS), HA at $ 23.5g\;kg^{-1}$ and APS at $330mL\;kg^{-1}$ (HA + APS), and a control. Each treatment affected the chemical speciation and mobility of the metals, and thereby resulting in variable patterns of plant biomass yield and metal uptake. The APS supported plant growth by increasing nutrient availability. HA supported or hindered plant growth by impacting the soil's water and nutrient retention capacity and aeration, in a soil texture-dependent manner, while consistently enhancing the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Temporal increases in whole-plant dry matter yield and metal accumulation suggested that the plants were capable of metal hyperaccumula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mobility of metals and plant growth and corroborated by the $^{15}N$ recovery of soil- and plant-N pools under H and HS treatments. Therefore, for effective phytoremediation of polluted soils,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plant growth promoters (APS) and chelating agents (HA) should be predetermined at the site where chemical stabilization of pollutants is desired.

포도나무 줄기혹병균에 대한 약용식물의 항균활성 및 병발생억제 (In vitro and In viv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Crown Gall in Grapevine)

  • 김은수;윤해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37-548
    • /
    • 2016
  • 항암, 항산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9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포도나무 줄기혹병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시한 식물 중에서 개똥쑥(15mm), 맨드라미의 꽃(27mm)과 잎(13mm), 여주의 미성숙 열매(22mm), 상사화 꽃(7mm), 질경이의 꽃(14mm)과 종자(16mm), 초석잠의 뿌리(13mm), 복숭아 나무의 수지(10mm) 추출물 등이 줄기혹병균(Rhizobium vit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분획물의 최소억제농도를 확인한 결과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과 분획물은 각각 50,000배, 질경이 꽃 분획물은 10,000배 희석액이 최소억제농도(MIC)로 확인되었다. 개똥쑥, 맨드라미 꽃과 잎, 여주의 미성숙 열매 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통하여 분획하였다. 핵산/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클로로포름(20:80, v/v)으로 전개한 TLC 분석에서 개똥쑥 추출물에서는 Rf 0.36, 0.69, 0.75, 0.84, 0.94, 맨드라미 꽃 추출물은 Rf 0.96, 0.99, 맨드라미 잎 추출물은 Rf 0.92, 0.97, 여주의 미성숙열매 추출물은 Rf 0.85에서 항균 활성의 분획을 획득하였다.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물에 희석(500, 1,000, 2,000배)하고 온실에서 R.vitis를 접종한 '거봉' 식물체에 7일 간격으로 관수한 결과, 개똥쑥 희석액은 100%, 맨드라미 잎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67%,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83.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 추출물이 포도나무 줄기혹병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제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쑥 ( Artemisia princeps var. orentalis ) 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에 미치는 독성 효과 (Phytotoxic Effects on selected Species by KDICical Substance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Yun, Kyeong-Wo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61-170
    • /
    • 1989
  • To verify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 number of laboratory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Aqueous extracts of leaves, stems and roots of the above species inhibited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xperimental species, receptor plants. In general, the higher wa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the lower was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ratio. Volatile substances released from leaves of the donor plants also inhibited the seed germination and the radicle elongation of receptor plants. Therefore, to find out the inhibitory substances emitted from the wormwood, gas chromatography wa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KDICical substance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and most of them were identified as phenolic compounds.

  • PDF

19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콜레라에 대한 황도연(黃度淵)의 의학적 대처 (Hwang Doyeon's medical coping with cholera in the 19C of the Joseon)

  • 조원준;이선아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1호통권19호
    • /
    • pp.37-42
    • /
    • 2007
  • As the cholera was spread over the Joseon dynasty at 1821, Hwang Doyeon investigated the symptoms like diarrhea, vomiting, muscle cramp and so on, and he presented the cause of cholera as the damage of Primordial-gi caused by abnormal climate and Damp-heat made by taking inadequate foods. He regarded as of great importance the ordinary health condition by guessing the prognosis of the disease, and proposed how to make a diagnosis of dehydration by observing nails and toenails. To treat cholera, he presented the methods of Sipseon-bloodletting and Singwol-moxacautery, and mentioned compound herb remedies and single herbs like garlic etc. He wrote down Mulberry leaves and Argyi wormwood leaves as the preventor of choler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mentioned food contraindication in addition to keep from getting worse.

  • PDF

쑥분말 급여가 이유자돈의 생산성과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ing Performance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

  • 김영민;김재황;김삼철;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51-558
    • /
    • 2003
  • 본 시험은 쑥(Artemisia montana Pampan) 분말을 이유자돈 사료에 0%, 0.5%, 1.0% 및 2.0% 수준으로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 첨가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7두로서 총 112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0${\sim}$14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15${\sim}$28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가 증가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2.0% 첨가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냈다. 한편, 전 기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사료섭취량은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조단백질 소화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에서 증가(P<0.05), 인 소화율은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증가(P<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와 인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1.0% 첨가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만을 나타냈다.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있어서 $NH_3$ 발생량은 48시간 발효시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고(P<0.05) $H_2S$ 발생량은 전반적으로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유자돈 사료에 쑥분말을 1.0${\sim}$2.0%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과 유해가스 발생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약재 첨가 사료를 투여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의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성분 및 항병력 효과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 on Non - specific Immune Responses , Hematology and Disease Resistance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이주석;한형균;전창영;이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5
    • /
    • 2002
  •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 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hematolog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evaluated. Wormwood, Artemisia asiatica NAKAI and barrenwort, Epimedium koreanum NAKAI were mixed at a ratio of 7 : 3 (w/w) for 2-herbs extract and wormwood, barrenwort, Korean forsythia, Forsythia koreana NAKAI, chrysanthemu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peppermint,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 great burnet, Snaguisorba afficinalis L., Lizard tail. Saururus chinensis BAILL., mulberry, Morus alba L., and star anise, Illicium varum HOOK, f, at the same weight for 9-herbs extract. Two-herbs of 9-herbs extract were prepared by heating after adding 10㎖ of distilled water per g of the herb mixtures. Fish (10.3$\pm$2.5g)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the 2-herbs or 9-herbs extract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 0.1%, 0.5% and 1% per kg diet for 12 weeks. Lysozyme and bactericidal activities of serum,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After feeding test period,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challenged with E. tarda. Lysozyme activity from the fish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0.1% or 0.5% of 2-herbs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oth in bactericidal activity and hematology among each group. Sixty seven % of relative percent survival values (RPS) in the group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0.1% of 2-herb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and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nmentation of 0.1% of 2-herbs extract to a commercial diet may enhance disease resistance in olive flounder. Although both 0.1% and 0.5% 9-herbs extract did not improve non-specific immune reponses, they could enhance disease resistance of 53% RPS, respectively.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 이기동;김정숙;배재오;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2
    • /
    • 1992
  • 탈지된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으로부터 물 추출물 및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시판용 식용 대두유를 기질로 하여 $45^{\circ}C{\pm}1^{\circ}C$, 빛이 없는 항온기에서 32일간 저장하였으며, 매 4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와 TBA치를 측정하였다. 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항산화 효력이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BHA와 유사한 효력을 보였으나 BHT보다는 모두 항산화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았으며 유리형은 항산화 효력이 BHA와 유사했고 에스터형은 BHA보다 높고 BHT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불용성 페놀산은 BHT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세가지 페놀산 추출물 중에서는 불용성 페놀산이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스터형, 유리형 순이었다. Gas chromatography 로 부터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vanillin, umbellinferone,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산쑥은 caffeic acid, catechol, protocatechuic acid등의 항산화 효력이 강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좋은 항산화 효력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