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structure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초

고대 세다당교의 보존처리 - 대형출토목재의 보존과 전시 -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Bridge Setakarahashi -Conservation and Display for Large Size Waterlogged Wood-)

  • 중천정인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6
    • /
    • 1996
  •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toration of ancient wooden bridge foundation which excavated in Seta river Shiga Prefecture, Japan. Shiga Archeological Research started a marin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bridge foundation in 1987. The bridge foundation stricture excavated and have since then recovered about a lots of woods and another materials. The bridge foundation structure constructed log, timbers and stones. The species of those waterlogged wood were identified as two types, hardwood and softwood. Hardwood(log : Cyclobalanopsis) was used for below foundation and softwood (timber' Chamaecyparis obtusa Endl. Cupreessaceae) was used for base structure. One of those timber sample dated by dendrochronology, we asked Dr. Misutani*. The softwood gave a felling date of 567 A.D. In result, the ancient Seta bridge foundation structure had constructed between Asuka and Nara period. We healed the news that ancient bridge foundation excavated at Woljyongyo site in Kyongju, Korea 1987. The bridge foundation Setakarahashi is similar in plane and structure to Woljyongyo structures. The Woljyongyo site report had be of value for reference. We had planning to restore those woods. Hardwood log was got serious damage. The water content varies from 400 to $600\%$. The other timbers water content varies about $200\%$. In the Shiga Center for Archaeological Operations and the Azuchi Castle Archaeological Museum, we set up the PEG impregnation tank. Those wooden objects treated by PEG method. PEG with a molecular weight of 4000. The treatment results may be considered satisfactory. The ancient wooden Seta bridge was reconstructed in Biwako Museum which established in Oct. 1996. We must take care of indoor exhibition environments. (*Nara National Cultu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PDF

PEG처리 후 동결건조한 수침고목재의 습도조건에 따른 상태변화 (Dimensional Change of PEG-Freeze Dried Waterlogged Woods Exposed at Various Humidity Conditions)

  • 김수철;박원규;이용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110-118
    • /
    • 2004
  • 열화가 많이 된 수침고목재(토탄층 물푸레나무)를 물과 t-butanol을 용매로 하여 PEG농도를 $10\~80\%$로 다양하게 처리한 후 동결건조와 자연건조 하였다. 건조 후 여러 가지 습도 조건에서 45개월간 조습처리하여 중량 변화율과 수축률을 측정하여 치수안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건조 후 습도조건에 따른 상태변화에서는 수용액으로 처리한 시편이 t-butanol을 용매로 처리한 시편보다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butanol을 용매로한 처리가 유기용매치환으로 인하여 목재섬유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동결건조 후 목재조직은 과도한 건조로 인하여 미세할렬이 다수 발생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과도건조에 의해 발생된 미세할렬은 목재조직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며, 고습도에서 PEG가 수분을 흡습하면서 목재조직 내부에 응해 흡착될 때 취약한 목재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여 수축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열화가 많이 진행된(최대함수율 $800\%$) 수침고목재의 경우는 t-butanol을 용매로 이용하지 않더라도 PEG수용액 ($40\%$정도)으로 전처리 하는 것이 동결건조 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Biomass 자원의 활용(II) 율추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의 분석과 항산화활성 (Utilization of Biomass Resources(II) Analysis of Polypheno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Chestnut Inner Bark)

  • 조종수;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71-78
    • /
    • 2005
  • 임산바이오매스 자원 이용의 일환으로 율추(栗皺) 열수추출물의 디에틸에테르 가용부 및 초산에틸 가용부로부터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3종의 물질을 단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한 결과, 3,5-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그리고 (+)-catechin을 확인하였다. 이들 단리화합물의 항산화활성을 DPPH 라디칼 전자공여능(EDA)으로 측정한 결과, 10 ppm에서 화합물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와 (+)-catechin은 대조구인 ascorbic acid와 $\alpha$-tocopherol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화합물 gallic acid는 ascorbic acid보다 약 21배, $\alpha$-tocopherol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으며 화합물 catechin보다 약 2.7배 높게 나타났다.

약용 활엽수종인 물푸레나무와 느릅나무 수피의 추출성분 (Extractives of the Bark of Ash and Elm as Medicinal Hardwood Tree Species)

  • 배영수;김진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62-69
    • /
    • 2000
  • 물푸레나무와 느릅나무의 수피를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여 동결건조하고 분말상으로 조제하였다. 각 분획의 분말상 추출물을 메탄올-물 및 에탄올-헥산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칼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물푸레나무의 수피는 소량의 ligstroside와 oleuropein 및 aesculin이나 aesculitin과 같은 다량의 쿠마린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느릅나무 수피 추출물의 대부분은 (+)-catechin과 (+)-catechin-7-O-xylopyranose (+)-catechin-7-O-apiofuranose와 같은 (+)-catechin의 배당체 화합물 및 (+)-catechin의 이량체인 소량의 procyanidin B-3 화합물이었으며 단리된 페놀성 화합물의 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NMR과 FAB-MS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수입(輸入)코르크와 국산(國産)코르크의 물리(物理)·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Imported and Domestic Corks)

  • 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45-54
    • /
    • 1993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structure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domestic(Quercus variabilis Blume) and foreign(Quercus suber L.) cork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cork tissue consists of cork cells, lenticels, sclereids and dark-brown zo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io of cork cells between foreign cork(93 %) and domestic cork(87 %). The ring width and width of late cork of the foreign cork were wider than those of domestic cork. But the percentage of late cork of domestic cork was richer than that of foreign cork. The size of cork cell of foreign cork was larger by about two times than that of domestic cork. 2. The density was slightly higher in domestic cork(0.22 g/$cm^3$) than in foreign cork(0.19 g/$cm^3$). During first 24 hours,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of the foreign cork was greater than that of domestic cork. However, after 24 hours, the tendency was reversed. The level of EMC was higher in domestic cork than in foreign cork. Total shrinkage in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s was larger in domestic cork than tn foreign cor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dency was revers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swelling in three woody directions between the two corks. 3. The modulus of elasticity in compression in the logitudinal and tangential direction was higher in domestic cork than in foreign cork, but the tendency was reversed in the radial direction. Both corks showed 95% of recovery rate after 24 hours when they were compressed by 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nsion strength and Brinell,s hardness bet ween domestic and foreign corks.

  • PDF

주목과 잎갈나무의 나선장(螺旋狀) 구조(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lical Structures of Taxus cuspidata S. et Z. and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 이필우;정희석;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79-89
    • /
    • 198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examine helical structure and other feature, of Taxus cuspidata S. et Z. and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through photomicroscop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obtained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eid transition from springwood to summerwood was abrupt, mel slightly gradual in Taxus cuspidata S. et Z. and summerwood width of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was wider than that of Taxus cuspidata S. et Z. 2. Normal vertical and horizontal resin canals and surrounding thick epithelial cells were present in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but not present in Taxus cuspidata S. et Z. 3. Instead of helical thickening, helical chicks were observed only in summerwood trachieds of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However, helical thickenings forming S, Z., and horizontal helix perpendicular to long axis of tracheid were observed in springood and summerwood tracheids of Taxus cuspidata S. et Z. and these helical thickenings were considered as analogous to the innermost layer of secondary wall. 4. Uniseriate and fusiform rays were appeared on tangential surface of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but oly uniserate ray was observed on tangential surface ot Taxus cuspidata S. et Z. The fusiform rays of Larix gmelin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usually contained one horizontal resin canal bot occasionally two horizontal resin canals were contained in a fusiform ray. 5. Trabeculae and crassulae were observed in the tracheids of Larix gmelimii var. principis-ruprechtii Pilger but not observed in the tracheids of Taxus cuspidata S. et Z.

  • PDF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old et Zucearini) 잎의 추출성분 및 항산화 활성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Juniperus rigida Siebold et Zucearin and Antioxidant activity)

  • 이상극;김진규;함연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59-66
    • /
    • 2004
  • 노간주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1.5 kg을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그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용성과 수용성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용리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주로 많은 양의 (+)-catechin,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와 isoconiferin이 분리되었으며, 소량의 umbelliferone과 quercetin-3-O- β-D-rutinoside도 분리되었다. 각 분획물들과 단리된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용성이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catechin과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버들(Salix rorida) 수피의 후라보노이드 및 배당체 화합물 (Flvonoids and Their Glycosides from the Bark of Salix rorida)

  • 함연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56-62
    • /
    • 2002
  • 분버들 수피를 아세톤-물(7:3)로 추출한 후 농축하고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하였다. 각 추출물은 메탄올 수용액 및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분리한 후 TBA 및 6% 초산에 전개하는 셀룰로오스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물질을 확인하였다. 단리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1H-NMR, 13C-NMR 및 질량 분석으로 결정하였으며, 단일의 화합물로 정제된 물질은 flavonoid와 그 배당체 화합물인 (+)-catechin, naringenin, salipurposide, aromadendrin, isosalipurposide, aromadendrin-7-O-𝛽-D-glucopvranoside 및 taxifolin-7-O-𝛽-D-glucopy- ranoside였다.

인삼재배시설의 실태 및 개선방안 (The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Proposal for Shading Structures in Korean Ginseng Fields)

  • 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4-120
    • /
    • 2003
  • 본 연구는 인삼재배 해가림 시설의 실태를 조사하여 시설의 구조 및 환경 공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환경조절형 인삼재배시설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6개 인삼 주산지를 대상으로 현장실측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뼈대구조의 재질에 따라 목재시설과 철재시설로 분류하고, 기둥과 서까래의 연결방식에 따라 전후주연결식과 후주연결식으로 분류하였으며, 도리와 보조도리의 세부구조에 따라 프레임식과 케이블 식으로 구조를 유형화하였다. 시설구조의 실측조사결과 기둥과 서까래는 대부분 표준 규격 이상의 단면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도리와 보조도리는 규격 미달이 많았고 이를 전혀 설치하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설의 폭과 높이, 기둥의 설치간격 등은 대체로 표준형과 비슷한 규격으로 설치하는 경향이었으나 편차가 크고,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도 상당수 있으므로 자재의 규격화와 시공 및 조립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하고, 폭설에 대한 대책과 보강설계가 가장 중요한 구조개선 사항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리 부분에서는 관수기준 설정 연구가 시급하고, 가장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기계화 및 자동화가 요구되는 작업은 해가림 시설의 설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설치비가 저렴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작업성이 양호한 동시에 환경조절 이용이한 인삼재배시설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소나무재의 1차조직과 2차조직 세포벽 중의 셀룰로오스 구조 (Cellulose Structures of Primary and Secondary Tissues in Pinus densiflora S. et Z.)

  • 김남훈;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60-67
    • /
    • 2001
  • 소나무(Pinus densiflora)재의 1차조직과 2차조직의 조직구조, 미세구조 및 머서화(mercerization)에 의한 셀룰로오스의 결정구조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차조직의 세포는 원형에 가깝고 내강이 크며 배열이 무질서한 데 비하여, 2차조직의 세포는 장방형이고 비교적 규칙적인 배열을 갖고 있다. 섬유장은 1차조직 $200{\sim}250{\mu}m$, 2차조직 $1,500{\sim}1,600{\mu}m$였으며, 내강경은 1차조직 $40{\sim}50{\mu}m$, 2차조직 $10{\sim}20{\mu}m$였다. 그리고 1차조직과 1차방사조직은 2차조직의 세포에 비해 미목화된 세포가 많았다. 1차조직과 2차조직에서 셀룰로오스 결정의 면간격과 미결정 폭의 차이는 없었으나 상대결정화도는 각각 23%와 35%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배향성에 있어서 1차조직의 미결정은 무배향을 나타냈으나 2차조직의 미결정은 섬유축에 $20{\sim}30^{\circ}$의 배향성을 나타냈다. 머서화 과정 동안에 1차조직 셀룰로오스 결정은 셀룰로오스 II로 변화되었지만 2차조직의 셀룰로오스 결정은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양 조직간의 결정변태의 차이는 목화 정도의 차이에 의한 리그닌의 영향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