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adhesive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4초

소나무수피 알칼리추출물의 한외여과 및 접착제 제조특성 (Ultrafiltration and Adhesive Characteristics of Alkali-soluble Extracts from Radiata Pine Barks)

  • 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29-37
    • /
    • 1998
  • Alkali-solubl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medium-sized barks of Radiata pine(Pinus radiata).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of extracts with uniform quality and in the preparation of adhesives with suitable viscosity. Ultrafiltration using an Amicon cell was subjected to fractionate extracts according to molecular sizes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 The filtration efficiency was studied by using thin channel filtration systems. Adhesive manufacturing was also examined. Removal of particles greater than 0.45m from the extracts increased both filtration speed (flux) and yields of solids in the filtrates. Ultrafiltration with PM 10 membrane was very effective to fractionate and concentrate the extracts. Stiasny precipitates from the filtrates obtained by PM 10 membrane were very lower than that(83%) of the retentates. This ultrafiltration method was efficient for obtaining high yield purified phenolic compounds(mainly polyflavanoids) and thus important for preparing wood adhesives from barks. The extracts were shown excessive high viscosities at the concentrations required for adhesive formulation, but this high viscosity and short gelation time was reduced by lowering pH of the extracts and addition of urea. The highest bonding strength of plywoods(340g/$m^2$ of adhesive spreads) was achieved with adhesive formulated by 100parts of mixed alkali extracts and urea(70/30,w/w), 10parts of p-formaldehyde and 3.5parts of wheat flour at pH 6, and by hot pressing at the conditions of 12kg/$cm^2$ at $120^{\circ}C$ for 10 minutes.

  • PDF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의 밀도·접착·강도성능 및 내부후성 (Density, Bonding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Decay Resistance of Radiata Pine Laminated Veneer Lumber)

  • 서진석;이동흡;황원중;오형민;박영란;강승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44-350
    • /
    • 2011
  •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LVL)를 제조함에 있어서, CuAz 및 ACQ 방부처리와 비처리,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와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의 상온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함에 따른 밀도경사, 접착 강도성능 및 내부후성(방부효력)을 살펴보았다. 결과, LVL의 밀도경사에서 접착층 주변이 원추형으로 밀도가 커지는 경사패턴을 보였다. 접착성은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전층이 박리되거나, 일부 층이 박리하고 할렬 틈새 현상이 일어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접착층의 응력이 큰데 연유한 굽음과 상하 접착층 사이의 단판의 수직할렬 현상이 있었으나, 접착층의 박리나 할렬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침지박리접착력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방부효력시험에 있어서,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로 적층한 LVL의 경우 갈색부후균에 의한 부후도가 백색부후균보다 크게 나타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로 LVL을 제조한 경우에는 갈색부후균에 의한 질량감소가 적었고, 약제를 처리하지 않더라도 그 피해가 낮았으며, 약제처리한 것은 질량감소율 0 수준을 보일 정도로 방부효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Fundamental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Made with Oriented Strand Board and Three Different Species of Veneer

  • Yanti, Hikma;Massijaya, Muh Yusram;Cahyono, Tekat Dwi;Novriyanti, Eka;Iswanto, Apri He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239-248
    • /
    • 2019
  • This research presents an improvement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com-ply) made of Oriented Strand Board (OSB) coated with wood veneer of Pine (Pinus merkusii), Avocado (Persea Americana) and Mahogany (Swietenia mahogany). 1.5 mm thick veneers of those three wood types were adhered to the surface of OSB using two adhesive types: epoxy and isocyanate. The adhesive with the glue spread of $250g\;m^{-2}$ applied using single glue line was spread and then cold pressed with the pressure of $15kg\;cm^{-2}$ for 3 hours. The research result showed an improving dimension stability of com-ply, but not found on all parameters of physical property test. The moisture content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com-ply type, yet not related to its thickness swelling, water absorption and linear expansion. The exception took place in the parallel linear expansion when immersed for 2 hours. The highest to the lowest increases of MOE and MOR were consecutively found on OSB coated with wood veneer of Pine, Mahogany and Avocado. However, the increase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highest increasing screw hold power was found at the com-ply type AE (avocado veneer and epoxy adhesive) that was by 28%.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복합집성재의 접착성능 (Bonding Performance of Glulam Reinforced with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s)

  • 박준철;신윤종;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57-3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작업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집성재 제작용 접착제를 목재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접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복합집성재는 접착제 종류와 혼합비에 따라 6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여 블록전단강도시험과 침지박리, 삶음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레조시놀수지 접착제와 초산비닐 수지접착제, 에폭시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복합집성재 3가지 타입과 레조시놀수지 접착제와 초산비닐수지 접착제를 혼합한 3가지 타입으로 총 6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블록전단시험 결과 모든 타입의 복합집성재가 KS F 3021 기준 $7.1N/mm^2$ 보다 높아 전단강도는 양호하였지만, 목파율에서는 초산비닐수지접착제가 65.9%로 가장 우수한 접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박리시험에서는 초산비닐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GFRP 접착층까지 포함된 경우 침지 박리는 1.08%, 삶음박리는 4.16%로 KS F 3021 합격기준인 5% 이하를 만족하였다. 레조시놀수지 접착제만을 사용 한 경우 목재 접착층은 침지박리 1.26%, 삶음박리 0%로 합격기준을 만족하였으나 GFRP 접착층을 포함시킬 경우 침지박리는 21.85%로 합격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삶음박리의 경우만 1.45%로 만족하였다.

유채박을 이용한 단판적층재용 접착제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Rapeseed Flour Hydrolyzates for Laminated Veneer Lumber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 양인;한규성;최인규;김용현;안세희;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21-229
    • /
    • 2011
  • 목질계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는 원유의 가격 상승과 포름알데히드 방산과 같은 문제로 인해 대체 접착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의 효소 가수분해를 통해 접착제를 조제하고, 이 접착제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적용한 후 물리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여 유채박의 단판적층재 제조용 접착제 제조를 위한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유채박 접착제 조제를 위하여 유채박을 4가지 효소의 조합을 통해 개량한 다음,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단판적층재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단판적층재의 평균함수율과 내수성은 모두 KS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채박 접착제의 열분석에서 pectinase 가수분해물로 조제한 접착제를 제외하고 페놀수지 접착제와 열경화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판적층재의 휨강도는 페놀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단판적층재보다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대체 접착제로써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유채박의 효소가수분해 조건에 대한 연구와 도포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합판 접착제의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의 이용 (Use of Polyethylene as an Additive in Plywood Adhesive)

  • 오용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4-18
    • /
    • 1998
  • A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was examined as an additive in phenol-formaldehyde(PF) resin adhesive for bonding radiata pine plywood. The LDPE was supplied by the commercial manufacturer. The LDPE was compared to a commercial filler commonly used in structural plywood adhesives in the United States. The adhesive mixes were made by following the recommended procedure of Georgia-Pacific Resins Inc.. using plywood-type PF resin. A total of 48 three-ply plywoods. 6.3 mm nominal thickness and 30 by 30 em in size, were made at two press times (4 and 5 min). two press temperatures (150 and $160^{\circ}C$) and 30 minute assembly times for four adhesive mixing types. Evaluations of the LDPE addition were carried out by performance tension shear tests after two cycle boil aging tests on plywood per the U.S. Product Standard PS I-83. After accelerated-aging tests. plywoods were exhibited no delamination. The test results included tension shear strength and estimated wood failure values. The plywood test results support the use of polyethylene as an additive in plywood adhesives.

  • PDF

혈장접착제를 이용한 생활목질폐잔재로부터 제조된 흑탄 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Black Charcoal Board Manufactured from Domestic Wood Waste by Using Serum Protein Adhesive)

  • 서인수;이화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67-27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ufacture black charcoal board from domestic wood waste by using serum protein adhesive which is natural, environment-friendly and human-friendly. For the preparation of the serum protein adhesive, pig blood from slaughterhouse was centrifuged and serum was separated from corpuscles and concentrated to 30% by dry weight basis. The particle size of charcoal from domestic wood waste for this study was #6-60. Hot pressing schedule was $170^{\circ}C$ and 40kgf/$cm^2$ (1 min)-10kgf/$cm^2$ (2.5 min)-40kgf/$cm^2$ (5 min). The black charcoal board made by the addition of 13% serum protein adhesive on dry weight basis gave 41.76kgf/$cm^2$ of bending strength, 8.12kgf/$cm^2$ of internal bonding strength, and excellent gas adsorption and workability.

유채박의 알칼리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합판용 접착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dhesive Resins Formulated with Rapeseed Flour Akali Hydrolyzates for Plywood Panels)

  • 양인;정재훈;한규성;최인규;사공문;안세희;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23-332
    • /
    • 2010
  • 현재 석유화학계 접착제는 합판과 같은 목질계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기본 원료인 원유의 가격 상승과 포름알데히드 방산과 같은 문제로 대체 접착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조제하였으며, 이 접착제를 합판 제조에 적용한 후 접착능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조사함으로써 유채박의 합판용 접착제 제조를 위한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채박 접착제 조제를 위하여 먼저 유채박을 수산화나트륨으로 화학적으로 개량한 후,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그 접착제를 합판 제조에 적용하였다. 유채박 접착제는 가수분해 조건과 PF prepolymer의 몰비에 따라 26.08~36.12%의 고형분 함량을 보유하였으나, 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유채박 접착제로 제조된 합판의 인장 전단강도와 목파율은 유채박의 가수분해 조건과 PF prepolymer의 종류와 상관없이 KS 규격의 보통 합판 품질기준을 상회하였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1.8몰의 포름알데히드와 1몰의 phenol로 조제한 PF prepolymer를 사용한 접착제에서 유채박의 가수분해 조건과 상관없이 KS 규격의 E0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채박이 합판용 접착제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열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유채박 접착제의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안과 접착제의 목재 침투 정도와 인장 전단강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현미경적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가 유채박 접착제의 상용화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친화성 SIS계 핫멜트 점착제를 이용한 무늬목 접착 (Environment-Friendly Bonding of Decorative Veneer by SIS-Based Hotmelt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임동혁;김수민;박영준;김현중;양한승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2-29
    • /
    • 2006
  •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가구 및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목질복합재료에 대한 친환경적 성능에 대한 요구는 점차 커져가는 추세이다. 목질 복합재료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사용하기 보다는 표면재를 붙여서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요소포름알데히드 접착제를 친환경적인 SIS계 핫벨트 점착제로 대체코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고분자의 diblock 함량, 점착부여수지의 연화점 및 함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여러 종류의 핫벨트 점착제를 제조하고 각각의 점착제에 의한 무늬목 부착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점착형 표면재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Evaluation of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and Pollutant Emissions of Wood-Magnesium Laminated Board (WML Board)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PARK, Hee-Jun;JO, Seok-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86-94
    • /
    • 2020
  • This study serves a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wood-based building finishing material that improved the weakness of inorganic materials such as gypsum board and magnesium board widely used as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brought out the strength of the wood.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environmental effect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 discharge having manufactured a wood-magnesium laminated composite are as follow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resistance of WML board was improved by about 28~109 percent over magnesium board due to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of wood. The adhesive strength of WML board showed a similar result to that of plywood as it exceeds 0.7N/㎟, the adhesive standard of wood veneer which is presented by KS F 3101. Bending strength and screw holding strength were more improved by manufacturing WML board than magnesium board. The WML board manufactured in this study satisfied the criteria for emissions of hazardous substances prescribed in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new wood-based composite material that can replace existing inorganic materials.